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20세기 인류 문화의 공과-과학문명의 발달과 세계대전
2. 21세기 인류문화가 지향해야 할 것-과학문명 발달과 환경
Ⅲ 결론
Ⅳ 참고문헌
Ⅱ 본론
1. 20세기 인류 문화의 공과-과학문명의 발달과 세계대전
2. 21세기 인류문화가 지향해야 할 것-과학문명 발달과 환경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과의 공존 가능성을, 물질적 복리보다는 질 높은 삶의 가능성을 추구하는 이성의 본래적 기능을 회복함으로써 모색될 수 있을 것이다. 현재를 살아가고 있는 우리들에 의해 자연과 인간에 대한 성숙한 인식과 삶에 대한 새로운 가치관, 기술에 대한 성숙한 통제의식의 토대 위에서 설정되어야 할 실천적 요청인 것이다. 그것은 우리가 자연과 얼마나 조화롭게, 건강하게, 그리고 얼마나 인간적으로 살기를 원하느냐하는 우리의 목표에 따라 선택되고, 실천되어야 할 과제로 주어지는 것이다.
Ⅲ 결론
이상과 같이 20세기 인류 문화의 공과와 21세기 인류문화의 지향해야 할 점에 대해 살펴보았다. 1914년에 세계는 길을 잘못 들어섰다. 인간을 위해 만들어지고 발전되어진 과학문명을 인간을 파멸로 몰고 간 전쟁에 활용했기 때문이다. 그 잘못된 길을 세계는 지금도 가고 있다. 바로 과학문명으로 인해 환경을 파괴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성을 가진 사람이라면 파멸로 치닫고 있는 세계의 이 광기를 결코 도와서는 안 된다. 환경은 생명체가 존속할 수 있기 위한 존재기반이다. 동시에 과학기술 역시 인간 생존에 필수불가결한 요건임에 분명하다. 하지만 과학기술로부터 비롯되는 현대의 반환경적인 상황이 인류의 생존 문제와 직결된다는 점 또한 분명하다. 그렇다면 생명체의 존속이라는 차원에서 환경 문제를 도외시한 그 어떠한 접근방식도 올바른 방식이라고 보기 어렵다. 특히 과학의 기술적 적용에 따른 유용성의 제공은 인간 이성과 욕구 사이의 갈등적 상황을 야기할 수 있는 근거가 된다. 말하자면 도구의 이성의 영역 확장과 함께 자연의 수단화라는 한 축과 인간의 욕구 충족이라는 또 다른 축이 서로 맞물리면서 이성의 본래적 기능 상실과 자연의 파괴라는 원치 않은 결과를 야기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성의 본래적 기능은 더 나은 진리와 가치를 추구하고 자신의 삶의 환경을 새로이 창출해내는 가치 지향적인 비판 능력에 있다. 결국 그 기능은 이성이 추구하는 목적에 따라 욕구를 통제해 나가는 이른바 목적-지도적인 역할을 수행하는데 있는 것이다. 따라서 현대문명의 반환경적 상황에 대해 비판하고 인류의 투명한 미래를 확보하는 하나의 새로운 환경과 그러한 삶의 조건을 모색하는 일은 본래적 이성이 마땅히 해결해야 할 과제인 것이다.
Ⅳ 참고문헌
- 문일영, “세계문화소사”, 금성출판사, 1994
- 홍병선, “과학기술문명의 본질과 환경문제”, 새한철학회, 2010
Ⅲ 결론
이상과 같이 20세기 인류 문화의 공과와 21세기 인류문화의 지향해야 할 점에 대해 살펴보았다. 1914년에 세계는 길을 잘못 들어섰다. 인간을 위해 만들어지고 발전되어진 과학문명을 인간을 파멸로 몰고 간 전쟁에 활용했기 때문이다. 그 잘못된 길을 세계는 지금도 가고 있다. 바로 과학문명으로 인해 환경을 파괴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성을 가진 사람이라면 파멸로 치닫고 있는 세계의 이 광기를 결코 도와서는 안 된다. 환경은 생명체가 존속할 수 있기 위한 존재기반이다. 동시에 과학기술 역시 인간 생존에 필수불가결한 요건임에 분명하다. 하지만 과학기술로부터 비롯되는 현대의 반환경적인 상황이 인류의 생존 문제와 직결된다는 점 또한 분명하다. 그렇다면 생명체의 존속이라는 차원에서 환경 문제를 도외시한 그 어떠한 접근방식도 올바른 방식이라고 보기 어렵다. 특히 과학의 기술적 적용에 따른 유용성의 제공은 인간 이성과 욕구 사이의 갈등적 상황을 야기할 수 있는 근거가 된다. 말하자면 도구의 이성의 영역 확장과 함께 자연의 수단화라는 한 축과 인간의 욕구 충족이라는 또 다른 축이 서로 맞물리면서 이성의 본래적 기능 상실과 자연의 파괴라는 원치 않은 결과를 야기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성의 본래적 기능은 더 나은 진리와 가치를 추구하고 자신의 삶의 환경을 새로이 창출해내는 가치 지향적인 비판 능력에 있다. 결국 그 기능은 이성이 추구하는 목적에 따라 욕구를 통제해 나가는 이른바 목적-지도적인 역할을 수행하는데 있는 것이다. 따라서 현대문명의 반환경적 상황에 대해 비판하고 인류의 투명한 미래를 확보하는 하나의 새로운 환경과 그러한 삶의 조건을 모색하는 일은 본래적 이성이 마땅히 해결해야 할 과제인 것이다.
Ⅳ 참고문헌
- 문일영, “세계문화소사”, 금성출판사, 1994
- 홍병선, “과학기술문명의 본질과 환경문제”, 새한철학회, 2010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