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애착의 개념
Ⅱ. 애착이론
1) 정신분석이론
2) 학습이론
3) 인지-발달이론
4) 동물행동학이론
Ⅳ. 애착발달
1) 1단계(0~3개월) - 인간에 대한 비변별적 반응성
2) 2단계(3~6개월) : 낯익은 사람에게 촛점 맞추기
3) 3단계(6개월~3세) : 능동적 접근 추구
4) 4단계(3세~아동기 말까지) : 동반자 행동
참고문헌
Ⅱ. 애착이론
1) 정신분석이론
2) 학습이론
3) 인지-발달이론
4) 동물행동학이론
Ⅳ. 애착발달
1) 1단계(0~3개월) - 인간에 대한 비변별적 반응성
2) 2단계(3~6개월) : 낯익은 사람에게 촛점 맞추기
3) 3단계(6개월~3세) : 능동적 접근 추구
4) 4단계(3세~아동기 말까지) : 동반자 행동
참고문헌
본문내용
터 멀리 가기도 하는데, 이는 애착 인물을 탐색하기 위한 시발점이다. 어떤 연구 보고에 의하면, 2세 된 아기는 엄마로부터 200피트 이내에서만 탐색하려 한다고 한다(Bowlby). 아기의 애착은 7~8개월경에 가장 뚜렷하게, 그리고 배타적으로 나타나며, 낯선 이에 대해 두려움을 보여서 낯가림이 시작된다. 이 시기의 애착이 어느 정도 강해졌는지의 강도는 애착 인물이 떠나갈 때 우는 정도로 알 수 있으며, 이를 격리 불안(seperation anxiety)이라고 한다. 이 단계는 양친과 접촉을 유지하는 능력이 발달하지만 적어도 3세까지는 불완전하게 남아 있다. 즉 3세 이전에는 아기들은 무조건 애착 대상과 가까이, 함께 있기를 원한다.
4) 4단계(3세~아동기 말까지) : 동반자 행동
3세 이후에 아동은 애착인물이 없는 동안에도 애착 인물의 행동을 상상할 수 있는 동반자와 같은 관계로 행동할 수 있다. 청년들은 양친에게서 벗어나 다른 사람에게 애착을 형성하고, 성인들은 스스로 독립적이라고 생각하지만 위기가 닥쳐오면 사랑하는 사람과 가까이 있으려 하고, 노인들은 젊은이에게 의존해야 하는 것 등은, 인류의 본성에 자리 잡고 있는 애착의 욕구 때문이라고 보울비는 설명하고 있다.
참고문헌
보육과정 김연진 외 3명 태영출판사 Page 187~197
보육학개론 이순형 외 공저 학지사 Page 211~214
영유아 보육. 교육프로그램의 이해 이순형 외 공저 학지사
아동복지 / 전남련 / 형설출판사
아동복지의 이해 / 윤황지 / 학문사
아동복지 / 성영혜, 김연진 / 동문사
현대사회와 아동 / 김현용 외 / 소화
4) 4단계(3세~아동기 말까지) : 동반자 행동
3세 이후에 아동은 애착인물이 없는 동안에도 애착 인물의 행동을 상상할 수 있는 동반자와 같은 관계로 행동할 수 있다. 청년들은 양친에게서 벗어나 다른 사람에게 애착을 형성하고, 성인들은 스스로 독립적이라고 생각하지만 위기가 닥쳐오면 사랑하는 사람과 가까이 있으려 하고, 노인들은 젊은이에게 의존해야 하는 것 등은, 인류의 본성에 자리 잡고 있는 애착의 욕구 때문이라고 보울비는 설명하고 있다.
참고문헌
보육과정 김연진 외 3명 태영출판사 Page 187~197
보육학개론 이순형 외 공저 학지사 Page 211~214
영유아 보육. 교육프로그램의 이해 이순형 외 공저 학지사
아동복지 / 전남련 / 형설출판사
아동복지의 이해 / 윤황지 / 학문사
아동복지 / 성영혜, 김연진 / 동문사
현대사회와 아동 / 김현용 외 / 소화
추천자료
애착의 개념과 이론들과 반응성 애착장애
기질, 애착, 정서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고 그것이 성인이 된 다음 사회성 발달과 어떤 관련이...
(아동행동연구) 이상행동(반응성애착장애, 분리불안장애 등)과 발달 보고서
인간의 발달과정에서 애착의 형성과저에 미치는 요인에 대해 기술하기
애착의 발달과 형성과정을 학자별로 조사하여 기술하시오
지역애착도의 개념과 구성 요인
지역 애착도의 개념과 구성 요소와 유형
지역 애착도의 개념과 구성요소
[영유아발달]아동의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중 기질과 애착에 관해 서술하고, 안정적 애...
애착(愛着/attachment)의 개념과 유형, 애착이 사회성에 끼치는 영향
본인의 발달과정에서 영아기의 부모와의 관계, 애착관계가 유아기, 아동기, 청소년기를 거쳐 ...
(아동발달 보울비의 애착이론)보울비의 생애, 애착의 기재, 애착의 4단계, 개인의견
[영유아 발달장애] 영유아기 발달이상(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 자폐성 장애, 정신지체, 반응...
아동발달의 생물학적 접근 - 게젤의 성숙이론, 동물행동학이론(로렌츠의 각인이론, 보울비의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