Case Study-기흉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Case Study-기흉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Ⅱ . 본론
1. 문헌고찰

2. 간호사정

3. 검사결과

4. 약물

5. 간호진단 목록

6. 간호진단 사례

Ⅲ. 결론

본문내용

이 아프고 숨이 차요”
“가슴이 많이 답답해요”
“딸이 숨쉬는걸 많이 힘들어해요” - by 보호자
객관적 자료 : 03/09 Vital Sign
BP 130/70 P 106회/분 R 26회/분 BT 36.9도
SaO2 92%
청진상 호흡음 감소
빠르고 짧은 호흡
간호진단
#.1 흉망강내 공기유출과 관련된 비효율적 호흡양상
간호목표
<단기목표>
① 대상자는 1시간이내에 산소포화도가 95%이상이 된다.
② 대상자는 4시간 이내에 호흡수가 20회 이하로 감소한다.
<장기목표>
① 대상자는 호흡하기가 편안하다고 말한다.
② 대상자는 심호흡을 주기적으로 해야하는 중요성을 알고 시행한다.
간호계획
계획
이론적 근거
① 대상자의 활력징후를 1시간 마다 관찰한다.
② 대상자의 산소포화도를 수시로 감시한다.
③ 처방된 산소요법으로 산소를 투여한다.
④ 대상자가 편안한 체위를 취할수 있도록 돕는다.
⑤ 대상자에게 심호흡하는 법을 가르치고 격려한다.
활력징후와 산소포화도를 관찰하므로써 대상자의 상태를 파악할수 있다.
심호흡은 폐를 확장시킴으로서 보다 안정된 상태를 유지 할수있다.
간호수행
① 매시간 대상자의 활력징후를 측정하였다.
(3/8 19:00 P 92회 R 26회 BP 110/70 BT 36.4
20:00 P 82회 R 21회 BP 120/70 BT 36.8)
② 대상자의 산소포화도를 주기적으로 관찰하였다.
(3/8 19:00 91% 20:00 95%)
③ 의사가 처방한 산소요법으로 산소를 투여하였다.
(Nasal O2 3L 투여 실시)
④ 대상자가 호흡하기 좋은 체위인 좌위로 자세 변경시켜주었다.
⑤ 대상자에게 심호흡의 중요성을 교육하고 힘들더라도 주기적으로 해줘야 한다고 교육하였다.
간호평가
- 대상자 호흡이 21회로 정상적인 호흡양상을 보였다.
- SaO2가 95%로 상승하였다.
- 산소요법과 심호흡으로 인해 호흡하기가 편해졌다고 말했다.
간호사정
주관적 자료 : “가슴이 너무 아파요”
“가슴이 너무 아파서 숨을 못쉬겠어요”
“숨 쉴 때 가슴을 막 찌르는거 같아요”
객관적 자료 : 환자가 통증부위를 손으로 계속 지지하고 있다.
환자가 통증 때문에 얼굴을 찌푸리고 있다.
통증사정척도(VAS) : 6점
P 102회/분
간호진단
#.2 흉막강내 공기유출과 관련된 통증
간호목표
<단기목표>
① 대상자는 24시간 이내에 통증 점수가 3점 이하라고 말할 것이다.
<장기목표>
① 대상자는 통증의 정도와 특성을 표현하며 악화시키는 요인을 말한다.
② 대상자는 비약물적 통증경감 방법을 시도한다(심호흡,이완요법,관심전환)
③ 대상자는 통증이 경감되고 편안함을 나타낸다.
간호계획
계획
이론적 근거
① 대상자의 통증정도를 사정한다
② 처방된 진통제를 투여한다.
③ 대상자가 비약물적 통증경감 방법을 할것을 교육하고 지지한다.
④ 대상자의 활력징후를 1시간 마다 측정한다.
⑤ 대상자가 편안한 체위를 취하도록 도와준다.
⑥ 대상자를 정서적으로 지지해준다.
통증의 정도를 사정함으로써 통증상태를 파악하고 이에 알맞은 적절한 중재를 선택할수 있다.
