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2
2. 관계 문헌의 개요 —————————————————————— 2
Ⅱ. 본론
1. 일반적인 사항 ——————————————————————— 9
2. 건강력 ——————————————————————————— 9
3. 산과력 ——————————————————————————— 9
4. 간호과정 ————————————————————————— 12
Ⅲ. 결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2
2. 관계 문헌의 개요 —————————————————————— 2
Ⅱ. 본론
1. 일반적인 사항 ——————————————————————— 9
2. 건강력 ——————————————————————————— 9
3. 산과력 ——————————————————————————— 9
4. 간호과정 ————————————————————————— 12
Ⅲ. 결론
본문내용
-HCV(Ab)
-
-
-
-
-
-
-
-
매독, 간염바이러스 감염유무, HIV감염유무
혈액응고 검사
prothrombin time
activated PTT
Fibrinogen
Bleeding Time
70~140(%)
27.2~38.4(sec)
200~400(mg/dL)
2.5~6.5(min)
91.0
29.0
370
2.6
출혈질환에 대한 선별검사로 혈소판과 응고인자 중 어느것에 양적으로 또는 기능적으로 문제가 있는지 선별
(3) 임상검사
(3) 현재 투약중인 약물
약품명
(성분명)
원리
투약방법
적응증/효과
부작용
근거
Fero C
임신 중 철분제
1회/일, 1cap씩 복용
임신을 하면 몸에서 필요로 하는 철분의 양이 임신 전에 비해 급격하게 증가하는데 철분의 섭취를 돕는다.
보통 식전 30분~1시간 정도나 식사사이에 복용하면 되는데 위장이 약한 사람은 오히려 위벽을 자극할 수 있으므로 식후나 잠자기 전에 먹는 것이 좋다.
빈혈은 아기의 조산, 저체중아, 태아발달 등 치명적인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며 엄마에게는 무기력증, 두통, 어지럼증, 두근거림 등 건강이 안 좋아 질 수 도 있다.
(4) Problem list
① 방광에 증대된 자궁의 압력이 가해져서 빈뇨
② 골반에 가해지는 압력, 태아의 압력으로 정맥귀환이 방해를 받아 의존성 부종
③ 임신후반기에 균형을 유지하기 위해 요추만곡이 심해져서 요통
④ 증대된 자궁 때문에 임부의 무게중심이 달라져서 균형감 변화
(5) 간호과정
간호진단 1) 체중증가 및 무게중심의 변화와 관련된 활동의 지속성 장애
일시
간호사정
(주관적, 객관적)
간호진단
목표
9/19
주관적 자료
“걷는게 어려워요, 조금만 걸어도 숨이 차요.”
“몸이 많이 부은 것 같아요.”
“허리 통증이 심해요.”
객관적 자료
체중증가(53kg→68kg) +15kg
뒤뚱거리며 걷는 모습
일어나고 앉는데 불편한 모습
체중증가 및 무게중심의 변화와 관련된 활동의 지속성 장애
단기 목표
대상자는 9/21까지 올바른 자세를 유지하고 불편감의 완화방법을 열거한다.
장기 목표
대상자는 분만 시 까지 일상생활을 편안하고 안전하게 했다고 말한다.
간호계획
간호수행
이론적 근거
간호평가 및 재계획
비정상적인 체중증가 여부와 불편감 및 활동장애의 여부를 사정한다.
① 임신 전의 몸무게와 현재(36주)의 몸무게를 비교한다.
② 15kg의 체중증가는 정상범위(11.5~16kg)의 안이라는 것을 설명했다.
③ ‘운동대화검사’시 운동을 하면서 동시에 말을 할 수 있음을 확인, 현재 상채에 안심하도록 설명했다.
정상체중인 임부의 총 체중증가는 11.5~16kg이다.
증대된 자궁 때문에 임부의 무게중심이 달라진다.
대상자는 9/21, 적절한 신체기전의 활용의 중요성에 대해 이야기 할 수 있다. 골반흔들기 운동을 직접 시범 보였고 낮은 굽의 신발을 착용하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신체적 활동장애의 완화방법을 교육한다.
① 물건을 들어올릴 때 허리를 구부리지 않고 무릎을 굽히도록 교육했다.
