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메모리 카드
2. 등장배경
3. 플래시 메모리
4. 메모리 카드의 종류
5. 메모리 카드 현재 기술 현황
6. 메모리 카드 기술
7. 소고
8. 참고문헌
2. 등장배경
3. 플래시 메모리
4. 메모리 카드의 종류
5. 메모리 카드 현재 기술 현황
6. 메모리 카드 기술
7. 소고
8. 참고문헌
본문내용
처리가 빠름
작은 크기에 비해 용량이 커서 응용기기들의 소형화에 적합
메모리 가운데 가장 큰 용량과 안정성을 가지고 있음
플래시 메모리 내부에 데이터 전송을 담당하는 콘트롤러를 지니고 있어 다른 장치에 써도 지장 없음
가격이 비싸며 데이터 용량이 적음
메모리 스틱(Ms)
익스트림 디지털 픽쳐 카드(XD)
스마트 미디어 카드(SMC)
1997년말 소니사가 독자적으로 개발
2002년 스마트 미디어 카드를 대체하기 위해 후지사와 올림푸스 사에서 만듬
1995년 일본의 도시바에 의해 개발
작고 가며우며 데이터 안정성이 높고 쓰기 방지 장치가 있어 데이터 보호
플래시 메모리 카드 중 가장 소형화, 경량화 되는 추세에 적합
DATA의 반영구적 저장, 읽기, 쓰기가 자유로운 플래쉬 메모리 카드
메모리 스틱을 사용하는 기기가 소니 제품뿐이어서 사용이 제한적이고 속도가 느리다
컨트롤러가 없어 얇지만 금색 접촉단자가 드러나 있어 안정성이 떨어짐
<메모리 카드별 특징표>
5. 메모리 카드 현재 기술 현황
시큐어디지털카드(SD)
멀티미디어 카드(MMC)
컴팩트 플래시 카드(CF)
2012년 9월 19일 반도체 전문기업 바른전자가 초박형 칩 적층(Ultra Thin Die Multi Stacking)기술을 적용해 세계 최대인 64GB 용량의 마이크로 SD카드 양산에 착수했다고 밝혔다.
삼성전자는 2012년 7월부터 스마트폰의 내장메모리로 사용되는 세계 최고 속도의 임베디드 멀티미디어 64GB eMMC 프로 클래스 1500카드(eMMC)의 양산에 돌입했다고 밝혔다.
2012년 3월 18일 렉사(Lexar)가 세계 최초 1,000배속 CF 카드 ‘프로페셔널 1000x’를 출시했다.
64GB, 연속 읽기와 연속 쓰기성능이 각각 45 MB/s, 10 MB/s 로 향상됐다
64GB, 읽기속도, 쓰기속도가 각각 140MB/s, 50MB/s로 스마트폰에 장착하는 외장형 메모리카드 중 가장 빠른 수준인 Class 10 제품보다 5배 이상 빠르다.
128GB, 150MB/s 전송 속도를 갖췄으며 UDMA 7에도 대응한다
대용량과 빠른 속도로 4세대 이동 통신 기반의 스마트폰, 태블릿 등 모바일 디바이스 시장에서 각광받을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두께가 1.2mm에 불과해 초슬림형 모바일기기 설계가 가능하다.
초고속 전송 속도를 보장해, DSLR 등을 이용하는 카메라 애호가나 프로 사진작가가 쓰기에 쾌적한 환경을 만들어 주는 제품이다
메모리 스틱(Ms)
익스트림 디지털 픽쳐 카드(XD)
스마트 미디어 카드(SMC)
2011년 6월 21일 메모리스틱 3종(모델명 MS-HX8B/HX16B/HX32B)을 출시한다고 밝혔다.
2009년 11월 24일 대세가 sd로 기울자 생산 중단 결정
도시바 소유의 메모리카드로 더 이상 생산 하고 있지 않다.
32GB, 50MB/s의 데이터 전송 속도,
1분 동안 최대 205장의 연사가 가능하다.
