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관련이론
2. 실험 결과
3. 결론 및 토의
4. 레퍼런스
2. 실험 결과
3. 결론 및 토의
4. 레퍼런스
본문내용
4
6V
0.2 mA
2.2k
2.1k
10
11
22k
21.8k
0.54
0.0024
5.07
5.75
공급
전원
전류
R1
R2
R3
R4
저항값
측정값
저항값
측정값
저항값
측정값
저항값
측정값
1
4.5V
6.54 mA
220
215
390
384
100
90.4
220
215
2
3V
3.75 mA
100
99.4
220
215
390
384
100
99.4
3
2.5V
2.68 mA
220
215
390
384
100
99.4
220
215
4
6V
0.24 mA
2.2k
2.1k
10
11
22k
21.8k
2.2k
2.1k
공급
전원
ITA (220R)
IC (390R)
ID (100R)
ITB (220R)
저항값
측정값
저항값
측정값
저항값
측정값
저항값
측정값
1
4.5V
8.861mA
8.1mA
1.8mA
1.7mA
7.053mA
7mA
8.86mA
8.1mA
2
3V
5.774mA
5.2mA
1.172mA
1mA
4.572mA
4.6mA
5.77mA
5.2mA
3
2.5V
4.811mA
4.8mA
0.98mA
0.9mA
3.829mA
3.8mA
4.811mA
4.8mA
4
6V
11.55mA
11.3mA
2.359mA
2.4mA
9.201mA
9.2mA
11.55mA
11.3mA
3. 결론 및 토의
가. 멀티 미터 사용법
멀티미터로 전류, 전압, 저항을 측정하였다. 저항이나 전압을 측정할 때와 전류(A)를 측정할 때는 연결선이 다르므로 주의해야 한다. 측정하고자 하는 종류(V, A, )를 선택하고 측정봉 2개를 각각 도선에 갖다대면 측정값이 멀티미터에 표시된다. 단위가 다르므로 값을 읽을 때 주의해서 읽어야 한다.
표 1.5 실험에서 회로를 구성한 뒤에 전류를 측정하기 위해 멀티미터기로 저항기의 몸체 양쪽에 가져다대고 측정하였는데 전류가 측정되지 않았다. 여러 시도 끝에 전류를 측정하였는데, 회로를 완전히 구성한 상태에서 측정하면 측정이 되지 않았다. 한쪽 전선 끝을 회로기판에서 빼어내어 회로를 끊은 뒤에 측정봉을 갖다대어 측정해야 전류가 측정되었다.
전압을 측정했을 때 부호가 반대로 나오면 측정봉의 순서를 바꿔서 측정하면 반대부호의 전압이 측정되었다.
나. 전원 공급기 사용법
전원 공급기에는 A와 B의 두 채널이 있었다. 전원공급기에서 +와 -극쪽에 도선을 연결하고 -극과 그라운드를 도선으로 연결해주어야 한다. 그리고 전원공급기의 +극과 -극에 연결된 도선을, 구성한 회로에 연결해주면 전원이 공급되었다.
다. 저항 측정
멀티미터를 사용하여 저항을 측정할 수 있었다. 측정하고자 하는 저항기의 양쪽 도선에 측정봉(테스터봉)을 갖다되면 저항기에 걸린 전압을 구할 수 있다.
계산값과 측정값에서 약간의 오차가 발생하였다. 실제로는 전선에도 미세한 저항이 있고, 저항기가 약간의 오차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계산값과 측정값에서 차이가 발생한 것 같다.
저항기 몸체에 표시된 선색을 보고 저항 값을 측정하는 실험에서는 정확한 색을 구분하기가 쉽지 않았다. 평소에 저항기 몸체에 표시된 선색 보는 연습을 하며 색에 조금이라도 익숙하게 연습을 해놓는 연습이 필요하다고 생각되었다.
라. Ohm의 법칙과 Kirchhoff의 법칙
옴의 법칙 V=IR을 이용하여 계산을 했는데 값이 너무 크거나 작게 나온 경우가 있었는데 단위가 A가 아니라 mA여서 값이 잘못 나온 것이었다.
키르히호프의 전류 법칙을 이용하여 전류를 측정해 봄으로서 이론으로만 배웠던 키르히호프의 전류법칙에 대한 이해도가 높아졌다.
마. 기타 / 종합
표 1.4에서는 2.5V가 나와야 하는데 2.53V가 나왔다. 전원 공급기에서 5V를 공급해주었지만 실제로는 5V보다 약간 더 많은 전압이 공급되어서 2.53V가 나온 것 같다.
회로기판을 사용하여 회로를 만들었을 때, 회로가 작동되지 않는 경우가 많았다. 회로를 구성하고 전선 끝을 회로기판 안쪽까지 깊숙하게 최대한 밀어 넣으니 작동되었다. 회로기판을 사용할 때는 항상 전선 끝을 구멍 깊숙이 넣도록 주의가 필요했다.
