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neumothorax(자연기흉) 케이스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Pneumothorax(자연기흉) 케이스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Ⅱ. 문헌고찰

Ⅲ.연구기간 및 방법

Ⅳ.간호과정
1. 간호사정
(1)개인력
(2)건강력
(3) 신체검진
(4) 진단을 위한 검사
(5) 투약
2.간호과정 적용

참고문헌

본문내용

알수있다.
2.심호흡은 폐를 확장시킴으로서 보다 안정된 상태를 유지 할수있다.
3.반좌위는 폐확장을 최대한 도울 수 있는 체위 이므로 심장질환과 호흡장애가 있는 환자에게 적당하다. 흉복부 수술 후 호흡기능을 최대화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4.시끄러운 환경은 환자가 불안해 하여 호흡곤란이 올수 있으므로 조용한 환경을 유지해야한다.
5.정확한 정보는 환자와 간호사 사이의 신뢰를 쌓아 불안요소를 없애준다.
간호평가
1. 처음 응급실에 왔을 때 보다 호흡하기가 한결 편해졌다고 말하였다. 호흡곤란 사정 결과 10점 만점 중 3점이이라고 말하였으므로 5점 감소하였다. 산소포화도는 97%, 호흡은 20회/분으로 모두 정상범위 안에 들어왔다.
2. 그러나 이러한 관리 후에도 2L 용량의 비강 캐뉼라를 사용하고 있으므로 장기목표는 이루지 못하였다. 입원 후 추후 관리가 필요해 보인다.
2. 간호진단
일시
간호사정
<주관적자료>
-“가슴이 쥐어짜는 것처럼 아파요, 아파!!!”
-“숨 쉴때마다 통증이 너무 심해져요”
<객관적자료>
-환자가 왼쪽 가슴부위를 손으로 계속 치고 있다.
-통증사정척도 10점 만점 중에 9점
-얼굴을 찡그림
맥박: 124회/분
간호진단
흉막강내 공기유입과 관련된 급성통증
간호목표
<단기목표>
2시간 이내에 통증 정도가 9점에서 4점으로 감소한다.
<장기목표>
대상자는 통증이 경감되고 편안함을 나타낸다.
간호계획
1.활력징후를 1시간마다 측정한다.
2.통증의 부위와 정도를 통증사정척도를 이용하여 사정한다.
3.통증완화요법에 대해서 알려준다.
4.통증 부위에 마사지를 하도록 한다.
5.대상자가 편안한 환경과 체위를 취하도록 도와준다.
6.PRN) Clonac 0.5a/IM
간호수행
1. 9/26 6:14pm BT 37.2℃ P 124회/분 R 28회/분 BP 140/90㎜Hg
7:14pm BT 37.0℃ P 102회/분 R 24회/분 BP 130/80㎜Hg
8:14pm BT 36.7℃ P 88회/분 R 20회/분 BP 110/80㎜Hg
2. 계속 왼쪽 가슴을 치는 모습을 보고 통증 부위를 사정하고 0~10까지 높을수록 제일 아픈 것이라고 말하고 어느 정도 아프냐고 물으니 9라고 말했다.
3.심호흡법에 대해서 알려주었다. 코로 숨을 깊이 들이 마시고 천천히 숨을 내뱉을 때 하나, 둘, 셋, 넷을 속으로 세도록 한다.
10회정도 반복하며 수시로 하라고 말했다.
4.대상자와 보호자에게 왼쪽 가슴이 아프더라도 세게 치지말고 손바닥으로 가볍게 문지르도록 한다.
5.주변환경을 커텐으로 쳐서 조용하게 만들고 통증을 덜 느끼는 체위로 바꿔주었다. 측위와 반좌위가 편하다고 하여 처음엔 호흡곤란때문에 반좌위를 취해주고 측위로 바뀌게 도와주었다.
6. 9/26 6:50pm에 진통제를 맞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계속 아파하여 prn으로 처방난 clonac 0.5a/IM 으로 간호사선생님이 놓았다.