2MB/s 였으며
기기에서 분리 한 뒤 다시 장착 하면 제대로 읽지 못하는 문제가 종종 발생하였다.
소니의 각종 하드웨어와 최적의 호환성을 자랑한다
특히 알파, 핸디캠, 사이버샷 등으로 촬영한 풀 HD 동영상, 3D 동영상 저장 및 전송 시탁월한 성능을 확인할 수 있다.
6. 메모리 카드 기술
메모리 카드는 사용기술에 따라 SLC, MLC, HDLC로 나뉜다.
- SLC (Single Level Cell) : 하나의 셀에 1bit 저장.
SLC는 컵에 물이 담겨 있는지 안 담겨 있는지를 확인하여 물이 담겨 있으면 0, 비어 있으면 1 로 읽습니다.
SLC는 하나의 컵으로 0 또는 1 밖에 표현하지 못함.
- MLC (Multi Level Cell) : 하나의 셀에 2bit를 저장.
MLC의 경우에는 컵이 비어있으면 3, 물이 1/3 담겨 있으면 2, 물이 2/3 담겨 있으면 1, 물이 가득 차 있으면 0으로 읽습니다.
MLC는 하나의 컵으로 0, 1, 2, 3을 모두 표현할 수 있어, 같은 양의 셀에 두 배의 정보를 저장함.
- HDLC (high level data link control) : 동기식 고속 데이터전송을 능률적으로 실행하기 위한 제어방식.
HDLC의 특징은 임의의 비트열을 양방향으로 동시에 연속적으로 확실하게 전송
※ SLC와 MLC의 장단점
- 속도 : SLC가 훨씬 빠릅니다. (MLC는 데이터의 양을 조절하면서 기록해야 하기 때문에, 데이터 양 조절이 필요없는 SLC에 비해 기록 속도가 느립니다.)
- 가격 : MLC가 많이 쌉니다.
- 수명 : SLC가 훨씬 깁니다.(데이터를 수정할 때 SLC는 각 셀을 한번씩 새로 기록하지만, MLC는 각 셀을 두번씩 기록해야 합니다. MLC가 사용량이 많아 당연히 수명이 짧습니다.)
7. 소고
디지털시대, 그 시대가 입증하듯 다양한 제품의 메모리카드가 출시되고 있다. 다양한 제품들 중 선정하는데 있어서, 단지 가격만을 따지는 것이 아니라 가격대 성능비와 가격대 용량 비, 호환성까지 모두 따져, 사용자(소비자)에 적절한 용량과 기능과 가격적인 메리트를 감안해서 구매하는 방법을 알아야 할 것이다. 이러한 습관과 지식의 습득은 현대 사회의 빠른 정보화 조류에 부합하는 것으로 작용될 것이다.
이 메모리 산업의 중심에서 우리나라 기업들 또한 고군분투하고 있고 급부상한 국내 기업들이 앞으로도 이 분야에서 충분히 주도권을 잡을 수 있다고 생각한다.