비약물적 통증경감 방법(심호흡,이완요법,관심전환)을 통해 통증을 감소시킬수 있다
활력징후를 측정함으로써 통증의 정도와 대상자 상태를 알수 있다.
편안한 체위는 통증을 덜 느끼도록 할수 있다.
간호수행
① 대상자의 통증에 대해 사정하였다.
(통증의 강도는 중이었으며 양상은 쿡쿡 쑤시는듯한 통증이었다.)
② 처방된 진통제 (Ultracet)를 투여하였다.
③ 심호흡법, 이완요법, 관심전환에 대해 교육하였다.
④ 심호흡이나 기침 시 환부지지방법을 교육하였다.
⑤ 매시간 대상자의 활력징후를 측정하였다.
(3/8 19:00 P 92회 R 26회 BP 110/70 BT 36.4
20:00 P 82회 R 21회 BP 120/70 BT 36.8)
⑥ 통증이 심해질시 가장 통증을 덜느끼는 체위로 바꾸도록하였다.
⑦ 대상자와의 대화를 통해 정서적으로 안정감을 주었다.
간호평가
- 다음날 병동으로 올라가 평가할 수가 없었다.
Ⅲ. 결론
- 실습소감
처음에 응급실에 배치받고 나서는 사실 조금은 떨렸다. 아직 응급실에서 실습한 경험이 없고 많은 환자가 들락날락하는 정신없는 곳이어서 내가 잘할수 있을까라는 자신감도 많이 없었던게 사실이었다. 그래서 응급실을 실습했던 친구들에게 많이 자문을 구하고 떨리는 마음으로 첫 출근을 하였다. 처음에 갔을 때 내가 받은 느낌은 역시 정신이 없다는 것이었다. 환자와 보호자와 여러 의사와 간호사가 여러군데 얽혀 시장바닥에 온듯한 느낌을 받았다.
병동에서 하던 실습과는 전혀 다른 마음가짐을 품게했는데 언제 응급 중환자가 올지모르고 언제 환자의 증상이 악화될지도 모르는 상황이 계속되면서 실습하는 학생이지만 부담감을 가지게 했다. 내가 하는 모든 행동들이 환자에겐 너무나도 중요한 것들이었고 환자에게 해주는 행동 하나하나에 주의를 기울이게 했다. 또한 응급실의 시스템에 대해서도 많은걸 느꼈다. 병동에서 실습할 때 느꼈던 것은 의사와의 커뮤니케이션이 원활하지 못하다는 것이었다. 하지만 응급실에는 항상 의사가 상주해있고 같이 의사소통함으로써 환자에게 최대한의 치료효과를 내기위해 노력하는 모습이 보였다. 다른 병원 응급실은 어떤지 모르겠지만 영대 병원은 의사와 간호사 사이의 역할이 분명해보였다. 다른 병원에선 간호사가 의례적으로 하는 처치들을 의사가 아무리 바빠도 의사가 하였고 간호사 또한 마찬가지였다.
그리고 응급실에서 느꼈던 매력적인 것중 하나는 많은 것을 보고 많은 것을 느낄수 있다는 것이었다. 생명이 위태한 환자가 들어오고 의료진들이 그 환자를 위해 급박하게 움직이고 보호자들은 옆에서 안절부절 못하는 그 모든 상황들이 생명을 짊어진 인간으로써 그리고 생명을 다루는 의료진의 한 부분인 간호사로써 많은 것을 느끼게 만들었다.
처음에는 많이 떨리고 차라리 병동에서 실습했음 좋을걸 이라는 생각을 가졌지만 응급실에서 경험했던 모든 것들이 살면서 많은 도움이 될수 있을거라고 생각한다.
- 참고문헌
성인간호학 Ⅰ 현문사 2010 / Lewis Heitkemper 저 신경림 역
www.naver.com
http://mdtoday.druginfo.co.kr

키워드

케이스,   스터디,   간호,   기흉
  • 가격2,800
  • 페이지수13페이지
  • 등록일2012.10.03
  • 저작시기2000.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7014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