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4․3 민중항쟁의 전개
(1) 1948년 제주지역 상황과 4‧3항쟁의 결행
(2) 4‧3항쟁의 발발과 무장대 습격
(3) 남로당 중앙당과 제주도당과의 관계
※ 참고자료
(1) 1948년 제주지역 상황과 4‧3항쟁의 결행
(2) 4‧3항쟁의 발발과 무장대 습격
(3) 남로당 중앙당과 제주도당과의 관계
※ 참고자료
본문내용
던 4·3 논의의 흐름을 살펴본 결과, 항쟁의 근본적인 원인은 미국의 패권적인 세계전략과 미군정의 정책에 있다는 결론을 내릴 수 있다. 미군정의 시각으로 볼 때 한국은 그들의 점령지였고, 그들의 이익을 위해서는 한국의 영토 분할이 필요했는데, 원인은 거기에 있었다. ‘4·3’ 항쟁은 민중의 생존을 위한 자치투쟁이자 민중의 평화를 짓밟는 세력에 대한 항쟁, 민족의 통일을 저해하는 세력에 대한 자주항쟁이었던 것이다.
※ 참고자료 -----------------------------------------------------------------------------
site / 제주 43 범국민위원회
최장집 외, 「해방전후사의 인식4」, 한길사. 1989.
아리리연구원, 「제주민중항쟁1」, 소나무. 1988.
역사문제연구소, 「역사비평 42호」, 역사비평사, 1998.
박세길, 「다시쓰는 한국현대사1」, 돌베개, 1988.
한국역사연구회 현대사연구반, 「한국현대사1」, 풀빛, 1991.
민중운동사연구회, 「해방 후 한국변혁운동사」, 녹진, 1990.
한국교원대학교 역사교육과 한국현대사연구회, 「잊혀진 반세기, 제주 4·3 항쟁의 흔적을 찾아서」, 2003.
※ 참고자료 -----------------------------------------------------------------------------
site / 제주 43 범국민위원회
최장집 외, 「해방전후사의 인식4」, 한길사. 1989.
아리리연구원, 「제주민중항쟁1」, 소나무. 1988.
역사문제연구소, 「역사비평 42호」, 역사비평사, 1998.
박세길, 「다시쓰는 한국현대사1」, 돌베개, 1988.
한국역사연구회 현대사연구반, 「한국현대사1」, 풀빛, 1991.
민중운동사연구회, 「해방 후 한국변혁운동사」, 녹진, 1990.
한국교원대학교 역사교육과 한국현대사연구회, 「잊혀진 반세기, 제주 4·3 항쟁의 흔적을 찾아서」, 2003.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