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칠레의 밤》, 지식인이란, 문학이란 어떤 의미를 지니는가.
지식인의 역활
문학이란 무엇인가
지식인의 역활
문학이란 무엇인가
본문내용
어서 자신들의 양심을 속이고 글을 썼습니다. 그리고 그런 책들은 잊혀 지기 마련입니다. 세상에 존재했던 누군가는 진실을 쓴다는 점이 아직도 문학이 살아갈 수 있는 이유라는 생각이 듭니다. 진실을 추구한다는 것. 어떠한 상황에서라도 진실을 추구한다는 것. 그것은 이상 속에서나 존재하는 일일지도 모릅니다. 진실은 마주보는 것보다 늘 외면하는 것이 더 쉽습니다. 한 번만 눈을 감으면 자신의 삶은 평안해질 수 있는 것처럼 보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진실을 추구하기보다 자기 합리화를 하고 싶어집니다. 혼란한 시대, 혼란한 정치 상황, 고통 받는 민중. 자신이 마주한 진실이 너무나도 슬프고 고통스럽다면 차라리 외면하는 것이 더 편안해 보입니다. 하지만 누군가는 그 진실을 마주했습니다. 그렇기에 역사는 나아갑니다.
추천자료
1930년대 소설속에 등장하는 지식인의 특징
실천지향적 지식인 김남천
지식인을 위한 변명을 읽고
샤르트르의 지식인을 위한 변명을 읽고
현진건과 김소진 - 지식인 작가의 한 유형
1980년대 지식인의 현실참여시 - 곽재구.
지식인을 위한 변명을 읽고
(소설창작론)이태준의 단편 「패강냉」(패강랭)을 읽고 작품의 줄거리와 문학사적 의의에 대...
개화기 만국공법 인식의 양상 - 개화파지식인과 척사위정파의 비교
사료노트: 일제강점기 시기 조선 지식인들의 친일활동 - 내선일체와 황국 신민주의 그리고 징...
[1930년대][한의학][과학담론][현대시][소설]1930년대의 한의학, 1930년대의 과학담론, 1930...
광장 & 소문의 벽 - 이데올로기의 대립으로 인한 지식인의 고뇌 (최인훈 & 이청준, ...
청산별곡(靑山別曲) 창작자 보고서 (실연 당한 사람의 노래, 민란 가담한 자의 노래, 무신란 ...
새천년의 이상적인 지식인 상과 이상적인 학문하기의 의미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