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1. 기업선정 ………………………………………………………………………… 1
Ⅱ. 본론
(1) SK텔레콤 현황
1. 기업소개 ………………………………………………………………………… 2
2. 사업소개 ………………………………………………………………………… 3
3. 주요연혁 ………………………………………………………………………… 4
4. 소유구조 ………………………………………………………………………… 5
5. 지배구조 ………………………………………………………………………… 6
6. 시장지위 ………………………………………………………………………… 6
7. 시장가치 ………………………………………………………………………… 7
(2) 자본구조 ………………………………………………………………………… 7
1. 재무상태표와 손익계산서 ………………………………………………………………………… 7
2. SK텔레콤 재무비율분석 ………………………………………………………………………… 10
(3) 배당정책 ………………………………………………………………………… 14
Ⅲ. 결론
1. 재무구조와 기업가치와의 관계 ………………………………………………………………………… 16
2. 자본구조이론에 대한 견해 ………………………………………………………………………… 17
3. 배당정책에 대한 견해 ………………………………………………………………………… 17
Ⅳ. 참고자료 ………………………………………………………………………… 18
1. 기업선정 ………………………………………………………………………… 1
Ⅱ. 본론
(1) SK텔레콤 현황
1. 기업소개 ………………………………………………………………………… 2
2. 사업소개 ………………………………………………………………………… 3
3. 주요연혁 ………………………………………………………………………… 4
4. 소유구조 ………………………………………………………………………… 5
5. 지배구조 ………………………………………………………………………… 6
6. 시장지위 ………………………………………………………………………… 6
7. 시장가치 ………………………………………………………………………… 7
(2) 자본구조 ………………………………………………………………………… 7
1. 재무상태표와 손익계산서 ………………………………………………………………………… 7
2. SK텔레콤 재무비율분석 ………………………………………………………………………… 10
(3) 배당정책 ………………………………………………………………………… 14
Ⅲ. 결론
1. 재무구조와 기업가치와의 관계 ………………………………………………………………………… 16
2. 자본구조이론에 대한 견해 ………………………………………………………………………… 17
3. 배당정책에 대한 견해 ………………………………………………………………………… 17
Ⅳ. 참고자료 ………………………………………………………………………… 18
본문내용
총자산회전율에서는 타사보다 감소폭이 큰 그래프를 보여주는데 이는 경쟁사에 비하여 자산의 회전율 관리에 있어서 관리를 제대로 못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3) 배당정책
배당정책은 기업이 벌어들인 납세 후 순이익을 주주를 위한 배당금과 재투자를 위한 유보이익으로 나누는 의사결정이다. 따라서 배당정책은 내부금융의 주요 원천인 유보이익을 결정함으로써 외부금융의 규모를 결정하고자 하는 의사결정 문제로 볼 수 있는 것이다. 배당정책이론은 일정한 투자정책과 자본조달 정책 하에서 배당정책만을 변경시키는 재무의사결정이 기업가치 또는 주주의 부에 어떠한 영향을 미칠 것이냐 하는 것을 분석하기 위한 것으로 배당 정책이론과 관련된 문제는 배당정책은 기업가치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주주들이 자본이득과 배당소득 중 어느 것을 선호하는가? 이 두 가지가 있을 수 있다.
SK텔레콤의 배당내역을 살펴보면 당기순이익과 주당순이익은 지속적으로 증가추세에 있는데 반해 현금배당성향은 점점 줄어들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이사항을 보면 우선주는 하나도 없이 보통주로만 구성되어 있고 주식소각도 근래에는 하지 않았다. 가장 최근의 주식소각은 2007년 비동기식 IMT2000 사업자인 SK IMT를 소규모 합병절차를 통해 합병했을 때 맞교환으로 취득하는 자사주 9.27%중 1조원 정도인 5%를 소각하고 나머지는 주가안정 목적 등으로 활용하였다. 그리고 자사주 매입에 대한 한 사례를 보게 되었는데 2006년 SK텔레콤이 1100억원 규모의 이익소각을 한 것인데 이 같은 공시내용을 한 후 SK텔레콤 주가가 상승하였다는 것이다. 이는 자사주매입으로 인한 주가상승예측으로 거래자들이 주식매입을 하면서 주가가 상승했다고 볼 수 있다. 위의 두 경우를 제외하고 현재까지 SK의 자사주 매입이나 소각의 내용은 없었다.
