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중국의 문화
2. 중국인에대한 이해의 필요성
3. 중국문화의 특징
4. 중국 비즈니스협상의 특징
5. 대처방안
6. 참고자료
2. 중국인에대한 이해의 필요성
3. 중국문화의 특징
4. 중국 비즈니스협상의 특징
5. 대처방안
6. 참고자료
본문내용
령은 쉽게 실행에 옮겨진다.
중국의 관료들을 상대할 때 가장 주의해야 할 점은 각 조직 또는 부서들이 나에 대한 결정에 대해 그들이 공유할 것이라고 믿지 않아야 한다는 것이다. 각 부서는 자신의 이익을 위해 행동할 뿐이고 서로에게 라이벌 의식이 강하다. 이런 이유로 중국의 행정 절차는 길게는 몇 개월 씩이나 걸린다. 김영기, <중국 비즈니스 에티켓이 전략이다>, 산다슬, 2004, p182
4) 김영기, <중국 비즈니스 에티켓이 전략이다>, 산다슬, 2004, pp184~185
Ⅴ 대처방안
위에서 살펴본바와 같이 중국인들의 2500년 역사의 유교를 바탕으로 사회가 구성 되어있다. 비즈니스를 함에 있어서는 선물, 관시 그리고 체면들이 매우 중요시 여겨 지고 있다. ‘로마에와서는 로마법을 따르라’ 라는 말이 있다. 마찬가지로 중국에서는 중국의 문화와 생활 양식을 존경하고 따르는 것이 비즈니스를 함에 있어서 중요하다.
첫째 비즈니스상황에서 마찰이 생겼을때 이를 해결 하기 위해서는 그 조직의 상급자를 찾아가 설득하고 담판을 짓는 것이다. 하지만 이는 자기가 직접 나서라는 것이 아니다. 중재인을 찾아 관시를 동원해야 현명한 해결 방법인 것이다.
둘째 중국의 관료주의는 방대하고, 강력하고, 자기 방어적이다. 그렇기에 변화의 징후에 대해 민감하고 이에 강력한 저항이 뒤따른다. 개인뿐만 아니라 조직도 마찬가지다. 이런 중국의 관료주의에 정면으로 부딪치는 것은 어리석은 것이다. 관시가 있는 중재인을 찾아 조용히 해결하는 것이 가장 현명한 방법이다.
셋째 중국인과 외국인인 우리는 결코 공정하고 공평한 경쟁관계가 될 수 없다. 중국에서 공정하거나 공평하기를 바라지 말고, 필요하다면 중국인 기업과 파트너 관계를 구축해야 한다.
넷째 장애물이 가로막혔거나 승산이 없는 상황에서 중국인들 대부분은 모두가 이길 수있는 간접적이 해결책을 찾으려고 노력한다. 이에 거부하지 말고 순응해야 한다.
다섯째 중국인은 사람들 사이의 공개적인 충돌을 혐오한다. 분쟁은 평화적인 방법으로 해결하는 것이 좋다. 그렇지 못하면 결론 없이 그 문제는 오랫동안 방치될 뿐이다. 이런 상황에서 우리는 흥분하지 말아야 하고, 결코 예법을 따르지 않는 행동을 해서는 안된다.
여섯째 중국인과 대화할 때 비난은 금물이다. 우리의 성격에 맞지 않더라도 직접적이고 노골적인 말투는 피하는 것이 좋다. 중국인의 대화방식은 늘 부드럽고, 자신의 이야기를 할 때는 구체적인 언급이 하닌 상대방이 눈치 챌 수 있을 정도로만 조금 던져주듯이 이야기한다. 이런 면도 바로 중국인의 체면을 중시하기 때문에 일어나는 것이다.
말 한마디로 천 냥 빚을 갚을 수 있듯이 효과적인 의사소통은 때때로 일을 쉽게 성취시켜 준다. 중국인은 우리의 합리적이고 정당한 요구에도 단지 체면 때문에 이를 인정하지 않을 수도 있다. 또는 우리의 요구를 완전히 이해하지 못할 수도 있다. 그렇기 때문에 관리에게는구체적으로 질문해야 한다. 우리가 중국인의 예법을 어기지 않는 한, 우리의 얼굴에 부드러운 미소가 사라지지 않는 한 관리는 우리와의 대화에 대해 거부감을 갖지 않는다. 우리는 중국인이 아닌 외국인이기에 의사소통을 할 때는 요점이 명확해야 할 것이다.
Ⅵ 참고자료
김영기, <중국비즈니스 에티켓이 전략이다>, 산다슬, 2004년
토니귀안리우, <논어에서 배우는 중국식비즈니스>, 시그마북스, 2011년
[노트북을 열며] ‘관시’의 저주, 중앙일보 뉴스, 2011.03.14,
http://article.joinsmsn.com/news/article/article.asp?total_id=5185475&cloc=olink|article|default, 2011.11.19
중국의 관료들을 상대할 때 가장 주의해야 할 점은 각 조직 또는 부서들이 나에 대한 결정에 대해 그들이 공유할 것이라고 믿지 않아야 한다는 것이다. 각 부서는 자신의 이익을 위해 행동할 뿐이고 서로에게 라이벌 의식이 강하다. 이런 이유로 중국의 행정 절차는 길게는 몇 개월 씩이나 걸린다. 김영기, <중국 비즈니스 에티켓이 전략이다>, 산다슬, 2004, p182
4) 김영기, <중국 비즈니스 에티켓이 전략이다>, 산다슬, 2004, pp184~185
Ⅴ 대처방안
위에서 살펴본바와 같이 중국인들의 2500년 역사의 유교를 바탕으로 사회가 구성 되어있다. 비즈니스를 함에 있어서는 선물, 관시 그리고 체면들이 매우 중요시 여겨 지고 있다. ‘로마에와서는 로마법을 따르라’ 라는 말이 있다. 마찬가지로 중국에서는 중국의 문화와 생활 양식을 존경하고 따르는 것이 비즈니스를 함에 있어서 중요하다.