이론적 근거
1.활력징후는 환자의 상태를 평가할 수 있는 중요하고 유용한 지표이며, 통증 시 혈압과 맥박의 변화 및 호흡수의 증가가 나타날 수 있다.
2.통증의 양상을 사정함으로써 통증에 따른 적절한 치료를 하기 위함이다.
3.심호흡을 통해 정신적 혹은 육체적 긴장감을 완화하여 통증을 조절하고자 하는 것을 말한다.
4.손가락이나 손바닥으로 피부표면을 부드럽고 가볍게 토닥거리거나 문질러서 통증을 관리하고자 하는 방법을 말한다.
5.환경적 소음을 제거하고 편안한 체위를 취하도록 함으로써 환자의 안위를 증진시킬 수 있다.
6.급성통증은 우선적으로 중재되어야 할 징후로 신속히 중재되지 않은 경우 조직의 불필요한 손상을 초래한다.
간호평가
1.통증 정도는 9점에서 2점으로 감소하였다.
2.얼굴 찡그림도 거의 사라지고 nasal 로 산소공급을 받고 있었지만 편하게 앉아 있었다.
3. 간호진단
일시
간호사정
<주관적 자료>
-“그게 수술인가요?”
-“시술은 어떻게 하는 건 가요?”
-“그거 하면 돈 많이 나올텐데....”
-“몸의 흉터는 얼마나 남나요?”
-“얼마나 병원에 더 있어야 되요?”
-“엄마는 언제 온대요?”
<객관적 자료>
-미성년자라 보호자가 오는데 시간이 너무 오래걸려서 곁에 있어주지
못함
-손을 떨고 목소리가 떨림
-얼굴이 경직되어 보임
-불안사정척도 10점 만점에 8점
간호진단
시술과 관련된 불안
간호목표
<단기목표>
-대상자는 불안 척도가 8점에서 5점으로 감소한다.
<장기목표>
-대상자는 불암감이 경감되어 치료과정에 협조적이고 받게 될 시술에 대해 이해를 한다.
간호계획
1.불안의 정확한 원인을 사정한다.
2.궁금해하는 시술 부분에 대해 설명해 준다.
3.대상자의 말을 경청하고 감정을 표현하도록 돕는다.
간호수행
1.부모님이 옆에 계시지 않는 다는 점에 대해서 매우 불안해 했다.
의료진이 부모님과 통화하여 곧 오신다고 말씀해주셨다.
2.국소 마취에서 시행하며 흉관을 삽입하고자 하는 갈비뼈 사이에 1cm 크기의 절개를 하기 때문에 흉터는 너무 걱정할 필요가 없다고 말해 주었다. 시술시간도 10분에서 20분정도 걸리고 시술이 끝나면 부모님이 와 계실거라고 말해주었다. 그 외에 더 궁금한 점이 있으면 여쭤보시라고 말씀드렸다.
3.괜찮으세요?, 어디 불편한 곳은 없으세요? 라고 물으며 대상자 본인의 감정을 표현하도록 하였다.
이론적 근거
1.불안의 요인을 인식하는 것이 불안상승을 방지하기 위한 계획을 세우는 데 있어서 첫 단계이다.
2.지식부족이나 잘못 알고 있는 정보로부터 오는 불안은 설명을 듣고 이해하면 감소한다.
3.자신의 불안감을 말하고 누군가 잘 경청해주는 것으로 부터 불안감을 감소 시킬 수 있다.
간호평가
1.여전히 걱정되긴 하지만 처음보단 나아 지셨다고 말했고 정확히 수치로 표현하면 5점이라고 말해주었다.
2.목소리 떨림이 사라지고 조금 밝은 표정이었다.
참고문헌
전시자 外(2001) 성인간호학 上2. 현문사
이향련 外(2010) 성인간호학 Ⅰ . 수문사
홍영혜 外(2011) 최신 간호진단 . 수문사
홍근표 外(2000) 기본간호학I. 수문사
송미순 外(2002)진단적 검사와 간호. 현문사
퍼시픽 성인간호학.
참고사이트
네이버 백과사전
구글 백과사전
  • 가격2,200
  • 페이지수13페이지
  • 등록일2012.10.11
  • 저작시기2012.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7198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