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변수의 측정수준
2. 명목 변수의 설명과 예
3. 등간 변수의 설명과 예
4. 서열 변수의 설명과 예
5. 비율 변수의 설명과 예
Ⅲ. 결론
참고문헌
Ⅱ. 본론
1. 변수의 측정수준
2. 명목 변수의 설명과 예
3. 등간 변수의 설명과 예
4. 서열 변수의 설명과 예
5. 비율 변수의 설명과 예
Ⅲ.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가 가능한 척도로 서열척도 혹은 순위척도라고 하는 것은 석차, 사회계층, 교육수준, 매우만족, 보통, 매우 불만족의 형태로 측정된 만족도등과 같다. 세 번째 크기가 어느 정도나 되는지, 특성간의 차이가 어느 정도나 되는지 파악이 가능한 척도로 숫자의 의미가 있으나 절대 0은 없는 등간척도 혹은 구간척도라고 하는 것은 온도, IQ, 물가지수 등과 같다. 네 번째 가장 높은 수준의 척도로서, 가장 자세한 정보를 제공하고 서로의 구분, 크기의 비교, 크기의 차이 정도, 특성들 간의 수준까지 가능한 수준이며 절대 0을 갖는 비율척도는 길이, 무게, 소득, 나이기간(거주기간, 교육기간 등), 횟수(결혼횟수, 교육 강좌 참여 횟수 등)와 같다. 그리고 보다 높은 수준의 척도를 낮은 수준의 척도로 변형해서 사용할 수는 있으나, 낮은 수준의 척도를 높은 수준의 척도로 변형할 수는 없기 때문에, 더 낮은 수준의 측정일수록 적용할 수 있는 통계분석방법에 제한이 있다. 따라서 보다 높은 수준의 척도로 측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참고문헌
김영종, 사회복지조사방법론, 학지사, 2000
이군희, 사회과학연구방법론, 박영사, 2004
황창순, 사회복지조사론, 양서원, 2010
참고문헌
김영종, 사회복지조사방법론, 학지사, 2000
이군희, 사회과학연구방법론, 박영사, 2004
황창순, 사회복지조사론, 양서원, 2010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