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에 있어서도 남녀평등을 원칙으로 하고 부부가 협력하고 상호보충하는 민주형이 바람직하다.
* 허브스트의 4가지 유형
i) 부부자율형(autonomic pattern)
남편 혼자 결정하고 행동하는 영역과 부인 혼자 결정하고 행동하는 영역이 있으며, 각자의 영역에 따라 부부 각자 자율적으로 결정하고 행동하는 유형이다.
ii) 남편지배형(husband dominance pattern)
부부가 공동으로 행동하는 것과 부인이 혼자 행동하는 것기 모두 남편의 결정 아래 이루어지는 것, 즉 남편의 지배하에 결정되고 행동하는 부부관계이다.
iii) 부인지배형(wife dominance pattern)
남편지배형의 반대로 부인의 결정에 따라서 남편이 행동하거나 부부가 함께 행동하는 관계이다.
iv) 부부공동형 또는 협동형(syncratic pattern)
부부가 공동으로 결정하고 부부공동 또는 각자가 행동하는 경우이다. 공동으로 행동한다는 것은 부부가 똑같이 행동한다는 것이 아니라 협조적이라는 것이다. 즉, 부부가 대등한 인간관계를 가지고 협동적 분업을 하는 것이다.
b. 부모 자녀권력
부모의 권력은 부모가 자녀로 하여금 자신이 원하는 방식으로 행동하도록 이끌 수 있는 잠재적 영향력을 가지는 것. 부모의 권력은 그 권력기반에 따라 다음과 같이 분류된다.
⒜결과통제권력: 자녀에 대한 보상이나 처벌을 조정할 수 있는 능력이 부모에게 있다는 것을 자녀가 인지하는데 기인하는 부모권력
⒝준거적 권력: 부모와의 동일시에 의거한 부모권력
⒞합법적 권력: 부모가 자신의 행동을 통제할 권리가 있고, 자신은 부모에게 복종할 의무가 있다고 자녀가 인지하는 것에 기반한 부모 권력.
⒟전문가 권력: 부모가 어떤 특수한 지식이나 능력을 가지고 있다고 자녀가 인지하는 것에 기반한 부모권력
자녀는 부모의 권력이 클수록 순응도가 높아지기 때문에 효율적인 자녀 양성을 위해서는 높은 부모권력 수준을 유지할 필요가 있음. 그리고 부모의 권력이 높을수록 자녀의 사회적 인성 발달에 잠재적으로 영향을 주는데 어머니의 권력이나 통제는 아동의 사회적 능력발달에 영향을 주게 될 정도로 중요함. 그러나 높은 권위 못지않게 부모의 온정 역시 높은 수준으로 필요하므로 따라서 부모 권력의 효율적 사용을 위해서는 애정적 뒷받침이 전제되어야 함.
c. 조부모-손 자녀 권력, 형제권력, 시부모-며느리 권력 등 기차 가족원권력이 있으나 이들에 관한 연구는 매우 미미한 실정이다.
* 허브스트의 4가지 유형
i) 부부자율형(autonomic pattern)
남편 혼자 결정하고 행동하는 영역과 부인 혼자 결정하고 행동하는 영역이 있으며, 각자의 영역에 따라 부부 각자 자율적으로 결정하고 행동하는 유형이다.
ii) 남편지배형(husband dominance pattern)
부부가 공동으로 행동하는 것과 부인이 혼자 행동하는 것기 모두 남편의 결정 아래 이루어지는 것, 즉 남편의 지배하에 결정되고 행동하는 부부관계이다.
iii) 부인지배형(wife dominance pattern)
남편지배형의 반대로 부인의 결정에 따라서 남편이 행동하거나 부부가 함께 행동하는 관계이다.
iv) 부부공동형 또는 협동형(syncratic pattern)
부부가 공동으로 결정하고 부부공동 또는 각자가 행동하는 경우이다. 공동으로 행동한다는 것은 부부가 똑같이 행동한다는 것이 아니라 협조적이라는 것이다. 즉, 부부가 대등한 인간관계를 가지고 협동적 분업을 하는 것이다.
b. 부모 자녀권력
부모의 권력은 부모가 자녀로 하여금 자신이 원하는 방식으로 행동하도록 이끌 수 있는 잠재적 영향력을 가지는 것. 부모의 권력은 그 권력기반에 따라 다음과 같이 분류된다.
⒜결과통제권력: 자녀에 대한 보상이나 처벌을 조정할 수 있는 능력이 부모에게 있다는 것을 자녀가 인지하는데 기인하는 부모권력
⒝준거적 권력: 부모와의 동일시에 의거한 부모권력
⒞합법적 권력: 부모가 자신의 행동을 통제할 권리가 있고, 자신은 부모에게 복종할 의무가 있다고 자녀가 인지하는 것에 기반한 부모 권력.
⒟전문가 권력: 부모가 어떤 특수한 지식이나 능력을 가지고 있다고 자녀가 인지하는 것에 기반한 부모권력
자녀는 부모의 권력이 클수록 순응도가 높아지기 때문에 효율적인 자녀 양성을 위해서는 높은 부모권력 수준을 유지할 필요가 있음. 그리고 부모의 권력이 높을수록 자녀의 사회적 인성 발달에 잠재적으로 영향을 주는데 어머니의 권력이나 통제는 아동의 사회적 능력발달에 영향을 주게 될 정도로 중요함. 그러나 높은 권위 못지않게 부모의 온정 역시 높은 수준으로 필요하므로 따라서 부모 권력의 효율적 사용을 위해서는 애정적 뒷받침이 전제되어야 함.
c. 조부모-손 자녀 권력, 형제권력, 시부모-며느리 권력 등 기차 가족원권력이 있으나 이들에 관한 연구는 매우 미미한 실정이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