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접 결함과 피복제의 역할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용접 결함.
1) 구조상의 용접 결함
 (가) 균열(龜裂, crack)
 (나) 내부결함.
 (다) 선상 조직(線上組織, ice flower structure).
2) 용접 불량.
(가) 비드 표면의 불량.

2. 피복제의 역할.
1) 아아크를 안정시킨다.
2) 용착 금속을 보호한다.
 (가) 환스 및 중성가스에 의한 방법.
 (나) 슬래그에 의한 방법.
3) 정련(精鍊)된 용착 금속을 만든다.
4) 용착 금속의 급랭을 방지한다.
5) 용착 금속에 필요한 원소를 보충한다.
6) 용착 금속의 흐름을 좋게 한다.
7) 슬래그 제거를 쉽게 하고 파형이 고운 비이드를 만든다.
8) 전기 절연 작용을 한다.

본문내용

피복제에 의한 용착 금속의 방법에는 다음의 2가지가 있다.
환스 및 중성가스에 의한 방법.
슬래그에 의한 방법.
정련(精鍊)된 용착 금속을 만든다.
용접할 때 외부로부터 들어오는 공기는 막을 수 있으나, 산소나 질소가 용착 금속 내에 침투한 것이나, 원래부터 심선이나 모재 속에 불순물로 포함되어 있는 산소, 질소, 유황 및 인 등을 제거하여 용착 금속을 정련된 금속으로 하지 않으면 안된다. 이를 위해서 불순물과 친화력이 좋은 물질을 사용, 혼합시켜 제거한다. 이러한 재료에는 목탄, 유기물(목면, 펄프), 알루미늄 및 마그네슘 등이 쓰인다.
용착 금속의 급랭을 방지한다.
용착 된 금속의 급랭을 방지하는 목적은 다음의 3가지를 들을 수 있다. 첫째로 용적이 모재에 떨어져 용착될 때, 용착 금속 내에 가스나 슬래그가 들어가는 수가 있으므로, 용착 금속의 냉각 속도를 느리게 하면 이런 불순물이 용착 금속에 떠오를 수 있는 시간적 여유가 충분하다. 만일 급랭을 시키면 엿과 같이 굳어져 용착 금속 속에 있는 가스나 슬래그가 떠오르지 못해 기공(blow hole)이나 슬래그 섞임의 원인이 된다. 둘째로 모재 및 용착금속이 냉각될 때 수축하게 되므로 서랭을 해 주면 물엿과 같은 상태에 있는 동안 모재와 용착 금속이 자유로이 팽착 수축을 하여 균열 등을 일으키지 않는다. 마지막으로 급랭을 시키면 담금질이 되어 경화되므로, 취성을 가지게 된다.
용착 금속에 필요한 원소를 보충한다.
용착 금속이 아아크 속을 통과하여 흐르기 때문에, 열에 의해서 용착 금속에 포함되어 있는 여러 가지 원소가 연소되어 소모되므로 여러 가지 원소를 적당히 보충시켜 주어야 하며, 또한 용착 금속의 강도를 증가시키기 위해서 다른 원소를 첨가시켜 주어야 한다. 이러한 목적에 쓰이는 것으로는 규소, 망간, 규소철 등이 있다.
용착 금속의 흐름을 좋게 한다.
용착 금속의 흐름이 좋지 못하면 용접 작업이 곤란하고, 시간이 많이 걸리며, 더욱이 외관이 더럽게 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 붕사 및 산화티탄 등을 사용한다.
슬래그 제거를 쉽게 하고 파형이 고운 비이드를 만든다.
용접 작업 후 슬래그의 제거 난이 여부가 작업 효율에 큰 영향을 준다. 만약 슬래그가 저절로 용착 금속에서 잘 떨어져 나가면 작업 능율을 훨씬 올릴 수 있다.
전기 절연 작용을 한다.
틈이 좁은 곳을 용접할 때 용접봉이 모재 측면에 닿으면 아아크가 발생되는데, 피복제가 이것을 방지해 준다.

키워드

  • 가격13,86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2.11.18
  • 저작시기2009.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7634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