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학] 일상 언어속의 성차별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여성학] 일상 언어속의 성차별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두

2. 성차별의 정의

3. 일상 언어속의 성차별
 3-1. 언어속의 성차별의 원인과 배경
 3-2. 일상 언어속의 성차별 현황
 3-3. 속담속의 성차별
 3-4. 단어속의 성차별
 3-5. 순서와 관련된 성차별

4. 후기

본문내용

고착화하고 있었다. 유네스코가 지난 1999년 성차별적 어휘로 규정한 단어들도 외국어 영역에 사용된 것으로 조사됐다. salesman(1996학년도 8번), policeman(1998학년도 16번), 일반명사 man(2005학년도 3번)에 대해 유네스코는 각각 shop assistant, police officer, human 등의 단어로 대체하도록 권고한 바 있다. 또 `Ms`로 대체할 수 있는 `Mrs`나 `Miss` 등의 인물 표현 어휘도 2012학년도까지 모두 10번 사용된 것으로 조사됐다. 출처 MK신문
3-5. 순서와 관련된 성차별
성차별과 관련된 기사
국립국어원은 1일 신문과 방송, 인터넷 등 대중매체에서 흔히 나타나는 성차별적 언어 표현 5087개를 조사, 발표했다.
국어원이 지난해 9, 10월 3주 동안 한국여성정책연구원에 의뢰, 이날 발표한 성차별적 표현은 모두 5가지 유형으로 분류됐다. 이는 ▲성별 언어구조가 관용화된 것('형제애', '효자상품') ▲불필요하게 성을 강조한 것('여류명사', '여의사') ▲고정관념적 속성을 강조한 것('앳되어 보이는', '꼬리친다') ▲선정적 표현('쭉쭉빵빵', 'S라인' 등) ▲특정 성 비하('여편네', '부엌데기' 등) 등이다.
가장 흔히 눈에 띄는 성차별적 표현은 '선남선녀', '장인장모' 등 양성을 함께 지시할 때 남성을 앞세우는 말들로 나타났다. 이런 유형의 표현은 총 5087개 표현 중 모두 1677개나 차지했다. 국어원은 이 같은 표현은 명시적인 성차별 표현으로 보기 어려운 측면이 있더라도, '연놈', '계집사내'처럼 똑같이 양성을 지칭하면서도 여성이 먼저 오는 경우 대개 비하의 뜻이 담겨있다는 점을 들어 암시적인 성차별 표현으로 분류했다. 다음으로는 '미망인', '출가외인', '집사람'과 같은 성차별적 이데올로기를 표현하는 여성 관련 표현이 896개, '앳되어 보인다', '앙칼지다', '야들야들', '가녀린'과 같은 여성의 특정 속성을 지나치게 강조하는 표현이 559개로 집계됐다. -출처 Naver 뉴스
위와 같은 기사에서 볼 때 성별 언어구조가 관용화 되는 경우, 불필요하게 성을 강조한 경우, 고정 관념적 성격을 강조한 경우, 여성에 대한 선정적인 표현을 하는 경우, 특정 성비하적 언어 등 많은 경우 들이 있는데 특히 흔히 사용되는 여성 차별적 언어는 순서에서도 나타난다. 또 대표적인 예로 자녀들을 표현하는 말도 있는데 ‘1남 2녀’를 예로 들 수 있다. 보통 태어난 순서로 2녀가 먼저 태어나면 2녀 1남으로 표현할 수 도 있는데 굳이 남자를 앞으로 붙여 굳이 1남 2녀로 표현하는 것일까? 물론 아무 생각 없이 쓰는 말 한마디로 대상에 대한 인식은 굳어지게 마련이고 그게 왜 잘못된 것인지, 왜 편협한 시각을 포한한 말인지를 모르게 된다. 내가 생각하기에도 이러한 말들은 한순간에 바뀌기는 힘들 것 같다.
4. 후기
내가 성과학 과제로 여러 기사들을 찾아 읽어보고 다른 사람들의 의견도 들어보니 언어뿐만이 아니라 전반적인 모든 일상생활에서 성차별을 찾을 수 있다는 것을 깨달았다. 일상생활에서 자주 쓰는 은어나, 속담, 그리고 평범한 대화에서 까지 성차별이 있다는 것은 너무나 충격적이었다. 물론 그 성차별적인 언어들을 인식한다고 해서 오랫동안 이어온 관습과 세습들을 바꾼다는 것 자체가 쉬운 일은 아니기에 너무나 아쉬웠다. 하지만 그렇기에 내가 한 조사들이 더욱더 소중하고 반갑게 느껴졌다. 이제는 남성들도 열린 마음으로 객관적인 시각을 가지고 이러한 일상생활 언어에 깊이 스며든 성차별적인 요소들을 인식하려는 작은 시도들이 모여서 차츰 성차별이 줄어들었으면 좋겠고 꼭 그럴 수 있을 거라고 믿는다.

키워드

일상,   언어,   ,   성차별,   일상언어,   여성학,   여성,   성차
  • 가격1,8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12.10.28
  • 저작시기2012.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7351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