다음은 통신 3사의 배당금 변화이다. SK텔레콤은 변동 없이 지속적인 유지를 하고 있는 상황이고 KT와 LG유플러스는 배당금이 거의 매년 다른 실정이다. 이는 주식가치보다는 기업의 순이익측면과 더 관련성이 있어 보인다. 두 통신사 모두 주가는 떨어지고 있는 추세이지만 SK텔레콤은 순이익측면에서 지속적인 증가를 보였고 LG유플러스는 순이익측면에서 상승하다 작년에 많은 감소폭을 보였다. 이에 따라 LG유플러스의 배당금이 주당 150원대로 떨어졌다. 배당금의 하락은 기업의 실정을 반영한 결과라고 볼 수 있다.
SK텔레콤의 배당금 무변화에 대해 주가측면으로 보았을 경우 주가하락에도 배당금을 유지하는 이유는 주가가 하락할수록 주식 매입자에게는 배당측면에서 더 유리한 양상을 띈다.
통신사주식은 상대적으로 다른 주식보다 배당률이 높은 수준이다. 예를 들어 1000원짜리 주식을 사서 주당 100원의 배당을 받았다면 수익률이 10%이지만, 올해 900원으로 떨어진 주식을 사서 주당 100원의 배당을 받았다면 수익률이 11%로 높아지는 이치다. SK텔레콤은 타사와는 달리 고정된 배당금을 유지하고 있어 주식이 떨어질수록 배당수익률이 높아지는 것을 알 수 있다. 현재 주가를 고려해볼 때 지금 매입한다면 7.7%의 배당수익률을 올릴 수 있다. 주가 변화가 없어도 이정도의 수익률을 올릴 수 있고 만약 주가가 오른다면 더 많은 이익이 돌아가는 셈이다. 배당률을 높게 유지하는 것도 주가의 하한선을 방어하는 성향이 있다고 생각해 보았다.
Ⅲ. 결론
1. 재무구조와 기업가치와의 관계
MM의 수정이론에 따르면 부채를 많이 쓸수록 법인세절약액이 커져서 주주의 이익이 커진다고 하였다. 하지만 우리의 조사결과에 따르면 SK텔레콤은 부채는 점점 증가하는 반면 주가는 계속 하락세가 이어지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즉 MM의 수정이론과 달리 반대의 결과가 나타나 부채가 증가해도 다른 요인에 의해서 주가는 떨어질 수 있으며 주주의 이익이 감소할 수도 있다는 결론이 도출되었다.
반면 유동비율과 기업의 가치가 유사하게 나타나면 유동비율 감소에 따라 기업가치가 하락한다는 것에는 정(+)의 관계가 나타났다. SK의 유동비율은 2009년부터 점차 감소하자 주가 역시 하향세를 보였다.
2. 자본구조이론에 대한 견해
▶부채증가 시 재무적 곤경비용증가로 기업가치가 하락한다.
▶신주발행대리인비용이 없다.
▶자본조달 순위이론에 따르면 유리한 투자기회에 관한 정보 비대칭이 생기는데 이는 신주발행과 관련하여 개연성이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신호이론은 간접적 방법으로 주주들에게 정보를 전달하는 것인데 2011년 주파수경매 시 자본여력에 대한 신호로서 주가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써 알 수 있었다.
▶또한 현실은 완전경쟁시장이 아니어서 한 요인으로 기업가치를 결정할 수는 없었다. 이는 MM의 수정이론과는 반대의 결과를 나타냄으로써 알 수 있었다.
▶각 요인들에서는 개연성이 존재하며 시장에서의 적정 자본구조 비율에 따라 결정하는 것이 유리하다.
3. 배당정책에 대한 견해
▶지속적인 주가가 하락하더라도 배당금이익의 폭이 많이 증가한 수준에 이르면 주식 매입자들은 해당기업의 주식을 매입하게 되고 기업의 가치는 오르게 되기 때문에 기업가치 추락에 대한 방어적인 수단중의 하나가 배당정책일수도 있겠다라는 생각이 든다.