② 약한 복부근육 지지를 위한 임부용 거들사용을 권장했다.
③ 골반이 앞으로 향하게 걷고 낮은 굽의 신발을 착용하도록 설명했다.
적절한 신체기전의 사용, 요추만곡의 감소로 좋은 자세를 유지한다.
대상자와 함께 좋은 자세를 유지하고 올바른 신체기전을 연습한다.
① 골반흔들기 운동을 설명하고 함께 실시했다.
② 골반흔들기 운동을 하는 동안 복부근육을 수축시켜 복직근을 강화시키는 운동을 실시했다.
신체적 활동은 혈액순환을 증진시키고 피곤을 예방하고 신체적 편안함을 증진시키며 좋은 자세를 유지하는데 도움을 준다.
간호진단 2) 분만 임박에 따른 걱정과 관련된 수면장애
일시
간호사정
(주관적, 객관적)
간호진단
목표
9/19
주관적 자료
“첫 임신, 첫 분만이에요.”
“원래 이렇게 허리가 아픈거에요?”
“누워서 잠들려 하면 이런, 저런 생각에 잠들기 어려워요.”
객관적 자료
검진대기 동안 꾸벅꾸벅 조는 모습
피곤해 보인다
분만 임박에 따른 걱정과 관련된 수면장애
단기 목표
대상자는 9/22까지 8시간/일 이상의 편안한 야간수면을 한다고 말한다.
장기 목표
대상자는 분만 시 까지 불안과 관련된 처치가 필요하지 않고 정상적으로 분만준비에 임한다.
간호계획
간호수행
이론적 근거
간호평가 및 재계획
대상자의 수면장애 양상을 사정한다.
① 대상자의 야간수면 시간을 사정했다.(5시간 미만/일)
② 분만 임박 이외의 수면 방해 요인을 파악한다.
임부는 쉽게 피곤해지며 안절부절, 불안, 근심 걱정과 같은 피로증상을 보일 수 있다.
대상자는 야간수면에서는 자다 깨다 없이 편안히 8시간 이상의 수면을 취한다고 말했다.
하지만 아직 첫 분만에 대한 불안을 말했고 이완 요법 및 케겔운동을 지속적으로 실시한다고 말했다.
휴식과 수면의 중요성에 대해 교육했다.
① 매일 밤 충분한 수면의 필요성을 설명하고 휴식과 이완을 위한 측와위와 하지상승자세를 설명했다.
② 오전과 오후에 약 30분 정도씩 쉬고, 낮잠을 자도록 권했다.
짧은 휴식을 취할 때는 하지상승의 체위를 취해서 하지에서 오는 정맥순환을 증진시키고 부종과 정맥류를 완화, 누워서 휴식을 취할 때는 옆으로 누워 자궁의 관류를 증진시키고 태아-태반 산화작용을 증진시킨다.
분만에 대한 불안감을 완화시킬 목적으로 이완요법을 실시했다.
① 의식적 이완술을 설명하고 대상자와 함께 30분 동안 이완술을 실시했다.
② 케겔운동의 장점을 설명하고 시범보이며 대상자와 함께 실시했다.
의식적 이완은 의식적인 노력과 연습을 통해 몸과 마음의 긴장을 완화시켜주는 과정, 케겔운동은 생식기관 주위의 근육을 강화시키며 근력을 향상시켜 골반상의 근육이 분만 후 즉시 정상적인 기능을 회복하도록 돕는다.
Ⅲ. 결론
가상으로 사례연구 한 김님은 임신주수 36주의 정상임신 임부로 활동의 어려움과 불안을 주호소 했다. 활동의 지속성 장애는 대상자가 적절한 신체기전 활용의 중요성에 대해 이야기 하고, 골반흔들기 운동을 직접 시범보이고 낮은 굽의 신발을 착용하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수면장애는 야간수면에서 8시간 이상의 편안한 수면을 말했다. 하지만 첫 분만에 대한 불안에 이완요법 및 케겔운동을 지속적으로 실시한다고 말했다.
