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환경분석
2. PMC프로덕션 기업 소개
3. 공연&해외활동
㈀ 미국
㈁ 태국
㈂ 중국
㈃ 일본
4.경쟁기업
① 예감 엔터테인먼트
② ACOM INTERNATIONAL
③ Really Useful Group
5. 문제점과 방안
2. PMC프로덕션 기업 소개
3. 공연&해외활동
㈀ 미국
㈁ 태국
㈂ 중국
㈃ 일본
4.경쟁기업
① 예감 엔터테인먼트
② ACOM INTERNATIONAL
③ Really Useful Group
5. 문제점과 방안
본문내용
지만, 이러한 창작뮤지컬 하나를 통해서 86년부터 현재까지 약 25년 이상동안 큰 사랑을 받으며, 수익을 낼 수 있다는 것을 보여 준 사례이다.
우리나라 기업들이 창작뮤지컬을 더 만들어 가야 하는 이유를 설명해 준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뒤에 설명하겠지만, 우리나라에는 아직 문화산업에 있어 큰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지금부터 그 문제점과 해결방안에 대해서 알아보자.
5.문제점 &해결방안
PMC프로덕션의 문제점으로는 ‘난타’ 이후에 히트 작품이 없다는 것이다.
그 이유로는 한국의 인프라나 극장, 시장 여건 등 여러면에서 외국에 비해 창작뮤지컬을 만들기 힘들다는 점이 가장 크다.
앞에서 언급한 인적 인프라 부족을 살펴보면 뮤지컬 전문 배우, 기술 스태프보다 특히 부족한 인재 분야는 극작과 작곡, 연출 분야이다. 종합 예술인 뮤지컬에서 극작가와 작곡가, 전문연출가의 역할이 절대적인데, 이 분야의 전문성이 결여되어 있다. 대부분 뮤지컬 전문교육을 받은 것이 아니라, 뮤지컬이 인기를 끌면서 다른 분야에서 뮤지컬로 넘어오면서 발생한 현상이다.
또한 현재 국내뮤지컬은 대형뮤지컬 중심으로서, 앞에서 설명했던 ‘오페라의 유령’이 이러한 구조를 가속화시켰다. 이러한 대형뮤지컬의 경우 장기공연이 필수적인데, 이러한 대형뮤지컬을 공연할 수 있는 공연장이 얼마 없는 것이 우리나라의 현실이다. 작품에 맞는 공연장을 선정하는 외국과 달리, 우리나라의 경우에는 공연장에 맞는 작품을 선정하거나 수정하는 일이 허다하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써는 ①인프라 구축 ② 뮤지컬 전용극장의 확충이 있다. 인프라를 구축하기 위해서 뮤지컬 전문기관을 설립하고 이들을 가르칠 전문가의 육성을 통하여 다양한 전문가 양성과 발굴에 힘써야한다. 이것이 가장 중요한 핵심 과제라고 할 수 있다. 또한 전용극장을 확충하여 장기공연 및 연간 스케줄 관리를 가능하게 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것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는 정부의 지원이 시급하다고 할 수 있는데, 최근 기사에서 한류열풍으로 인해 문화산업의 발전 가능성을 보고, 정부에서 문화산업에 지원하는 자금이 증가했다는 기사를 보았다. 희소식이다. 점차적으로 이러한 우리나라의 현실을 조금씩 변화시켜 나가고, 문화산업을 발전시켜나감으로써 후에 우리나라에서도 ‘오페라의 유령’과 같은 수준급의 창작뮤지컬을 만드는 그 날을 기대해본다.
참고 문헌
http://www.mcst.go.kr/main.jsp- 문화체육관광부
http://www.index.go.kr/egams/index.jsp e-나라지표
http://navercast.naver.com/contents.nhn?contents_id=6688
http://blog.daum.net/tri-echo/206
http://www.kado.net/news/articleView.html?idxno=548259
http://www.ohmynews.com/NWS_Web/view/at_pg.aspx?CNTN_CD=A0000708087
http://news.hankooki.com/lpage/culture/201102/h2011021602310086330.htm
http://www.i-pmc.co.kr/ pmc프로덕션 홈페이지
http://nanta.i-pmc.co.kr/nanta/Main.aspx 난타 공식 홈페이지
http://www.reallyuseful.com 리얼리유즈풀그룹 홈페이지
http://www.hankyung.com/news/app/newsview.php?aid=2011120219041
http://www.unionpress.co.kr/news/detail.php?number=153863
우리나라 기업들이 창작뮤지컬을 더 만들어 가야 하는 이유를 설명해 준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뒤에 설명하겠지만, 우리나라에는 아직 문화산업에 있어 큰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지금부터 그 문제점과 해결방안에 대해서 알아보자.
