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없음.
본문내용
e lives in one flea spare,
Where we almost, yea, more than maiired are.
This flea is you and I, and this
Our marriage bed, and marriage temple is.
Though parents grudge, and you, we're met,
And cloister'd in these living walls of jet.
Though use make you apt to kill me,
Let not to that self-murder added be,
And sacrilege, three sins in killing three.
Cruel and sudden, hast thou since
Purpled thy nail in blood of innocence?
Wherein could this flea guilty be,
Except in that drop which it suck'd from thee?
Yet thou triumph'st, and say'st that thou
Find'st not thyself nor me the weaker now.
'Tis true; then learn how false fears be;
Just so much honour, when thou yield'st to me,
Will waste, as this flea's death took life from thee.
이 벼룩만을 잘 보오. 그리고 이 벼룩 속에서
당신이 나를 거절함이 얼마나 사소한가를 보오.
이 놈은 나를 먼저 빨고, 이젠 당신을 빨아.
이 벼룩 속에 우리 둘의 피가 한 데 섞였소.
당신은 알고 있소. 이것이 죄나 수치나
처녀성의 상실이라 할 수 없음을.
하지만 이 놈은 구혼을 하기도 전에 즐기며,
두 피가 하나 된 것을 실컷 마셔 배불렀으니,
이는, 참말로, 우리가 하려는 것 이상이오.
오, 잠깐, 한 마리 벼룩 속에 세 목숨을 살려주오.
우리는 그 속에서의 결혼, 아니 그 이상을 했소.
이 벼룩은 당신과 나 그리고 이건
우리 신방이며, 결혼식 성전이오.
비록 부모가 싫어하고 당신도 그렇지만, 우리는 만나서,
살아있는 이 흑옥의 벽 속에 은거하고 있소.
당신은 나를 죽이는 것이 습관이지만,
그것에다 추가하지 마오. 자살과
신성모독을, 셋을 죽이는 세 가지 죄를.
잔인하고 황급하게, 당신은 이미
죄 없는 피로 당신의 손톱을 붉게 물들였단 말이오?
이 벼룩이 무슨 죄를 지었단 말이오?
당신한테서 빨아먹은 피 한 방울 말고?
그럼에도 당신은 기세 당당하게 말하기를
당신 자신도 나도 그 때문에 더 약해진 것은 아니라 하는구려.
그건 사실이오. 그러니 두려움이 얼마나 허위인가를 배우시오.
꼭 그만큼의 정조가, 당신이 내게 몸을 맡길 때
소모될거요. 이 벼룩의 죽음이 당신에게서 앗아간 생명만큼만
존단, 그리고 형이상학파 시인들의 특징
John Donne의 시에는 당시 시인들이 즐겨 쓰고 주로 소재로 삼고 사용하던 기법인 시적 장식이나 그리스 또는 라틴의 전설과 신화 같은 것이 존재하지 않는다. 또한 그의 시에는 르네상스 시에 흔히 등장하는 목동이나 아름다운 장미화원이나 초원 같은 것 또한 존재하지 않는다. 이러한 시풍은 당시까지 존재하고 알려져 있던 시단의 인습과는 전혀 다르고 새로운 시풍이었고, 이것은 그의 시가 리얼리스틱하다는 것을 말해주고 있다.
John Donne은 또한 언어와 운율의 측면에서도 그는 영국시의 흐름을 수정하였다. 인습적인 시어와 비유, 그리고 부드러운 리듬 대신에 과거에는 풍자시에서나 사용했음직한 반어적 표현과 일상 어법으로 구어적 리듬을 창조해 내는데 까지 이르게 된다.
가볍고 재기 발랄한 초기의 연애시에서 후기에는 침울한 종교시로 변화하게 된다.
그의 후기시에서는 죄나 죽음의 의식과 신앙이 복잡하게 서로 갈등하는 긴박한 고백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대담한 이미지에 의한 격렬한 신에의 부르짖음으로 나타나 있다.
세속적인 연애시 안에서는 Carpe-diem풍의 인생관을 보여주며 지성적인 예리함과 감각적 내지는 관능적 정열로 인생의 유한성과 무상에 대한 날카로운 인식을 보여주며 리얼리스틱한 면을 강하게 나타내고 강조하고 있다. 그리고 일상적인 언어를 사용하여 논리적인 전개를 보여준다. 마지막으로 종교시에서는 기발한 기상을 사용하여 현실과 신앙세계의 갈등 그리고 천국에 대한 강한 열망을 보여주고 있다.
