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910∼20년대 소설
□ 신소설
□ 1910년대의 시대상
□ 1910년대 소설의 특징
□ 이광수와 『무정』
□ 1920년대 소설의 특징
• 김동인
• 나도향
• 염상섭
• 현진건
• 최서해
□ 신소설
□ 1910년대의 시대상
□ 1910년대 소설의 특징
□ 이광수와 『무정』
□ 1920년대 소설의 특징
• 김동인
• 나도향
• 염상섭
• 현진건
• 최서해
본문내용
. 모진 바람에 하늘하늘 일어서는 불길은 어느 새 보릿짚더미를 살라 버리고 울타리를 살라 버리고 울타리 안에 있는 집에 옮았다.
……
문 서방이 여러 사람을 헤치고 두 그림자 앞에 가 섰을 때, 앞에 섰던 장정의 그림자는 거꾸러졌다. 그 때는 벌써 문 서 방의 품에는 어린 여자의 그림자가 안겼다. 용례가…….
그 바람에 모여섰던 사람들은 혹은 허둥지둥 뛰어 버리고 혹은 뒤로 자빠져서 부르르 떨었다. 용례도 거꾸러지는 것을 안았다.
“용례야! 놀라지 마라! 나다! 아버지다! 용례야!”
문 서방은 딸을 품에 안으니 이 때까지 악만 찼던 가슴이 스르르 풀리면서 독살이 올랐던 눈에서 뜨거운 눈물이 떨어졌다. 이렇게 슬픈 중에도 그의 마음은 기쁘고 시원하였다. 하늘과 땅을 주어도 그 기쁨을 바꿀 것 같지 않았다. 그 기쁨! 그 기쁨은 딸을 안은 기쁨만이 아니었다. 적다고 믿었던 자기의 힘이 철통같은 성벽을 무너뜨리고 자기의 요구를 채울 때 사람은 무한한 기쁨과 충동을 받는다.
불길은―――그 붉은 불길은 의연히 모든 것을 태워 버릴 것처럼 하늘하늘 올랐다.
박스의 장면은 최서해의 대표작 <홍염>의 마지막 부분이다. 이 장면은 문서방이 중국인 지주 집에 불을 지르는 장면이다. 이러한 장면에서 나타나듯이 최서해 소설은 단순한 빈궁의 묘사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이러한 빈궁에 저항하는 실천성을 보여주고 있다. 또한 인용장면의 마지막 부분에서 ‘적다고 믿었던 자기의 힘이 철통같은 성벽을 무너뜨리고 자기의 요구를 채울 때 사람은 무한한 기쁨과 충동을 받는다’는 개인적 체험을 바탕으로 한 느낌까지 직설적으로 드러내고 있다.
……
문 서방이 여러 사람을 헤치고 두 그림자 앞에 가 섰을 때, 앞에 섰던 장정의 그림자는 거꾸러졌다. 그 때는 벌써 문 서 방의 품에는 어린 여자의 그림자가 안겼다. 용례가…….
그 바람에 모여섰던 사람들은 혹은 허둥지둥 뛰어 버리고 혹은 뒤로 자빠져서 부르르 떨었다. 용례도 거꾸러지는 것을 안았다.
“용례야! 놀라지 마라! 나다! 아버지다! 용례야!”
문 서방은 딸을 품에 안으니 이 때까지 악만 찼던 가슴이 스르르 풀리면서 독살이 올랐던 눈에서 뜨거운 눈물이 떨어졌다. 이렇게 슬픈 중에도 그의 마음은 기쁘고 시원하였다. 하늘과 땅을 주어도 그 기쁨을 바꿀 것 같지 않았다. 그 기쁨! 그 기쁨은 딸을 안은 기쁨만이 아니었다. 적다고 믿었던 자기의 힘이 철통같은 성벽을 무너뜨리고 자기의 요구를 채울 때 사람은 무한한 기쁨과 충동을 받는다.
불길은―――그 붉은 불길은 의연히 모든 것을 태워 버릴 것처럼 하늘하늘 올랐다.
박스의 장면은 최서해의 대표작 <홍염>의 마지막 부분이다. 이 장면은 문서방이 중국인 지주 집에 불을 지르는 장면이다. 이러한 장면에서 나타나듯이 최서해 소설은 단순한 빈궁의 묘사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이러한 빈궁에 저항하는 실천성을 보여주고 있다. 또한 인용장면의 마지막 부분에서 ‘적다고 믿었던 자기의 힘이 철통같은 성벽을 무너뜨리고 자기의 요구를 채울 때 사람은 무한한 기쁨과 충동을 받는다’는 개인적 체험을 바탕으로 한 느낌까지 직설적으로 드러내고 있다.
추천자료
문학사적 의의와 그 특성(여성운동,페미니즘,문학,시)
한국의 문학사의 시대적 흐름과 문학 이론(기원)
한국의 근대문학과 일본과 중국의 근대 문학 비교
[고전문학] 고전문학 사상론
[한국문학사]1950년대의 우리문학 연구
[현대문학사]현대문학의 어제와 오늘- 기말과제
[한국문학사, 현대문학사, 한국현대문학사] 한국현대문학사 파워서브
현대문학사 기말서술형 후보, 근대문학출발, 모더니즘문학, 농촌역사여성소설
조선문학가동맹총서 (건설기의 조선문학)
조동일 한국문학통사(제4판) 1권 - 01 ~ 06 (문학사 이해의 새로운 관점, 원시문학, 고대문학...
문학 일반 (문학의 정의, 문학의 기원, 문학의 3대 특성, 문학의 내용, 문학의 기능, 문학의 ...
일제말 전시체제기 문학 [일제말 전시체제기 문학의 모색 양상][프로문학에서 생산문학론으로...
현대문학사문학의 정신과 기법의 전환문학의 논리와 방법의 전환소설의 양식과 기법의 분화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