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있지 않다고 생각하여 마냥 남의 역사이고 멀게만 느끼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것은 우리의 눈으로 세계를 보지 않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의존적인 생각을 버리고 주체적으로 한국 서양사학에 대한 이데올로기를 확립하여야한다고 생각한다.
※참고문헌
논문
- 김봉철. 『서양 고대사학의 새로운 역사해석』
- 김봉철. 『고대 그리스 ‘유럽성’에 대한 고찰』
단행본
- 강철구. 『역사와 이데올로기1』. 용의 숲. 2006
- 루카 드 블로와&로바르터스 반 데어 스펙. 『서양 고대문명의 역사』. 윤진. 다락방. 2003
- 조셉 폰타나. 『거울에 비친유럽』. 김원중. 새물결. 1999
- 배영수 편. 『서양사강의』. 개정판. 한울. 2000
- 오금성 외. 『세계사』. 교학사. 2003
※참고문헌
논문
- 김봉철. 『서양 고대사학의 새로운 역사해석』
- 김봉철. 『고대 그리스 ‘유럽성’에 대한 고찰』
단행본
- 강철구. 『역사와 이데올로기1』. 용의 숲. 2006
- 루카 드 블로와&로바르터스 반 데어 스펙. 『서양 고대문명의 역사』. 윤진. 다락방. 2003
- 조셉 폰타나. 『거울에 비친유럽』. 김원중. 새물결. 1999
- 배영수 편. 『서양사강의』. 개정판. 한울. 2000
- 오금성 외. 『세계사』. 교학사. 20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