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동 청소년 복지의 현황과 관련 정책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아동 청소년 복지의 현황과 관련 정책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동·청소년의 권리·참여체험을 통한 참여역량 강화가 필요하다. 중·고등학교 청소년 중 권리교육 유경험자 비율은 전체의 13.5%이다(한국청소년개발원, 2003). 청소년참여위원회 설치현황 및 설치율은 111개소(45%)(505)→130개소(53%)(306)→146개소(59%)(907)로 나타났으며, 청소년운영위원회 설치현황 및 설치율은 170개소(53%)(305)→210개소(65%)(506)→250개소(78%)(807)로 집계되었다.
청소년 자원봉사 활동현황은 861,142명(03)→1,328,378명(04)→1,529,910명(05)→1,711,209명(06)→2,355,568(07)이 참여했다.
2) 아동·청소년 주요정책
(1) 권리보장 및 참여증진
2006년부터 한국보건사회연구원 내 아동권리 모니터링 센터를 설치·운영해 오고 있으며 2009년 아동·청소년 맞춤형 권리교육 교재를 개발하여 관련 교육기관에 배포하여 권리교육을 실시하는데 사용하고 있다.
(2) 안전 및 보호강화
안전한 생활환경 조성을 위하여 2006년 저출산 고령사회 기본계획에 반영하여 아동 안전사고 예방사업을 추진해 오고 있다.
또한, 유해환경 개선 및 유익환경 조성을 위하여 유해환경 감시단을 운영하고 있으며, 청소년 음주·흡연예방을 위한 모니터링 및 사회분위기 조성 제도개선 등을 통하여 노력하고 있다.
유해행위로부터 보호를 위해 전국아동보호 전문기관에서 아동학대 예방사업과 실종예방 및 조기 발견을 위하여 2005년 실종아동 등의 보호 및 지원에 관한 법률을 제정하였다.
(3) 건강증진
아동·청소년의 건강한 신체발달을 위하여 식생활 및 비만·저체중 관리, 질병예방 및 관리, 간접흡연으로부터의 보호 등의 사업을 추진하고 있으며, 정신건강 향상을 위하여 정신질환 예방, 정신건강 서비스 연계체계 강화 및 인식향상 교육 등을 추진하고 있다.
(4) 역량개발
아동·청소년의 역량 강화를 위하여 글로벌 인재양성 지원강화, 국내·외 아동·청소년의 교류프로그램의 다양화, 다문화 수용성 증진 등이 추진되고 있으며, 민주시민 역량 강화를 위한 시민윤리교육, 올바른 경제관 함양
(5) 공평한 출발 기회의 보장
아동·청소년의 기본생활을 보장하기 위한 경제적 지원은 아동·청소년 양육비, 교육비 지원, 장애 아동·청소년 부양비 지원, 급식 및 의료비 지원을 들 수 있고 통합적 지원으로는 드림스타트사업, 방과후 활동 지원(방과후 아카데미, 방과후학교, 지역아동센터)과의 연계 강화 등을 추진하고 있다.
그리고 아동·청소년의 보호 및 위기관리 강화와 역량 강화와 자립지원, 한부모·조손입양·위탁가장 지원, 다문화·새터민 가족지원사업 등 가족의 유형에 따라 지원 유형을 달리하여 가족해체나 위기 등을 이겨내도록 가족 유형별 지원을 함으로써 공평한 출발 기회의 보장을 위한 노력을 하고 있다.
참고문헌
아동복지 / 전남련 / 형설출판사
아동복지의 이해 / 윤황지 / 학문사
아동복지 / 성영혜, 김연진 / 동문사
현대사회와 아동 / 김현용 외 / 소화
사회복지학개론. 이정서,김상철,박성택 공저. 유풍

추천자료

  • 가격2,3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2.10.23
  • 저작시기2012.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7271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