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AMPS(Advanced Mobile Phone System)
2) FDMA(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3) FCC(Federal Communication Commission)
4) DECT(Digital Enhanced Cordless Telecommunications)
5)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6) HiperLAN(High Performance Radio Local Area Network)
7) WirelessLAN
8)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ystem)
9) 802.11, 802.11a, 802.11b
10) IMT-2000(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11) WAP
12) GPRS(General Packet Radio Service)
14) WiMAX, 802.16
15) LTE(Long Term Evolution)
16) NMT 450/900
17) Bluetooth
18)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19)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20) MIMO(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21) EV-DO(Evolution Data Optimized CDMA2000)
2) FDMA(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3) FCC(Federal Communication Commission)
4) DECT(Digital Enhanced Cordless Telecommunications)
5)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6) HiperLAN(High Performance Radio Local Area Network)
7) WirelessLAN
8)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ystem)
9) 802.11, 802.11a, 802.11b
10) IMT-2000(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11) WAP
12) GPRS(General Packet Radio Service)
14) WiMAX, 802.16
15) LTE(Long Term Evolution)
16) NMT 450/900
17) Bluetooth
18)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19)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20) MIMO(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21) EV-DO(Evolution Data Optimized CDMA2000)
본문내용
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고속의 전송률을 갖는 데이터 열을 낮은 전송률을 갖는 많은 수의 데이터 열로 나누고, 이들을 다수의 부반송파를 사용하여 동시에 전송하는 것이다. 전체의 대역에서 각각의 부반송파는 서로 겹쳐 있는 상태가 된다. 직교 성을 가지고, 서로간의 영향을 주지 않도록 배치되어 있 때문에 각각의 부반송파를 따로 뽑아내는 것이 가능하다.
특징
1. 부반송파를 주파수 상에서 중첩하여, 주파수 대역 효율이 매우 좋다.
2. 멀티 패스로 인해 발생하는 페이딩 지연 확산에 의한 심볼간 간섭(ISI)이 줄어듦
3. 신호 왜곡에 강함 : 신호의 시간차 도착에 따른 신호 왜곡 현상, 채널 간 간섭이 줄어듦, 그러므로 왜곡 현상을 보정하는 등화기, 라이크리 후드 등이 필요 없어 시스템 구성이 단순해진다.
OFDM의 활용분야
1. 무선LAN : 802.11a/g, 802.16 등
2. 디지털방송 : 유럽식, 미국식, 일본식 모두 OFDM채용
3. 이동전화 : Beyond IMT-2000
4. 기타 : HDSL, ADSL 그리고 무선 ATM 같은 방식에 적용하기 위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19)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다중반송변조방법의 일종. 이 기술은 주파수에 따라 다른 이득과 잡음 효과를 가진 채널의 주파수 대역을 여러 개로 나누어 각 대역마다 적절한 data bit의 개수를 할당함으로서 대역폭과 전력 면에서 효율을 도모할 수 없다.
OFDM와의 차이점
OFDM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1. 다중의 채널로 동시 전송한다는 측면으로 보면 다중화기술
2. 다중의 반송파에 분할하여 전송한다는 측면에서 보면 일종의 변조기술임
OFDMA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1. 한 사용자가 모든 유효 부반송파를 독점하는 것이 아니라 여러 사용자가 유효한 부반송파의 집합을 서로 다르게 분할 할당받아 사용하는 방식
20) MIMO(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다중의 입출력이 가능한 안테나 시스템을 말한다. 기지국과 휴대단말기의 안테나를 2개 이상으로 늘려 데이터를 여러 경로로 전송하고 수신단에서 각각의 경로로 수신된 신호를 검출해 간섭을 줄이고 각각의 전송속도를 낮출 수 있는 기술이다.
기존의 무선랜은 안테나가 2개 달려있음에도 불구하고 유선망과 무선망을 연결해주는 AP의 방향에 따라 하나의 안테나만 이용하였지만, MIMO는 두 개의 안테나가 동시에 동작하도록 해 고속의 데이터 기술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이런 신호들은 무선채널상에서 서로 수신되는 신호간 비상관성을 같게 되어 기존의 송신안테나 수만큼 더 많은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게 된다.
기존 무선랜은 IEEE 802.11g표준에서 54Mbps의 속도를 가지나, MIMO의 기술을 탑재한 무선랜 제품들은 250-500Mbps의 전송속도가 나온다.
도달거리 또한 기존 무선랜에 비해 전송속도와 도달거리를 약 4배가량 향상시킬 수 있다.
21) EV-DO(Evolution Data Optimized CDMA2000)
CDMA기반의 무선 데이터 통신기술이며, 각 사용자의 data rate와 전체 시스템 data rate를 극대화하기 위해 시간분할 다중접속은 물론 코드분할 다중접속을 포함한 다중화 기술을 이용한다. 또, CDMA2000계열 규격의 일부분으로 3GPP2에서 표준화 하였고, 특히 이전에 CDMA네트워크를 구축한 세계 여러 곳의 이동전화 서비스 사업자에 의해 채택되었으며, 글로벌스타 위성전화네트워크에도 사용된다. 국내 LG유플러스의 주력 통신기술이기도 하다.
EV-DO는 높은 data rate를 지원하고 무선 사업자의 음성서비스와 함께 활용될 수 있도록 CDMA2000표준의 진화형태로 고안되었다. 하나의 EV-DO채널은 IS-95계열이 사용하는 것과 같은 1.25MHz의 주파수 대역폭을 갖는다. 그러나 채널구조는 매우 다르다.