-
-
-
-
-
-
-
-
매독, 간염바이러스 감염유무, HIV감염유무
혈액응고 검사
prothrombin time
activated PTT
Fibrinogen
Bleeding Time
70~140(%)
27.2~38.4(sec)
200~400(mg/dL)
2.5~6.5(min)
91.0
29.0
370
2.6
출혈질환에 대한 선별검사로 혈소판과 응고인자 중 어느것에 양적으로 또는 기능적으로 문제가 있는지 선별
(3) 임상검사
(3) 현재 투약중인 약물
약품명
(성분명)
원리
투약방법
적응증/효과
부작용
근거
Fero C
임신 중 철분제
1회/일, 1cap씩 복용
임신을 하면 몸에서 필요로 하는 철분의 양이 임신 전에 비해 급격하게 증가하는데 철분의 섭취를 돕는다.
보통 식전 30분~1시간 정도나 식사사이에 복용하면 되는데 위장이 약한 사람은 오히려 위벽을 자극할 수 있으므로 식후나 잠자기 전에 먹는 것이 좋다.
빈혈은 아기의 조산, 저체중아, 태아발달 등 치명적인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며 엄마에게는 무기력증, 두통, 어지럼증, 두근거림 등 건강이 안 좋아 질 수 도 있다.
(4) Problem list
① 방광에 증대된 자궁의 압력이 가해져서 빈뇨
② 골반에 가해지는 압력, 태아의 압력으로 정맥귀환이 방해를 받아 의존성 부종
③ 임신후반기에 균형을 유지하기 위해 요추만곡이 심해져서 요통
④ 증대된 자궁 때문에 임부의 무게중심이 달라져서 균형감 변화
(5) 간호과정
간호진단 1) 체중증가 및 무게중심의 변화와 관련된 활동의 지속성 장애
일시
간호사정
(주관적, 객관적)
간호진단
목표
9/19
주관적 자료
“걷는게 어려워요, 조금만 걸어도 숨이 차요.”
“몸이 많이 부은 것 같아요.”
“허리 통증이 심해요.”
객관적 자료
체중증가(53kg→68kg) +15kg
뒤뚱거리며 걷는 모습
일어나고 앉는데 불편한 모습
체중증가 및 무게중심의 변화와 관련된 활동의 지속성 장애
단기 목표
대상자는 9/21까지 올바른 자세를 유지하고 불편감의 완화방법을 열거한다.
장기 목표
대상자는 분만 시 까지 일상생활을 편안하고 안전하게 했다고 말한다.
간호계획
간호수행
이론적 근거
간호평가 및 재계획
비정상적인 체중증가 여부와 불편감 및 활동장애의 여부를 사정한다.
① 임신 전의 몸무게와 현재(36주)의 몸무게를 비교한다.
② 15kg의 체중증가는 정상범위(11.5~16kg)의 안이라는 것을 설명했다.
③ ‘운동대화검사’시 운동을 하면서 동시에 말을 할 수 있음을 확인, 현재 상채에 안심하도록 설명했다.
정상체중인 임부의 총 체중증가는 11.5~16kg이다.
증대된 자궁 때문에 임부의 무게중심이 달라진다.
대상자는 9/21, 적절한 신체기전의 활용의 중요성에 대해 이야기 할 수 있다. 골반흔들기 운동을 직접 시범 보였고 낮은 굽의 신발을 착용하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신체적 활동장애의 완화방법을 교육한다.
① 물건을 들어올릴 때 허리를 구부리지 않고 무릎을 굽히도록 교육했다.
② 약한 복부근육 지지를 위한 임부용 거들사용을 권장했다.
③ 골반이 앞으로 향하게 걷고 낮은 굽의 신발을 착용하도록 설명했다.
적절한 신체기전의 사용, 요추만곡의 감소로 좋은 자세를 유지한다.
대상자와 함께 좋은 자세를 유지하고 올바른 신체기전을 연습한다.
① 골반흔들기 운동을 설명하고 함께 실시했다.
② 골반흔들기 운동을 하는 동안 복부근육을 수축시켜 복직근을 강화시키는 운동을 실시했다.
신체적 활동은 혈액순환을 증진시키고 피곤을 예방하고 신체적 편안함을 증진시키며 좋은 자세를 유지하는데 도움을 준다.