4. 레퍼런스
- 회로이론(Electric Circuits) 8판 / James W.Nilsson 지음 / p.35 ∼ p.36
- 일반 물리학 / Marcelo Alonse Edward J. Finn / 부산대학교 물리학 교재편찬위원회
/ p.646 ∼ p.658
- 네이버 백과사전 / 키르히호프의 법칙 / http://www.naver.com /
- 위키피디아 / 멀티미터 / http://ko.wikipedia.org /
6V
0.2 mA
2.2k
2.1k
10
11
22k
21.8k
0.54
0.0024
5.07
5.75
공급
전원
전류
R1
R2
R3
R4
저항값
측정값
저항값
측정값
저항값
측정값
저항값
측정값
1
4.5V
6.54 mA
220
215
390
384
100
90.4
220
215
2
3V
3.75 mA
100
99.4
220
215
390
384
100
99.4
3
2.5V
2.68 mA
220
215
390
384
100
99.4
220
215
4
6V
0.24 mA
2.2k
2.1k
10
11
22k
21.8k
2.2k
2.1k
공급
전원
ITA (220R)
IC (390R)
ID (100R)
ITB (220R)
저항값
측정값
저항값
측정값
저항값
측정값
저항값
측정값
1
4.5V
8.861mA
8.1mA
1.8mA
1.7mA
7.053mA
7mA
8.86mA
8.1mA
2
3V
5.774mA
5.2mA
1.172mA
1mA
4.572mA
4.6mA
5.77mA
5.2mA
3
2.5V
4.811mA
4.8mA
0.98mA
0.9mA
3.829mA
3.8mA
4.811mA
4.8mA
4
6V
11.55mA
11.3mA
2.359mA
2.4mA
9.201mA
9.2mA
11.55mA
11.3mA
3. 결론 및 토의
가. 멀티 미터 사용법
멀티미터로 전류, 전압, 저항을 측정하였다. 저항이나 전압을 측정할 때와 전류(A)를 측정할 때는 연결선이 다르므로 주의해야 한다. 측정하고자 하는 종류(V, A, )를 선택하고 측정봉 2개를 각각 도선에 갖다대면 측정값이 멀티미터에 표시된다. 단위가 다르므로 값을 읽을 때 주의해서 읽어야 한다.
표 1.5 실험에서 회로를 구성한 뒤에 전류를 측정하기 위해 멀티미터기로 저항기의 몸체 양쪽에 가져다대고 측정하였는데 전류가 측정되지 않았다. 여러 시도 끝에 전류를 측정하였는데, 회로를 완전히 구성한 상태에서 측정하면 측정이 되지 않았다. 한쪽 전선 끝을 회로기판에서 빼어내어 회로를 끊은 뒤에 측정봉을 갖다대어 측정해야 전류가 측정되었다.
전압을 측정했을 때 부호가 반대로 나오면 측정봉의 순서를 바꿔서 측정하면 반대부호의 전압이 측정되었다.
나. 전원 공급기 사용법
전원 공급기에는 A와 B의 두 채널이 있었다. 전원공급기에서 +와 -극쪽에 도선을 연결하고 -극과 그라운드를 도선으로 연결해주어야 한다. 그리고 전원공급기의 +극과 -극에 연결된 도선을, 구성한 회로에 연결해주면 전원이 공급되었다.
다. 저항 측정
멀티미터를 사용하여 저항을 측정할 수 있었다. 측정하고자 하는 저항기의 양쪽 도선에 측정봉(테스터봉)을 갖다되면 저항기에 걸린 전압을 구할 수 있다.
계산값과 측정값에서 약간의 오차가 발생하였다. 실제로는 전선에도 미세한 저항이 있고, 저항기가 약간의 오차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계산값과 측정값에서 차이가 발생한 것 같다.
저항기 몸체에 표시된 선색을 보고 저항 값을 측정하는 실험에서는 정확한 색을 구분하기가 쉽지 않았다. 평소에 저항기 몸체에 표시된 선색 보는 연습을 하며 색에 조금이라도 익숙하게 연습을 해놓는 연습이 필요하다고 생각되었다.
라. Ohm의 법칙과 Kirchhoff의 법칙
옴의 법칙 V=IR을 이용하여 계산을 했는데 값이 너무 크거나 작게 나온 경우가 있었는데 단위가 A가 아니라 mA여서 값이 잘못 나온 것이었다.
키르히호프의 전류 법칙을 이용하여 전류를 측정해 봄으로서 이론으로만 배웠던 키르히호프의 전류법칙에 대한 이해도가 높아졌다.
마. 기타 / 종합
표 1.4에서는 2.5V가 나와야 하는데 2.53V가 나왔다. 전원 공급기에서 5V를 공급해주었지만 실제로는 5V보다 약간 더 많은 전압이 공급되어서 2.53V가 나온 것 같다.
회로기판을 사용하여 회로를 만들었을 때, 회로가 작동되지 않는 경우가 많았다. 회로를 구성하고 전선 끝을 회로기판 안쪽까지 깊숙하게 최대한 밀어 넣으니 작동되었다. 회로기판을 사용할 때는 항상 전선 끝을 구멍 깊숙이 넣도록 주의가 필요했다.
4. 레퍼런스
- 회로이론(Electric Circuits) 8판 / James W.Nilsson 지음 / p.35 ∼ p.36
- 일반 물리학 / Marcelo Alonse Edward J. Finn / 부산대학교 물리학 교재편찬위원회
/ p.646 ∼ p.658
- 네이버 백과사전 / 키르히호프의 법칙 / http://www.naver.com /
- 위키피디아 / 멀티미터 / http://ko.wikipedia.org /
추천자료
옴의법칙
옴의법칙 예비보고서
키리히호프법칙(전류법칙KCL,전압법칙KVL)
옴의법칙
[뉴턴][뉴튼][뉴턴(뉴튼) 만유인력의 법칙][뉴턴(뉴튼) 운동법칙][뉴턴이론][뉴튼이론]뉴턴(...
옴의 법칙과 키르히 호프법칙
옴의법칙(Ohm's Law) 사전보고서
옴의 법칙 II
옴의_법칙에_대한_실험
옴의법칙 외 다수 정리
[전기회로 설계 및 실습] (예비 & 결과) 02장. 전원, DMM의 내부저항 측정장치 설계 - 교...
[기초전자실험] 옴의 법칙(Ohm`s law) : 옴의 법칙에 대해서 알아보고, 실제로 실험을 통해 ...
옴의법칙, 반도체 다이오드 (결과보고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