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John Donne, 그리고 형이상학파
1. 17세기 문학의 시대적 배경(1603~1660)
2. John Donne(1572-1631)
3. John Donne의 시 \\"The Flea\\"와 패러독스
4. 형이상학파 시(Metaphysical Poets)의 특징
5. John Donne의 다른 시 감상
A Valediction: Forbidding Mourning
*참고문헌 & 사이트
1. 17세기 문학의 시대적 배경(1603~1660)
2. John Donne(1572-1631)
3. John Donne의 시 \\"The Flea\\"와 패러독스
4. 형이상학파 시(Metaphysical Poets)의 특징
5. John Donne의 다른 시 감상
A Valediction: Forbidding Mourning
*참고문헌 & 사이트
본문내용
we by a love so much refin'd,
That ourselves know not what it is,
Inter-assured of the mind,
Care less, eyes, lips, and hands to miss.
Our two souls therefore, which are one,
Though I must go, endure not yet
A breach, but an expansion,
Like gold to airy thinness beat.
If they be two, they are two so
As stiff twin compasses are two;
Thy soul, the fix'd foot, makes no show
To move, but doth, if the' other do.
And though it in the centre sit,
Yet when the other far doth roam,
It leans, and hearkens after it,
And grows erect, as that comes home.
Such wilt thou be to me, who must
Like th' other foot, obliquely run;
Thy firmness makes my circle just,
And makes me end, where I begun.
A Valediction: Forbidding Mourning
존 단
유덕한 사람은 고이 사위어가듯,
그들의 영혼에게 어서 가자고 속삭이지만.
그들 슬퍼하는 몇몇의 친구들은
숨이 진다드니 그렇지 않다느니 하는 말을 하오.
그러니 우리 녹아 없어져 그 어떠한 눈물의 홍수도,
사나운 비바람도, 그 어떤 소란도 만들지 맙시다.
우리들의 사랑을 속인들에게 말함은
우리 사랑에 대한 모둑일 거요.
지축의 흔들림은 재해와 공포를 가져오며
인간들은 그 피해와 정도를 헤아리지만,
천체의 진동은 비록 그보다 더 거대하지만
인간의 해를 부르지는 않소.
우둔한 달빛 아래, 연인들의 사랑은
그들 본질이 감각이기에
이별을 인정하지 못하오, 왜냐하면 이별이
그들의 기초를 없이해 버리기 때문일 거요.
하지만 우리들의 사랑은 너무나 고상하여
우리 사랑은 부재란 것을 모르오.
서로의 마음을 굳게 믿기에
눈과 손 그리고 입술이 없어도 개의치 않소.
고로 우리 둘의 영혼은 하나이니
내가 멀리 떠날지라도, 단절이 아닌
더넓은 확장의 지속인 게요.
마치 공기처럼 미세하게 두들겨 펼친 금박처럼 말이오.
만약 그들이 둘이라면, 우리도 또한 둘인 거요.
마치 Compasses의 다리가 둘인 것처럼 말이오.
그대 영혼은 고정된 다리가 되고 움직일 기미도
아니 보이지만, 다른 하나의 다리가 움직이면 같이 움직이오.
그리고 그 다리는 중심에 위치하지만
다른 다리가 밖으로 거닐 때면
그것을 따라 귀기울이며 경청하고
다시금 돌아오면 곧바로 서오.
그대는 내게 있어 그러한 존재이기에
내가 다른 하나의 다리처럼 비스듬히 달려도
그대의 확고부동함이 나의 원을 정확하게 하며
나의 시작에서 나의 종결을 맺게 하오.
*참고문헌 & 사이트
http://www.poetry4u.net/ (영시의 향기)
http://blog.daum.net/windsmile/12721511
단행본: 문희경. 『고전 영문학의 흐름』: 고려대학교 출판부
유희태. 『유희태 영미시의 이해』: 박문각
김종두. 『형이상학시의 분석과 이해』: 동인
김혜련. 『John Donne 연구』: 한신문화사
영미문학연구회 엮음 『영미문학의 길잡이』: 창작과 비평사
That ourselves know not what it is,
Inter-assured of the mind,
Care less, eyes, lips, and hands to miss.
Our two souls therefore, which are one,
Though I must go, endure not yet
A breach, but an expansion,
Like gold to airy thinness beat.