Ⅳ. 참고자료
SK텔레콤
http://www.sktelecom.com
KisValue III
http://www.kisvalue.com/web/index.jsp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
http://dart.fss.or.kr
LG유플러스
http://www.lguplus.com
E투데이
http://www.etoday.co.kr/news/section/newsview.php?TM=news&SM=0605&idxno=473873
머니투데이
http://www.mt.co.kr/view/mtview.php?type=1&no=2012041208299686276&outlink=1
http://www.mt.co.kr/view/mtview.php?type=1&no=2012041009019673899&outlink=1
조선비즈
http://biz.chosun.com/site/data/html_dir/2012/06/13/2012061302998.html
(3) 배당정책
배당정책은 기업이 벌어들인 납세 후 순이익을 주주를 위한 배당금과 재투자를 위한 유보이익으로 나누는 의사결정이다. 따라서 배당정책은 내부금융의 주요 원천인 유보이익을 결정함으로써 외부금융의 규모를 결정하고자 하는 의사결정 문제로 볼 수 있는 것이다. 배당정책이론은 일정한 투자정책과 자본조달 정책 하에서 배당정책만을 변경시키는 재무의사결정이 기업가치 또는 주주의 부에 어떠한 영향을 미칠 것이냐 하는 것을 분석하기 위한 것으로 배당 정책이론과 관련된 문제는 배당정책은 기업가치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주주들이 자본이득과 배당소득 중 어느 것을 선호하는가? 이 두 가지가 있을 수 있다.
SK텔레콤의 배당내역을 살펴보면 당기순이익과 주당순이익은 지속적으로 증가추세에 있는데 반해 현금배당성향은 점점 줄어들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이사항을 보면 우선주는 하나도 없이 보통주로만 구성되어 있고 주식소각도 근래에는 하지 않았다. 가장 최근의 주식소각은 2007년 비동기식 IMT2000 사업자인 SK IMT를 소규모 합병절차를 통해 합병했을 때 맞교환으로 취득하는 자사주 9.27%중 1조원 정도인 5%를 소각하고 나머지는 주가안정 목적 등으로 활용하였다. 그리고 자사주 매입에 대한 한 사례를 보게 되었는데 2006년 SK텔레콤이 1100억원 규모의 이익소각을 한 것인데 이 같은 공시내용을 한 후 SK텔레콤 주가가 상승하였다는 것이다. 이는 자사주매입으로 인한 주가상승예측으로 거래자들이 주식매입을 하면서 주가가 상승했다고 볼 수 있다. 위의 두 경우를 제외하고 현재까지 SK의 자사주 매입이나 소각의 내용은 없었다.
다음은 통신 3사의 배당금 변화이다. SK텔레콤은 변동 없이 지속적인 유지를 하고 있는 상황이고 KT와 LG유플러스는 배당금이 거의 매년 다른 실정이다. 이는 주식가치보다는 기업의 순이익측면과 더 관련성이 있어 보인다. 두 통신사 모두 주가는 떨어지고 있는 추세이지만 SK텔레콤은 순이익측면에서 지속적인 증가를 보였고 LG유플러스는 순이익측면에서 상승하다 작년에 많은 감소폭을 보였다. 이에 따라 LG유플러스의 배당금이 주당 150원대로 떨어졌다. 배당금의 하락은 기업의 실정을 반영한 결과라고 볼 수 있다.
SK텔레콤의 배당금 무변화에 대해 주가측면으로 보았을 경우 주가하락에도 배당금을 유지하는 이유는 주가가 하락할수록 주식 매입자에게는 배당측면에서 더 유리한 양상을 띈다.
통신사주식은 상대적으로 다른 주식보다 배당률이 높은 수준이다. 예를 들어 1000원짜리 주식을 사서 주당 100원의 배당을 받았다면 수익률이 10%이지만, 올해 900원으로 떨어진 주식을 사서 주당 100원의 배당을 받았다면 수익률이 11%로 높아지는 이치다. SK텔레콤은 타사와는 달리 고정된 배당금을 유지하고 있어 주식이 떨어질수록 배당수익률이 높아지는 것을 알 수 있다. 현재 주가를 고려해볼 때 지금 매입한다면 7.7%의 배당수익률을 올릴 수 있다. 주가 변화가 없어도 이정도의 수익률을 올릴 수 있고 만약 주가가 오른다면 더 많은 이익이 돌아가는 셈이다. 배당률을 높게 유지하는 것도 주가의 하한선을 방어하는 성향이 있다고 생각해 보았다.
