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5주차 PCR A+ 보고서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본문내용

미량의 먼지나 오염물질이 들어갔을지라도 결과상에서는 그것이 증폭되어 큰 영향을 끼쳤을 것이다.
또 다른 이유는 template DNA양과 혼합되어 있던 효소의 양이 많았기 때문일 수도 있다.
비율적으로 너무 많은 효소가 들어가게 되면 비특이적인 DNA가 형성될 가능성이 많고 높은 농도로 인하여 product가 끌리는 현상이나 특이성이 떨어져 불균형적인 결과를 초래하게 되기 때문이다.
마지막으로 생각해 볼 수 있는 요인은 반응물을 혼합할 때 tube 정확하지 않은 혼합 온도 때문이다. Taq DNA polymerase는 최적 온도 이하에서도 반응이 어느 정도 진행됨으로 정확하게 annealing되지 않은 primer에 의한 임의의 반응이 진행되면서 원하는 size의 product 이외의 non-specific product가 만들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밴드의 밝기는 DNA의 농도 때문으로 위의 이유 중 효소의 양과 관련이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효소의 양이 많거나 적음으로 인해 DNA의 농도가 달라져 각 조마다 밴드의 밝기가 달라졌기 때문으로 추정된다.
7. Reference
- 실험 수업 교재
- Campbell 생명과학 9판
- NAVER BLOG
  • 가격1,300
  • 페이지수4페이지
  • 등록일2012.11.07
  • 저작시기2006.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7457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