첫째 비즈니스상황에서 마찰이 생겼을때 이를 해결 하기 위해서는 그 조직의 상급자를 찾아가 설득하고 담판을 짓는 것이다. 하지만 이는 자기가 직접 나서라는 것이 아니다. 중재인을 찾아 관시를 동원해야 현명한 해결 방법인 것이다.
둘째 중국의 관료주의는 방대하고, 강력하고, 자기 방어적이다. 그렇기에 변화의 징후에 대해 민감하고 이에 강력한 저항이 뒤따른다. 개인뿐만 아니라 조직도 마찬가지다. 이런 중국의 관료주의에 정면으로 부딪치는 것은 어리석은 것이다. 관시가 있는 중재인을 찾아 조용히 해결하는 것이 가장 현명한 방법이다.
셋째 중국인과 외국인인 우리는 결코 공정하고 공평한 경쟁관계가 될 수 없다. 중국에서 공정하거나 공평하기를 바라지 말고, 필요하다면 중국인 기업과 파트너 관계를 구축해야 한다.
넷째 장애물이 가로막혔거나 승산이 없는 상황에서 중국인들 대부분은 모두가 이길 수있는 간접적이 해결책을 찾으려고 노력한다. 이에 거부하지 말고 순응해야 한다.
다섯째 중국인은 사람들 사이의 공개적인 충돌을 혐오한다. 분쟁은 평화적인 방법으로 해결하는 것이 좋다. 그렇지 못하면 결론 없이 그 문제는 오랫동안 방치될 뿐이다. 이런 상황에서 우리는 흥분하지 말아야 하고, 결코 예법을 따르지 않는 행동을 해서는 안된다.
여섯째 중국인과 대화할 때 비난은 금물이다. 우리의 성격에 맞지 않더라도 직접적이고 노골적인 말투는 피하는 것이 좋다. 중국인의 대화방식은 늘 부드럽고, 자신의 이야기를 할 때는 구체적인 언급이 하닌 상대방이 눈치 챌 수 있을 정도로만 조금 던져주듯이 이야기한다. 이런 면도 바로 중국인의 체면을 중시하기 때문에 일어나는 것이다.
말 한마디로 천 냥 빚을 갚을 수 있듯이 효과적인 의사소통은 때때로 일을 쉽게 성취시켜 준다. 중국인은 우리의 합리적이고 정당한 요구에도 단지 체면 때문에 이를 인정하지 않을 수도 있다. 또는 우리의 요구를 완전히 이해하지 못할 수도 있다. 그렇기 때문에 관리에게는구체적으로 질문해야 한다. 우리가 중국인의 예법을 어기지 않는 한, 우리의 얼굴에 부드러운 미소가 사라지지 않는 한 관리는 우리와의 대화에 대해 거부감을 갖지 않는다. 우리는 중국인이 아닌 외국인이기에 의사소통을 할 때는 요점이 명확해야 할 것이다.
Ⅵ 참고자료
김영기, <중국비즈니스 에티켓이 전략이다>, 산다슬, 2004년
토니귀안리우, <논어에서 배우는 중국식비즈니스>, 시그마북스, 2011년
[노트북을 열며] ‘관시’의 저주, 중앙일보 뉴스, 2011.03.14,
http://article.joinsmsn.com/news/article/article.asp?total_id=5185475&cloc=olink|article|default, 2011.11.19
추천자료
중국사회및 중국문화
중국문화의 교류(중국의 미술)
중국문화와 한국문화의 차이점과 유사점
중국문화와 한국문화의 차이점과 유사점
[중국문화] 중국의 의식주의 변천과 문화사적 의의
[중국문화의 시스템론적 해석] “중국 전통과학은 왜 근대과학으로 발전하지 못하였는가?“ [요...
중국문화의 시스템론적 해석 중 ‘중국 전통과학은 왜 근대과학으로 발전하지 못하였는가’
[중국문화] 중국의 문화와 예절
[중국의사회와문화 A형] 중국 호구제도의 변화 과정에 대해 논하시오 : 호구제도
2016년 1학기 중국문화산책 중간시험과제물 공통(중국의 남방과 북방 문화 차이점)
[중국문화의 이해] 중국의 문학
(중국의사회와문화 A형) 1949년 이후 2015년까지 중국의 인구 정책이 어떻게 변해왔는지 논하...
(중국의사회와문화 B형) 1950년대부터 오늘날까지 중국 여성의 사회적 지위가 어떻게 변해왔...
중국 문화.중국 남방과 북방의차이 이해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