Ⅲ. 결론
1. 재무구조와 기업가치와의 관계
MM의 수정이론에 따르면 부채를 많이 쓸수록 법인세절약액이 커져서 주주의 이익이 커진다고 하였다. 하지만 우리의 조사결과에 따르면 SK텔레콤은 부채는 점점 증가하는 반면 주가는 계속 하락세가 이어지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즉 MM의 수정이론과 달리 반대의 결과가 나타나 부채가 증가해도 다른 요인에 의해서 주가는 떨어질 수 있으며 주주의 이익이 감소할 수도 있다는 결론이 도출되었다.
반면 유동비율과 기업의 가치가 유사하게 나타나면 유동비율 감소에 따라 기업가치가 하락한다는 것에는 정(+)의 관계가 나타났다. SK의 유동비율은 2009년부터 점차 감소하자 주가 역시 하향세를 보였다.
2. 자본구조이론에 대한 견해
▶부채증가 시 재무적 곤경비용증가로 기업가치가 하락한다.
▶신주발행대리인비용이 없다.
▶자본조달 순위이론에 따르면 유리한 투자기회에 관한 정보 비대칭이 생기는데 이는 신주발행과 관련하여 개연성이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신호이론은 간접적 방법으로 주주들에게 정보를 전달하는 것인데 2011년 주파수경매 시 자본여력에 대한 신호로서 주가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써 알 수 있었다.
▶또한 현실은 완전경쟁시장이 아니어서 한 요인으로 기업가치를 결정할 수는 없었다. 이는 MM의 수정이론과는 반대의 결과를 나타냄으로써 알 수 있었다.
▶각 요인들에서는 개연성이 존재하며 시장에서의 적정 자본구조 비율에 따라 결정하는 것이 유리하다.
3. 배당정책에 대한 견해
▶지속적인 주가가 하락하더라도 배당금이익의 폭이 많이 증가한 수준에 이르면 주식 매입자들은 해당기업의 주식을 매입하게 되고 기업의 가치는 오르게 되기 때문에 기업가치 추락에 대한 방어적인 수단중의 하나가 배당정책일수도 있겠다라는 생각이 든다.
Ⅳ. 참고자료
SK텔레콤
http://www.sktelecom.com
KisValue III
http://www.kisvalue.com/web/index.jsp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
http://dart.fss.or.kr
LG유플러스
http://www.lguplus.com
E투데이
http://www.etoday.co.kr/news/section/newsview.php?TM=news&SM=0605&idxno=473873
머니투데이
http://www.mt.co.kr/view/mtview.php?type=1&no=2012041208299686276&outlink=1
http://www.mt.co.kr/view/mtview.php?type=1&no=2012041009019673899&outlink=1
조선비즈
http://biz.chosun.com/site/data/html_dir/2012/06/13/2012061302998.html
추천자료
재무관리의 기초개념 및 재무분석과 재무계획
재무관리의 기초개념과 재무분석과 재무계획에 대하여 서술하시오
재무관리의 기초개념 및 재무분석과 재무계획
재무정보) 재무관리에 있어서 재무제표의 역할과 재무비율분석
[재무관리] 재무관리의 본질과 목표
관리)재무관리,스트레스관리
[창업론] 세무회계 및 재무관리 - 회계의 중요성, 장부기장, 사업자등록에 따른 세금, 재무제...
기업활동과 재무관리 (경제 환경과 기업 활동, 기업 활동과 재무관리)
[가계재무관리 공통] 학생 자신의 가계를 대상으로 한 장기재무설계(5~10년) 및 단기재무설계...
[가계재무관리] 학생 자신의 가계를 대상으로 한 장기재무설계(5~10년) 및 단기재무설계(1년)...
기업가치와 배당정책 - 기업가치와 배당정책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