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rtezomib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서론
2. Bortezomib
3. Bortezomib의 개발과 발달
4. Core mode &
Improving of Translational Research
5. 조기개발원인과
우리나라에 시사하는 점

본문내용

CI, NCI, MDACC, UNC, FDA 등이 있다.
외곽과의 소통은 그 범위에 포함된 개개인을 통하여 형성된다. 이 개인들은 자기가 가진 것들을 교환하며(물질, 동물모델, 지식, 연결고리) 그렇게 함으로써 서로의 연구를 나아지게 한다. 회사가 bortezomib을 외부 연구가들에게, 특히나 경제적 어려움이 크게 달했을 시기에 할당하겠다는 결정은 결코 위험이 없는 결단이 아니었다. 회사는 외부 협력자가 특허 받은 발견들을 가져갈 수 있는 위험을 안고 있다. 외부 과학자와 약을 공유하는 것이 잠정적 이익 및 권리를 잃을 수 있는 위험을 갖고 있긴 하지만, 이 방법은 bortezomib을 시장에 다다르게 한 중요한 길을 텄다. bortezomib의 개발 이면의 과학이 잘 작용했다고는 하지만 많은 사람들은 독성이 너무 강할 것이라거나 시장이 너무 작은 규모라는 등 bortezomib의 상업적 잠재성을 믿지 않아 받아들이지 않았다. 하지만 그 시장은 오늘날 몇 가지 이유로 버젓이 자리잡고 있다. 먼저, Myogenics/ProScript ‘코어’가 매우 뛰어나고 규모가 작긴 하지만 과학 연구진들을 갖고 있었고 이들은 크게 영향을 끼칠만한 기본 발견들을 만들었다. 발견된 잠재적 저해제는 학술적 투자자들에게 배포하였고 그들의 세포에 대한 작용 지식을 빨리 획득할 수 있었다. 둘째로 협력체들이 브릿지를 통해 필수 지식의 세대를 가속화하여 빠른 승인을 얻었기 때문이다. 셋째로 한 번은 Millennium에서 ProScript의 팀이 추가적인 임상시도 및 마케팅을 위해 가치 있는 자원을 안정화했다. 넷째로 ProScript의 코어는 공공자원을 외곽범주의 사람들과 매우 효율적으로 이용하였다.
무엇보다도 bortezomib의 사례와 코어모델은 사회 및 개인의 상호작용을 특히 조명하며 이것이 transgational research를 가속화시키는 것을 보여준다. 기본적으로 의약품을 시장에 더 빨리 내놓는 데에 기여할 수 있는 사회정책 적인 주요점 몇 군데에 우리는 초점을 두어야 하며 아래에 나열하였다.
첫째, 연구기관에서 임상실험을 포함한 translational research에 드는 연방 및 산업 자본은 증가할 수 있다.
둘째, 연구기관과 제약업계 및 생명공학회사 간의 더 나은 협조는 또한 약을 빨리 시장에 내놓는 데에 기여할 수 있다.
셋째, NIH, FDA 및 이제 활동을 시작한 곳들과의 연계는 개선되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교육적 프로그램을 통해 대중, 지지그룹 및 사설 재단과의 연계를 더 하는 시스템이 더욱 이루어져야 한다.
5.조기 개발요인과 우리나라에 시사하는점.
앞의 모든 점을 미루어 보아 Bortezomib의 조기개발의 원인을 정리해보았다.
1. Core에 우수한 연구진들이 중요한 기초연구 성과를 산출하였고, 그러한 성과로부터 주위의 유능한 인재들이 후보물질을 개발하였다. Core의 연구진들은 연구뿐아니라 주위의 사람들로부터 인적네트워크를 구성하여 다양한 정보를 교류하며 나누었다.
2. 인적네트워크가 구성된 상태에서의 초기개발물질의 공개는 좀더 자세한 세부 기전을 발견하는데 도움이 될수있었다. 후에 더 이상 개발할 능력을 잃은 물질에 흥미를 잃게되어 공개하게 되지만 이것은 오히려 많은 연구진들에게 다양한 연구결과를 보여주는 결과를 낳게 되었다.
3. ProScript는 NCI, UNC, DFCI 등 공공 연구기관의 자원을 최대한 활용하였다.
4. 브릿지를 통해 연구결과의 정보교환은 좀더 가능성에 대한 확신을 주게 되었고 많은 공동연구가 진행되었다.
5. 적대적 인수합병이 아니기 때문에 물질자원을 잃지 않을 뿐만아니라 오히려 후에 개발가능성을 다시 확신하고 투자할수 있게 되었다.
우리나라의 경우 연구자금의 부족과 인적네트워크를 가진 유능한 과학자가 부족할 뿐 아니라 학회와 기업과의 소통이 잘 이루어지지 않고있다. 뿐만 아니라 공공연구기관 또한 활성화 되어있지 않기에 독단적인 연구가 진행되는 경우가 허다하다. Core model에 따라
Bortezomib의 발달은 Core모델에서의 연구진들에게 인적네트워크를 통해 자원의 교류가 필요할뿐아니라 비공개적이며 독단적인 연구가 아닌 공동연구를 이루어 공개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또한 학회와 기업과의 교류를 통하여 연구도중의 문제가 생길 경우 다시 기초연구를 행하는등의 피드백의 연구체제가 필요할것이다. 각자의 역할을 가지고 빠른 정보의 교류와 교환을 가지는 공공연구만이 좀더 우리나라의 제약산업에 박차를 가할수있을 것이다.

추천자료

  • 가격4,2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12.10.29
  • 저작시기2009.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7364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