8. 참고문헌
- 신문기사
아이 투데이(2011,6,21) 디지털 데일리(2009,11,24)(2012,8,2)
케이벤치(2009,11,30) 베타뉴스(2021,3,8) 헤럴드경제(2012,9,19)
- 블로그 및 카페
http://blog.naver.com/withsheand?Redirect=Log&logNo=66355912
http://blog.daum.net/kimgihyung/16591353
http://i-bada.blogspot.kr/2012/04/nornand.html#!/2012/04/nornand.html
- 플래시 메모리(저자명: 황재룡, 이정길)
- 기타 네이버 구글 검색 자료
작은 크기에 비해 용량이 커서 응용기기들의 소형화에 적합
메모리 가운데 가장 큰 용량과 안정성을 가지고 있음
플래시 메모리 내부에 데이터 전송을 담당하는 콘트롤러를 지니고 있어 다른 장치에 써도 지장 없음
가격이 비싸며 데이터 용량이 적음
메모리 스틱(Ms)
익스트림 디지털 픽쳐 카드(XD)
스마트 미디어 카드(SMC)
1997년말 소니사가 독자적으로 개발
2002년 스마트 미디어 카드를 대체하기 위해 후지사와 올림푸스 사에서 만듬
1995년 일본의 도시바에 의해 개발
작고 가며우며 데이터 안정성이 높고 쓰기 방지 장치가 있어 데이터 보호
플래시 메모리 카드 중 가장 소형화, 경량화 되는 추세에 적합
DATA의 반영구적 저장, 읽기, 쓰기가 자유로운 플래쉬 메모리 카드
메모리 스틱을 사용하는 기기가 소니 제품뿐이어서 사용이 제한적이고 속도가 느리다
컨트롤러가 없어 얇지만 금색 접촉단자가 드러나 있어 안정성이 떨어짐
<메모리 카드별 특징표>
5. 메모리 카드 현재 기술 현황
시큐어디지털카드(SD)
멀티미디어 카드(MMC)
컴팩트 플래시 카드(CF)
2012년 9월 19일 반도체 전문기업 바른전자가 초박형 칩 적층(Ultra Thin Die Multi Stacking)기술을 적용해 세계 최대인 64GB 용량의 마이크로 SD카드 양산에 착수했다고 밝혔다.
삼성전자는 2012년 7월부터 스마트폰의 내장메모리로 사용되는 세계 최고 속도의 임베디드 멀티미디어 64GB eMMC 프로 클래스 1500카드(eMMC)의 양산에 돌입했다고 밝혔다.
2012년 3월 18일 렉사(Lexar)가 세계 최초 1,000배속 CF 카드 ‘프로페셔널 1000x’를 출시했다.
64GB, 연속 읽기와 연속 쓰기성능이 각각 45 MB/s, 10 MB/s 로 향상됐다
64GB, 읽기속도, 쓰기속도가 각각 140MB/s, 50MB/s로 스마트폰에 장착하는 외장형 메모리카드 중 가장 빠른 수준인 Class 10 제품보다 5배 이상 빠르다.
128GB, 150MB/s 전송 속도를 갖췄으며 UDMA 7에도 대응한다
대용량과 빠른 속도로 4세대 이동 통신 기반의 스마트폰, 태블릿 등 모바일 디바이스 시장에서 각광받을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두께가 1.2mm에 불과해 초슬림형 모바일기기 설계가 가능하다.
초고속 전송 속도를 보장해, DSLR 등을 이용하는 카메라 애호가나 프로 사진작가가 쓰기에 쾌적한 환경을 만들어 주는 제품이다
메모리 스틱(Ms)
익스트림 디지털 픽쳐 카드(XD)
스마트 미디어 카드(SMC)
2011년 6월 21일 메모리스틱 3종(모델명 MS-HX8B/HX16B/HX32B)을 출시한다고 밝혔다.
2009년 11월 24일 대세가 sd로 기울자 생산 중단 결정
도시바 소유의 메모리카드로 더 이상 생산 하고 있지 않다.
32GB, 50MB/s의 데이터 전송 속도,
1분 동안 최대 205장의 연사가 가능하다.
2MB/s 였으며
기기에서 분리 한 뒤 다시 장착 하면 제대로 읽지 못하는 문제가 종종 발생하였다.
소니의 각종 하드웨어와 최적의 호환성을 자랑한다
특히 알파, 핸디캠, 사이버샷 등으로 촬영한 풀 HD 동영상, 3D 동영상 저장 및 전송 시탁월한 성능을 확인할 수 있다.
6. 메모리 카드 기술
메모리 카드는 사용기술에 따라 SLC, MLC, HDLC로 나뉜다.
- SLC (Single Level Cell) : 하나의 셀에 1bit 저장.
SLC는 컵에 물이 담겨 있는지 안 담겨 있는지를 확인하여 물이 담겨 있으면 0, 비어 있으면 1 로 읽습니다.