If they be two, they are two so
As stiff twin compasses are two;
Thy soul, the fix'd foot, makes no show
To move, but doth, if the' other do.
And though it in the centre sit,
Yet when the other far doth roam,
It leans, and hearkens after it,
And grows erect, as that comes home.
Such wilt thou be to me, who must
Like th' other foot, obliquely run;
Thy firmness makes my circle just,
And makes me end, where I begun.
A Valediction: Forbidding Mourning
존 단
유덕한 사람은 고이 사위어가듯,
그들의 영혼에게 어서 가자고 속삭이지만.
그들 슬퍼하는 몇몇의 친구들은
숨이 진다드니 그렇지 않다느니 하는 말을 하오.
그러니 우리 녹아 없어져 그 어떠한 눈물의 홍수도,
사나운 비바람도, 그 어떤 소란도 만들지 맙시다.
우리들의 사랑을 속인들에게 말함은
우리 사랑에 대한 모둑일 거요.
지축의 흔들림은 재해와 공포를 가져오며
인간들은 그 피해와 정도를 헤아리지만,
천체의 진동은 비록 그보다 더 거대하지만
인간의 해를 부르지는 않소.
우둔한 달빛 아래, 연인들의 사랑은
그들 본질이 감각이기에
이별을 인정하지 못하오, 왜냐하면 이별이
그들의 기초를 없이해 버리기 때문일 거요.
하지만 우리들의 사랑은 너무나 고상하여
우리 사랑은 부재란 것을 모르오.
서로의 마음을 굳게 믿기에
눈과 손 그리고 입술이 없어도 개의치 않소.
고로 우리 둘의 영혼은 하나이니
내가 멀리 떠날지라도, 단절이 아닌
더넓은 확장의 지속인 게요.
마치 공기처럼 미세하게 두들겨 펼친 금박처럼 말이오.
만약 그들이 둘이라면, 우리도 또한 둘인 거요.
마치 Compasses의 다리가 둘인 것처럼 말이오.
그대 영혼은 고정된 다리가 되고 움직일 기미도
아니 보이지만, 다른 하나의 다리가 움직이면 같이 움직이오.
그리고 그 다리는 중심에 위치하지만
다른 다리가 밖으로 거닐 때면
그것을 따라 귀기울이며 경청하고
다시금 돌아오면 곧바로 서오.
그대는 내게 있어 그러한 존재이기에
내가 다른 하나의 다리처럼 비스듬히 달려도
그대의 확고부동함이 나의 원을 정확하게 하며
나의 시작에서 나의 종결을 맺게 하오.
*참고문헌 & 사이트
http://www.poetry4u.net/ (영시의 향기)
http://blog.daum.net/windsmile/12721511
단행본: 문희경. 『고전 영문학의 흐름』: 고려대학교 출판부
유희태. 『유희태 영미시의 이해』: 박문각
김종두. 『형이상학시의 분석과 이해』: 동인
김혜련. 『John Donne 연구』: 한신문화사
영미문학연구회 엮음 『영미문학의 길잡이』: 창작과 비평사
추천자료
시인 김수영의 생애와 작품에 대한 해석
시란 무엇인가? 문학이란 무엇인가?
한시의 세계
한국시의 리듬구조와 실제작품 분석
김현승시의 기독교적 연구
이용악시 연구
예술가 소설에 나타난 예술의 의미 - 이문열[시인]과 헤세[시인]을 중심으로
[한국근대 국어 표기법][한국근대 국어 파생형용사][한국근대 희곡][한국근대 시][한국근대 ...
[윌리엄 블레이크][윌리엄 블레이크 작품][순수의 시][부정의 윤리]윌리엄 블레이크의 생애, ...
[근대시][근대시 배경][근대시 형성][근대시 발생][근대시와 자아][근대시와 서구시][근대시...
[1950년대, 1950년대 여성국극, 1950년대 문학, 1950년대 시문학, 시의식, 소설, 모더니즘]19...
1980년대의 노동문학, 1980년대의 모더니즘, 1980년대의 소설문학, 1980년대의 독일소설, 198...
[1930년대][조국광복회][예술운동][시문학파][한국시][전향소설]1930년대의 조국광복회, 1930...
[상호텍스트성] 상호텍스트성의 개요, 상호텍스트성을 통한 시 교수학습 모형 - 상호텍스트성...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