특히, 유선망의 구조를 IP기반으로 구성함으로서 기존 교환망을 사용하지 않고, 데이터 서비스를 특성상 착신호가 없는 것을 전제로 HLR, VLR등 이동단말의 착신과 관련된 네트워크 노드를 배제하여 효율적인 망 구성이 가능하게 하였다.
또한, 완전한 패킷기반 네트워크로 운영되기 때문에 circuit switch네트워크에 전형적으로 존재하는 제약을 받지 않는다.
고속의 전송률을 갖는 데이터 열을 낮은 전송률을 갖는 많은 수의 데이터 열로 나누고, 이들을 다수의 부반송파를 사용하여 동시에 전송하는 것이다. 전체의 대역에서 각각의 부반송파는 서로 겹쳐 있는 상태가 된다. 직교 성을 가지고, 서로간의 영향을 주지 않도록 배치되어 있 때문에 각각의 부반송파를 따로 뽑아내는 것이 가능하다.
특징
1. 부반송파를 주파수 상에서 중첩하여, 주파수 대역 효율이 매우 좋다.
2. 멀티 패스로 인해 발생하는 페이딩 지연 확산에 의한 심볼간 간섭(ISI)이 줄어듦
3. 신호 왜곡에 강함 : 신호의 시간차 도착에 따른 신호 왜곡 현상, 채널 간 간섭이 줄어듦, 그러므로 왜곡 현상을 보정하는 등화기, 라이크리 후드 등이 필요 없어 시스템 구성이 단순해진다.
OFDM의 활용분야
1. 무선LAN : 802.11a/g, 802.16 등
2. 디지털방송 : 유럽식, 미국식, 일본식 모두 OFDM채용
3. 이동전화 : Beyond IMT-2000
4. 기타 : HDSL, ADSL 그리고 무선 ATM 같은 방식에 적용하기 위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19)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다중반송변조방법의 일종. 이 기술은 주파수에 따라 다른 이득과 잡음 효과를 가진 채널의 주파수 대역을 여러 개로 나누어 각 대역마다 적절한 data bit의 개수를 할당함으로서 대역폭과 전력 면에서 효율을 도모할 수 없다.
OFDM와의 차이점
OFDM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1. 다중의 채널로 동시 전송한다는 측면으로 보면 다중화기술
2. 다중의 반송파에 분할하여 전송한다는 측면에서 보면 일종의 변조기술임
OFDMA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1. 한 사용자가 모든 유효 부반송파를 독점하는 것이 아니라 여러 사용자가 유효한 부반송파의 집합을 서로 다르게 분할 할당받아 사용하는 방식
20) MIMO(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다중의 입출력이 가능한 안테나 시스템을 말한다. 기지국과 휴대단말기의 안테나를 2개 이상으로 늘려 데이터를 여러 경로로 전송하고 수신단에서 각각의 경로로 수신된 신호를 검출해 간섭을 줄이고 각각의 전송속도를 낮출 수 있는 기술이다.
기존의 무선랜은 안테나가 2개 달려있음에도 불구하고 유선망과 무선망을 연결해주는 AP의 방향에 따라 하나의 안테나만 이용하였지만, MIMO는 두 개의 안테나가 동시에 동작하도록 해 고속의 데이터 기술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이런 신호들은 무선채널상에서 서로 수신되는 신호간 비상관성을 같게 되어 기존의 송신안테나 수만큼 더 많은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게 된다.
기존 무선랜은 IEEE 802.11g표준에서 54Mbps의 속도를 가지나, MIMO의 기술을 탑재한 무선랜 제품들은 250-500Mbps의 전송속도가 나온다.
도달거리 또한 기존 무선랜에 비해 전송속도와 도달거리를 약 4배가량 향상시킬 수 있다.
21) EV-DO(Evolution Data Optimized CDMA2000)
CDMA기반의 무선 데이터 통신기술이며, 각 사용자의 data rate와 전체 시스템 data rate를 극대화하기 위해 시간분할 다중접속은 물론 코드분할 다중접속을 포함한 다중화 기술을 이용한다. 또, CDMA2000계열 규격의 일부분으로 3GPP2에서 표준화 하였고, 특히 이전에 CDMA네트워크를 구축한 세계 여러 곳의 이동전화 서비스 사업자에 의해 채택되었으며, 글로벌스타 위성전화네트워크에도 사용된다. 국내 LG유플러스의 주력 통신기술이기도 하다.
EV-DO는 높은 data rate를 지원하고 무선 사업자의 음성서비스와 함께 활용될 수 있도록 CDMA2000표준의 진화형태로 고안되었다. 하나의 EV-DO채널은 IS-95계열이 사용하는 것과 같은 1.25MHz의 주파수 대역폭을 갖는다. 그러나 채널구조는 매우 다르다.
특히, 유선망의 구조를 IP기반으로 구성함으로서 기존 교환망을 사용하지 않고, 데이터 서비스를 특성상 착신호가 없는 것을 전제로 HLR, VLR등 이동단말의 착신과 관련된 네트워크 노드를 배제하여 효율적인 망 구성이 가능하게 하였다.
또한, 완전한 패킷기반 네트워크로 운영되기 때문에 circuit switch네트워크에 전형적으로 존재하는 제약을 받지 않는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