간호진단 2) 분만 임박에 따른 걱정과 관련된 수면장애
일시
간호사정
(주관적, 객관적)
간호진단
목표
9/19
주관적 자료
“첫 임신, 첫 분만이에요.”
“원래 이렇게 허리가 아픈거에요?”
“누워서 잠들려 하면 이런, 저런 생각에 잠들기 어려워요.”
객관적 자료
검진대기 동안 꾸벅꾸벅 조는 모습
피곤해 보인다
분만 임박에 따른 걱정과 관련된 수면장애
단기 목표
대상자는 9/22까지 8시간/일 이상의 편안한 야간수면을 한다고 말한다.
장기 목표
대상자는 분만 시 까지 불안과 관련된 처치가 필요하지 않고 정상적으로 분만준비에 임한다.
간호계획
간호수행
이론적 근거
간호평가 및 재계획
대상자의 수면장애 양상을 사정한다.
① 대상자의 야간수면 시간을 사정했다.(5시간 미만/일)
② 분만 임박 이외의 수면 방해 요인을 파악한다.
임부는 쉽게 피곤해지며 안절부절, 불안, 근심 걱정과 같은 피로증상을 보일 수 있다.
대상자는 야간수면에서는 자다 깨다 없이 편안히 8시간 이상의 수면을 취한다고 말했다.
하지만 아직 첫 분만에 대한 불안을 말했고 이완 요법 및 케겔운동을 지속적으로 실시한다고 말했다.
휴식과 수면의 중요성에 대해 교육했다.
① 매일 밤 충분한 수면의 필요성을 설명하고 휴식과 이완을 위한 측와위와 하지상승자세를 설명했다.
② 오전과 오후에 약 30분 정도씩 쉬고, 낮잠을 자도록 권했다.
짧은 휴식을 취할 때는 하지상승의 체위를 취해서 하지에서 오는 정맥순환을 증진시키고 부종과 정맥류를 완화, 누워서 휴식을 취할 때는 옆으로 누워 자궁의 관류를 증진시키고 태아-태반 산화작용을 증진시킨다.
분만에 대한 불안감을 완화시킬 목적으로 이완요법을 실시했다.
① 의식적 이완술을 설명하고 대상자와 함께 30분 동안 이완술을 실시했다.
② 케겔운동의 장점을 설명하고 시범보이며 대상자와 함께 실시했다.
의식적 이완은 의식적인 노력과 연습을 통해 몸과 마음의 긴장을 완화시켜주는 과정, 케겔운동은 생식기관 주위의 근육을 강화시키며 근력을 향상시켜 골반상의 근육이 분만 후 즉시 정상적인 기능을 회복하도록 돕는다.
Ⅲ. 결론
가상으로 사례연구 한 김님은 임신주수 36주의 정상임신 임부로 활동의 어려움과 불안을 주호소 했다. 활동의 지속성 장애는 대상자가 적절한 신체기전 활용의 중요성에 대해 이야기 하고, 골반흔들기 운동을 직접 시범보이고 낮은 굽의 신발을 착용하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수면장애는 야간수면에서 8시간 이상의 편안한 수면을 말했다. 하지만 첫 분만에 대한 불안에 이완요법 및 케겔운동을 지속적으로 실시한다고 말했다.
키워드
추천자료
부동과 관련된 간호
환아에게 적용가능한 한방간호 중재
무의식 대상자 간호
태아 사정-관련 간호과정포함
부인과 환자간호 학습내용
[모성간호학] 제왕절개(c-sec) 케이스 스터디
전립선비대증과 간호과정
[성인간호학] 응급실 뇌출혈 케이스 스터디 (Cerebral hemorrhage case study)
[노인간호학] 치매 Dementia 실습 케이스 스터디
[아동간호학실습] RDS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호흡곤란증후군) 케이스 case study
[여성간호학] 임신성 고혈압, 다태임신, 조기진통 케이스스터디
[모성간호학 실습] A+받은 Ovarian cyst(난소낭종) 케이스
[모성간호학 실습]A+받은 자궁경부암 (Carcinoma of the cervix) 케이스
[한방간호학] 화병 case study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