SLC는 하나의 컵으로 0 또는 1 밖에 표현하지 못함.
- MLC (Multi Level Cell) : 하나의 셀에 2bit를 저장.
MLC의 경우에는 컵이 비어있으면 3, 물이 1/3 담겨 있으면 2, 물이 2/3 담겨 있으면 1, 물이 가득 차 있으면 0으로 읽습니다.
MLC는 하나의 컵으로 0, 1, 2, 3을 모두 표현할 수 있어, 같은 양의 셀에 두 배의 정보를 저장함.
- HDLC (high level data link control) : 동기식 고속 데이터전송을 능률적으로 실행하기 위한 제어방식.
HDLC의 특징은 임의의 비트열을 양방향으로 동시에 연속적으로 확실하게 전송
※ SLC와 MLC의 장단점
- 속도 : SLC가 훨씬 빠릅니다. (MLC는 데이터의 양을 조절하면서 기록해야 하기 때문에, 데이터 양 조절이 필요없는 SLC에 비해 기록 속도가 느립니다.)
- 가격 : MLC가 많이 쌉니다.
- 수명 : SLC가 훨씬 깁니다.(데이터를 수정할 때 SLC는 각 셀을 한번씩 새로 기록하지만, MLC는 각 셀을 두번씩 기록해야 합니다. MLC가 사용량이 많아 당연히 수명이 짧습니다.)
7. 소고
디지털시대, 그 시대가 입증하듯 다양한 제품의 메모리카드가 출시되고 있다. 다양한 제품들 중 선정하는데 있어서, 단지 가격만을 따지는 것이 아니라 가격대 성능비와 가격대 용량 비, 호환성까지 모두 따져, 사용자(소비자)에 적절한 용량과 기능과 가격적인 메리트를 감안해서 구매하는 방법을 알아야 할 것이다. 이러한 습관과 지식의 습득은 현대 사회의 빠른 정보화 조류에 부합하는 것으로 작용될 것이다.
이 메모리 산업의 중심에서 우리나라 기업들 또한 고군분투하고 있고 급부상한 국내 기업들이 앞으로도 이 분야에서 충분히 주도권을 잡을 수 있다고 생각한다.
8. 참고문헌
- 신문기사
아이 투데이(2011,6,21) 디지털 데일리(2009,11,24)(2012,8,2)
케이벤치(2009,11,30) 베타뉴스(2021,3,8) 헤럴드경제(2012,9,19)
- 블로그 및 카페
http://blog.naver.com/withsheand?Redirect=Log&logNo=66355912
http://blog.daum.net/kimgihyung/16591353
http://i-bada.blogspot.kr/2012/04/nornand.html#!/2012/04/nornand.html
- 플래시 메모리(저자명: 황재룡, 이정길)
- 기타 네이버 구글 검색 자료
추천자료
[인간복제]생명복제기술의 현황과 전망(그림5포함)
국내 항공기 재료산업의 현황과 기술개발 전략
중국 과학기술 현황에 관한 고찰
자동차 저공해기술 현황과 NGV 기술 전망
유비쿼터스의 기술과 현황
우리나라의 인공위성과 위성 통신기술 현황과 발전방향
[지역연구]북유럽 스웨덴 핀란드의 주요 과학기술산업 현황소개와 사례분석
[지역연구]북유럽 스웨덴과 핀란드의 주요과학기술산업 현황과 사례소개
나노기술의 최근현황과 실제적용예,분체의 분쇄이론과 분쇄기의 종류
우리나라 주조 기술의 현황과 앞으로의 전망에 대하여 조사하기
유비쿼터스 기술과 지식정보자원 활용에 관한 고찰 - 지식정보자원의 개념과 중요성, 지식정...
GMO,기술혁신과 사회변화,유전자변형식품,GMO의 종류,유전자 변형과정,GMO의 현황
래프팅 - Rafting ( 래프팅, 래프팅 유형, 래프팅 기술, 래프팅 장비류, 노 젓는 법, 국외 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