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이혼증가의 사회적 배경
2. 이혼의 실태
3. 이혼 적응과정
2. 이혼의 실태
3. 이혼 적응과정
본문내용
응과정
1) 이혼에 대한 정서적 반응
이혼 후에는 여러 가지 문제를 겪게 됨
→ 사회적, 성적인 삶에서의 변화, 외로움, 지원체계, 변화된 경제상태 등
→ 이혼한 사람들이 경험하는 정서들은 개인적 문제이기 때문에 해결하기 더
어려움
⑴ 분노
가장 많이 경험하는 정서, 적대감과 공격성 동반
헤어진 배우자에 대한 적대감 → 자녀에게 표현되기도 함
분노의 강도 : 자녀가 있는 경우, 남자보다 여자가 강하게 표현됨
⑵ 우울
이혼한 사람들은 자살, 우울, 무력감 보임
불면증, 체중변화, 에너지 고갈, 낮은 자존감
배우자와의 의사소통에 문제가 있는 경우 : 우울증 발생 가능성 25배 높음
⑶ 후회
이혼한 사람의 22.9% : 이혼 후회(절반 정도만이 이혼 만족)
남자가 후회율이 높음
→ 이혼 후 일상생활, 심리적 적응의 어려움
혼인기간 3년 미만의 이혼자 : 후회율 가장 높음
이혼에 대한 후회율 : 이혼 후 1~3년 사이 가장 높음
⑷ 헤어진 배우자에 대한 애착
갈등을 겪은 사람들이 이혼 후 갈등이 어느 정도 해결 → 배우자에게 애착 보임
새로운 생활에 대한 적응에서 오는 어려움 때문
이혼 후 초기
⑸ 양가감정
새로운 시작에 대한 기대감,
불행한 결혼이 자녀와 상대에게 주었을 부정적인 영향에 대한 죄의식을 동시에
경험
여성 : 자신과 자녀의 삶을 증진하려는 노력
남성 : 자녀보다는 자신의 삶을 증진시키고자 하는 경향
2) 이혼 후 적응
⑴ 실제적인 문제들
가계를 유지하는 것과 경제적, 직업적 어려움 경험
- 이혼 남성 : 식사, 세탁, 쇼핑 등 일상생활의 어려움
- 이혼 여성 : 일상적, 규칙적 생활패턴의 변화로 혼란(직장생활로 인한 시간
부족)
경제적 스트레스 : 가계의 수입이 두 가계로 분리
→ 가계 유지비용 증가, 양육비 담당 남성의 심리적 압박감
⑵ 자아개념의 변화와 정서적 적응
이혼 직후 불안감, 우울, 분노, 거부감, 무능감
나이가 많을수록, 결혼기간이 길수록 더욱 큼
자녀와 헤어진 이혼 부모 : 자녀로부터의 분리로 인한 박탈감
자아개념의 혼란은 새로운 역할 수행과 일상적인 삶이 정리되면서 점차 개선됨
대처전략 : 다양한 사회활동, 자기개발 프로그램, 새로운 사람들과의 만남
이혼 후 2년 정도 지나면 만족스럽고 친밀한 대인관계를 형성할 수 있음
⑶ 대인관계
결혼상태에서 형성되었던 사회적 관계 붕괴를 대체보상할 수 있는 관계형성
이 어려움
이혼한 여성 : 더 많은 고립감 경험(결혼상태에서는 남편 위주로 인간관계가
형성)
⑷ 헤어진 배우자와의 관계
전 배우자와의 갈등요소 : 재정적 지원, 자녀방문과 양육 등
전 배우자가 재혼을 하게 되면 다시 분노, 우울, 무력감, 불안을 경험(여성)
3) 이혼이 자녀에게 미치는 영향
자녀의 정신건강, 발달, 일탈행동 등에 문제점
→ 활동성, 사교성, 사회성 부족
→ 학업성적이 떨어지고, 분노, 공격성, 후회, 억압, 죄의식, 대인관계문제, 인지
능력 저하
→ 성인이 되어 결혼했을 때 정상적인 결혼생활을 유지하지 못할 가능성 높음
최근 연구결과 : 서로 미워하고 싸우는 부모를 보며 갈등을 겪는 아동은 이혼 후
안정 찾음
참고문헌
건강가정론 조희금, 김경신 외 3명 저 | 신정 |
가족복지론 이영실, 윤대중 외 3명 저 | 양서원 |
건강가정론 윤경자, 김정옥 외 3명 저 | 공동체 |
다문화가족복지론 최현미, 이혜경 외 3명 저 | 양서원 |
사회복지학개론 원리와 실제 강욱모(교수), 김성천 외 3명 저 | 학지사 |
