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없음.
본문내용
과 영국인 개척자들은 물론, 종교적 자유를 찾아 메이플라워호를 타고 미국으로 온 청교도들도 물질적 안락에 큰 관심을 보였다. 하지만 그러한 초기의 물질주의는 청교도 정신(Puritanism)과 균형을 이룬다. 청교도들은 자신들이 세상 사람들에게 빛을 밝혀주도록 신으로부터 선택받은 존재라는 선민의식을 갖고 있었으며, 그러한 소명을 받았다는 것을 증명하는 방법은 부의 축적을 통한 물질적 번영(material prosperity)과 명상과 자기반성, 겸손함과 금욕을 통한 내면의 빛(inner light) 발현이라고 믿었다. 이러한 청교도적 가치는 미국적 가치의 중요한 기틀이 되었으며, 이러한 가치 추구를 통해 세상 사람들이 모두 바라보고 본받을 수 있도록 빛을 밝히려던 청교도들의 초기 ‘미국의 꿈’은 다분히 정신적인 것이었다.
그러나 18세기에 들어 프랭클린 등에 의해 이성과 합리성, 실용성이 중시되고, 근면성과 성실성, 정직함, 근검절약이 강조되면서 이를 따르면 누구나 성공할 수 있다는 믿음이 신앙처럼 널리 퍼지게 된다. 이와 함께 기존 가치 체계를 형성하고 있던 청교도 정신은 점차 그 빛을 잃었고, 물질적, 세속적인 성공이 일종의 신화를 형성하게 되면서 ‘미국의 꿈’은 조금씩 변질되었다. 이러한 변질은 19세기에 접어들어 서부와 태평양을 향한 개척자들의 행렬이 이어지고 이성적, 물질적 가치가 정신적 가치에 대해 지나치게 우위를 점하게 되면서 가속화됐다. 그리고 20세기 초반 ‘재즈의 시대’에 ‘미국의 꿈’의 변질과 타락은 절정에 달했다. 제 1차 세계대전을 통해 미국 사회가 엄청난 부를 축적하게 되고 과학적으로도 눈부신 발전을 이룩하게 되면서, 미국적 가치의 기반을 이루고 있던 청교도 정신은 완전히 붕괴되었고 가치는 물질 중심으로 전도되었다. 또한 다윈의 진화설로 인해 급속히 확산된 적자생존(the survival of 'Have')의 논리는 타락한 사회에 더 잘 적응한 자만이 살아남는 세태를 정당화시켰다. 이러한 사회 현실 속에서 무질서와 환멸, 소외는 증폭되었으며 신앙의 붕괴로 인한 가치참조체계의 상실,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고 부를 추구하려는 극단적인 세태, 사회에 불만을 품고 사회를 전복시키려는 급진주의자들의 움직임 등이 나타났다. 이렇게 ‘미국의 꿈’에 있어서 청교도 정신과 균형을 이루고 있던 물질주의가 점차 우위를 점하게 되면서 ‘미국의 꿈’은 악몽으로 변질되고 타락하게 되었고, 그 타락의 정점이 바로 1920년대 ‘재즈의 시대’였다.
『위대한 개츠비』는 개츠비의 이상주의가 물질주의를 그 수단으로 삼으면서 변질, 타락하고 끝내 그 이상이 좌절되는 과정을 그려나가면서, 자본주의와 상업주의의 문제점, 황금만능주의의 지배와 물질 위주의 가치 전도, 권태와 향락에 물든 극단적 개인주의 등에 대한 묘사를 통해 ‘미국의 꿈’의 몰락에 대해서도 이야기하고 있다. 이러한 몰락의 뒤에 남은 극도의 무질서와 환멸, 인간의 소외를 극복하고 어떻게 ‘미국의 꿈’을 회복시키는가 하는 문제는 ‘길 잃은 세대’에게 남겨진 그 시대의 과제였다.
그러나 18세기에 들어 프랭클린 등에 의해 이성과 합리성, 실용성이 중시되고, 근면성과 성실성, 정직함, 근검절약이 강조되면서 이를 따르면 누구나 성공할 수 있다는 믿음이 신앙처럼 널리 퍼지게 된다. 이와 함께 기존 가치 체계를 형성하고 있던 청교도 정신은 점차 그 빛을 잃었고, 물질적, 세속적인 성공이 일종의 신화를 형성하게 되면서 ‘미국의 꿈’은 조금씩 변질되었다. 이러한 변질은 19세기에 접어들어 서부와 태평양을 향한 개척자들의 행렬이 이어지고 이성적, 물질적 가치가 정신적 가치에 대해 지나치게 우위를 점하게 되면서 가속화됐다. 그리고 20세기 초반 ‘재즈의 시대’에 ‘미국의 꿈’의 변질과 타락은 절정에 달했다. 제 1차 세계대전을 통해 미국 사회가 엄청난 부를 축적하게 되고 과학적으로도 눈부신 발전을 이룩하게 되면서, 미국적 가치의 기반을 이루고 있던 청교도 정신은 완전히 붕괴되었고 가치는 물질 중심으로 전도되었다. 또한 다윈의 진화설로 인해 급속히 확산된 적자생존(the survival of 'Have')의 논리는 타락한 사회에 더 잘 적응한 자만이 살아남는 세태를 정당화시켰다. 이러한 사회 현실 속에서 무질서와 환멸, 소외는 증폭되었으며 신앙의 붕괴로 인한 가치참조체계의 상실,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고 부를 추구하려는 극단적인 세태, 사회에 불만을 품고 사회를 전복시키려는 급진주의자들의 움직임 등이 나타났다. 이렇게 ‘미국의 꿈’에 있어서 청교도 정신과 균형을 이루고 있던 물질주의가 점차 우위를 점하게 되면서 ‘미국의 꿈’은 악몽으로 변질되고 타락하게 되었고, 그 타락의 정점이 바로 1920년대 ‘재즈의 시대’였다.
『위대한 개츠비』는 개츠비의 이상주의가 물질주의를 그 수단으로 삼으면서 변질, 타락하고 끝내 그 이상이 좌절되는 과정을 그려나가면서, 자본주의와 상업주의의 문제점, 황금만능주의의 지배와 물질 위주의 가치 전도, 권태와 향락에 물든 극단적 개인주의 등에 대한 묘사를 통해 ‘미국의 꿈’의 몰락에 대해서도 이야기하고 있다. 이러한 몰락의 뒤에 남은 극도의 무질서와 환멸, 인간의 소외를 극복하고 어떻게 ‘미국의 꿈’을 회복시키는가 하는 문제는 ‘길 잃은 세대’에게 남겨진 그 시대의 과제였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