5.문제점 &해결방안
PMC프로덕션의 문제점으로는 ‘난타’ 이후에 히트 작품이 없다는 것이다.
그 이유로는 한국의 인프라나 극장, 시장 여건 등 여러면에서 외국에 비해 창작뮤지컬을 만들기 힘들다는 점이 가장 크다.
앞에서 언급한 인적 인프라 부족을 살펴보면 뮤지컬 전문 배우, 기술 스태프보다 특히 부족한 인재 분야는 극작과 작곡, 연출 분야이다. 종합 예술인 뮤지컬에서 극작가와 작곡가, 전문연출가의 역할이 절대적인데, 이 분야의 전문성이 결여되어 있다. 대부분 뮤지컬 전문교육을 받은 것이 아니라, 뮤지컬이 인기를 끌면서 다른 분야에서 뮤지컬로 넘어오면서 발생한 현상이다.
또한 현재 국내뮤지컬은 대형뮤지컬 중심으로서, 앞에서 설명했던 ‘오페라의 유령’이 이러한 구조를 가속화시켰다. 이러한 대형뮤지컬의 경우 장기공연이 필수적인데, 이러한 대형뮤지컬을 공연할 수 있는 공연장이 얼마 없는 것이 우리나라의 현실이다. 작품에 맞는 공연장을 선정하는 외국과 달리, 우리나라의 경우에는 공연장에 맞는 작품을 선정하거나 수정하는 일이 허다하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써는 ①인프라 구축 ② 뮤지컬 전용극장의 확충이 있다. 인프라를 구축하기 위해서 뮤지컬 전문기관을 설립하고 이들을 가르칠 전문가의 육성을 통하여 다양한 전문가 양성과 발굴에 힘써야한다. 이것이 가장 중요한 핵심 과제라고 할 수 있다. 또한 전용극장을 확충하여 장기공연 및 연간 스케줄 관리를 가능하게 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것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는 정부의 지원이 시급하다고 할 수 있는데, 최근 기사에서 한류열풍으로 인해 문화산업의 발전 가능성을 보고, 정부에서 문화산업에 지원하는 자금이 증가했다는 기사를 보았다. 희소식이다. 점차적으로 이러한 우리나라의 현실을 조금씩 변화시켜 나가고, 문화산업을 발전시켜나감으로써 후에 우리나라에서도 ‘오페라의 유령’과 같은 수준급의 창작뮤지컬을 만드는 그 날을 기대해본다.
참고 문헌
http://www.mcst.go.kr/main.jsp- 문화체육관광부
http://www.index.go.kr/egams/index.jsp e-나라지표
http://navercast.naver.com/contents.nhn?contents_id=6688
http://blog.daum.net/tri-echo/206
http://www.kado.net/news/articleView.html?idxno=548259
http://www.ohmynews.com/NWS_Web/view/at_pg.aspx?CNTN_CD=A0000708087
http://news.hankooki.com/lpage/culture/201102/h2011021602310086330.htm
http://www.i-pmc.co.kr/ pmc프로덕션 홈페이지
http://nanta.i-pmc.co.kr/nanta/Main.aspx 난타 공식 홈페이지
http://www.reallyuseful.com 리얼리유즈풀그룹 홈페이지
http://www.hankyung.com/news/app/newsview.php?aid=2011120219041
http://www.unionpress.co.kr/news/detail.php?number=153863
추천자료
국제마케팅-윤리경영과 그 사례
국제경영리포트 GM
국제경영사례분석(현대자동차 캐나다 진출중심으로)
국제경영이란 무엇인가?
국제경영 중간고사 시험대비 요점정리
국제경영전략에 대해
국제경영의 개념과 목적
국제경영자의 양성 목적과 역할 및 필요성
국제경영학의 개념 및 이론
국제경영의 의의(정의, 중요성)에 대해 설명하시오
국제경영론 기업 <게임빌(GameVil)>- 게임시장의 특성과 게임빌의 기업개요 및 성공사례
국제경영학 국내 진출 다국적 기업의 성공 사례
국제경영의 특성
[소니][Sony]소니(Sony)의 경영이념, 소니(Sony)의 구성, 소니(Sony)의 사업영역, 소니(Son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