Where we almost, yea, more than maiired are.
This flea is you and I, and this
Our marriage bed, and marriage temple is.
Though parents grudge, and you, we're met,
And cloister'd in these living walls of jet.
Though use make you apt to kill me,
Let not to that self-murder added be,
And sacrilege, three sins in killing three.
Cruel and sudden, hast thou since
Purpled thy nail in blood of innocence?
Wherein could this flea guilty be,
Except in that drop which it suck'd from thee?
Yet thou triumph'st, and say'st that thou
Find'st not thyself nor me the weaker now.
'Tis true; then learn how false fears be;
Just so much honour, when thou yield'st to me,
Will waste, as this flea's death took life from thee.
이 벼룩만을 잘 보오. 그리고 이 벼룩 속에서
당신이 나를 거절함이 얼마나 사소한가를 보오.
이 놈은 나를 먼저 빨고, 이젠 당신을 빨아.
이 벼룩 속에 우리 둘의 피가 한 데 섞였소.
당신은 알고 있소. 이것이 죄나 수치나
처녀성의 상실이라 할 수 없음을.
하지만 이 놈은 구혼을 하기도 전에 즐기며,
두 피가 하나 된 것을 실컷 마셔 배불렀으니,
이는, 참말로, 우리가 하려는 것 이상이오.
오, 잠깐, 한 마리 벼룩 속에 세 목숨을 살려주오.
우리는 그 속에서의 결혼, 아니 그 이상을 했소.
이 벼룩은 당신과 나 그리고 이건
우리 신방이며, 결혼식 성전이오.
비록 부모가 싫어하고 당신도 그렇지만, 우리는 만나서,
살아있는 이 흑옥의 벽 속에 은거하고 있소.
당신은 나를 죽이는 것이 습관이지만,
그것에다 추가하지 마오. 자살과
신성모독을, 셋을 죽이는 세 가지 죄를.
잔인하고 황급하게, 당신은 이미
죄 없는 피로 당신의 손톱을 붉게 물들였단 말이오?
이 벼룩이 무슨 죄를 지었단 말이오?
당신한테서 빨아먹은 피 한 방울 말고?
그럼에도 당신은 기세 당당하게 말하기를
당신 자신도 나도 그 때문에 더 약해진 것은 아니라 하는구려.
그건 사실이오. 그러니 두려움이 얼마나 허위인가를 배우시오.
꼭 그만큼의 정조가, 당신이 내게 몸을 맡길 때
소모될거요. 이 벼룩의 죽음이 당신에게서 앗아간 생명만큼만
존단, 그리고 형이상학파 시인들의 특징
John Donne의 시에는 당시 시인들이 즐겨 쓰고 주로 소재로 삼고 사용하던 기법인 시적 장식이나 그리스 또는 라틴의 전설과 신화 같은 것이 존재하지 않는다. 또한 그의 시에는 르네상스 시에 흔히 등장하는 목동이나 아름다운 장미화원이나 초원 같은 것 또한 존재하지 않는다. 이러한 시풍은 당시까지 존재하고 알려져 있던 시단의 인습과는 전혀 다르고 새로운 시풍이었고, 이것은 그의 시가 리얼리스틱하다는 것을 말해주고 있다.
John Donne은 또한 언어와 운율의 측면에서도 그는 영국시의 흐름을 수정하였다. 인습적인 시어와 비유, 그리고 부드러운 리듬 대신에 과거에는 풍자시에서나 사용했음직한 반어적 표현과 일상 어법으로 구어적 리듬을 창조해 내는데 까지 이르게 된다.
가볍고 재기 발랄한 초기의 연애시에서 후기에는 침울한 종교시로 변화하게 된다.
그의 후기시에서는 죄나 죽음의 의식과 신앙이 복잡하게 서로 갈등하는 긴박한 고백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대담한 이미지에 의한 격렬한 신에의 부르짖음으로 나타나 있다.
세속적인 연애시 안에서는 Carpe-diem풍의 인생관을 보여주며 지성적인 예리함과 감각적 내지는 관능적 정열로 인생의 유한성과 무상에 대한 날카로운 인식을 보여주며 리얼리스틱한 면을 강하게 나타내고 강조하고 있다. 그리고 일상적인 언어를 사용하여 논리적인 전개를 보여준다. 마지막으로 종교시에서는 기발한 기상을 사용하여 현실과 신앙세계의 갈등 그리고 천국에 대한 강한 열망을 보여주고 있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