가정학원론 유영주(교수) 저 | 신광출판사 |
건강가정론 이기숙(교수), 도미향 외 3명 저 | 신정 |
건강가정론 김익균(교수) 저 | 파워북 |
건강가정론 김윤재, 김은희 외 1명 저 | 동문사 |
1) 이혼에 대한 정서적 반응
이혼 후에는 여러 가지 문제를 겪게 됨
→ 사회적, 성적인 삶에서의 변화, 외로움, 지원체계, 변화된 경제상태 등
→ 이혼한 사람들이 경험하는 정서들은 개인적 문제이기 때문에 해결하기 더
어려움
⑴ 분노
가장 많이 경험하는 정서, 적대감과 공격성 동반
헤어진 배우자에 대한 적대감 → 자녀에게 표현되기도 함
분노의 강도 : 자녀가 있는 경우, 남자보다 여자가 강하게 표현됨
⑵ 우울
이혼한 사람들은 자살, 우울, 무력감 보임
불면증, 체중변화, 에너지 고갈, 낮은 자존감
배우자와의 의사소통에 문제가 있는 경우 : 우울증 발생 가능성 25배 높음
⑶ 후회
이혼한 사람의 22.9% : 이혼 후회(절반 정도만이 이혼 만족)
남자가 후회율이 높음
→ 이혼 후 일상생활, 심리적 적응의 어려움
혼인기간 3년 미만의 이혼자 : 후회율 가장 높음
이혼에 대한 후회율 : 이혼 후 1~3년 사이 가장 높음
⑷ 헤어진 배우자에 대한 애착
갈등을 겪은 사람들이 이혼 후 갈등이 어느 정도 해결 → 배우자에게 애착 보임
새로운 생활에 대한 적응에서 오는 어려움 때문
이혼 후 초기
⑸ 양가감정
새로운 시작에 대한 기대감,
불행한 결혼이 자녀와 상대에게 주었을 부정적인 영향에 대한 죄의식을 동시에
경험
여성 : 자신과 자녀의 삶을 증진하려는 노력
남성 : 자녀보다는 자신의 삶을 증진시키고자 하는 경향
2) 이혼 후 적응
⑴ 실제적인 문제들
가계를 유지하는 것과 경제적, 직업적 어려움 경험
- 이혼 남성 : 식사, 세탁, 쇼핑 등 일상생활의 어려움
- 이혼 여성 : 일상적, 규칙적 생활패턴의 변화로 혼란(직장생활로 인한 시간
부족)
경제적 스트레스 : 가계의 수입이 두 가계로 분리
→ 가계 유지비용 증가, 양육비 담당 남성의 심리적 압박감
⑵ 자아개념의 변화와 정서적 적응
이혼 직후 불안감, 우울, 분노, 거부감, 무능감
나이가 많을수록, 결혼기간이 길수록 더욱 큼
자녀와 헤어진 이혼 부모 : 자녀로부터의 분리로 인한 박탈감
자아개념의 혼란은 새로운 역할 수행과 일상적인 삶이 정리되면서 점차 개선됨
대처전략 : 다양한 사회활동, 자기개발 프로그램, 새로운 사람들과의 만남
이혼 후 2년 정도 지나면 만족스럽고 친밀한 대인관계를 형성할 수 있음
⑶ 대인관계
결혼상태에서 형성되었던 사회적 관계 붕괴를 대체보상할 수 있는 관계형성
이 어려움
이혼한 여성 : 더 많은 고립감 경험(결혼상태에서는 남편 위주로 인간관계가
형성)
⑷ 헤어진 배우자와의 관계
전 배우자와의 갈등요소 : 재정적 지원, 자녀방문과 양육 등
전 배우자가 재혼을 하게 되면 다시 분노, 우울, 무력감, 불안을 경험(여성)
3) 이혼이 자녀에게 미치는 영향
자녀의 정신건강, 발달, 일탈행동 등에 문제점
→ 활동성, 사교성, 사회성 부족
→ 학업성적이 떨어지고, 분노, 공격성, 후회, 억압, 죄의식, 대인관계문제, 인지
능력 저하
→ 성인이 되어 결혼했을 때 정상적인 결혼생활을 유지하지 못할 가능성 높음
최근 연구결과 : 서로 미워하고 싸우는 부모를 보며 갈등을 겪는 아동은 이혼 후
안정 찾음
참고문헌
건강가정론 조희금, 김경신 외 3명 저 | 신정 |
가족복지론 이영실, 윤대중 외 3명 저 | 양서원 |
건강가정론 윤경자, 김정옥 외 3명 저 | 공동체 |
다문화가족복지론 최현미, 이혜경 외 3명 저 | 양서원 |
사회복지학개론 원리와 실제 강욱모(교수), 김성천 외 3명 저 | 학지사 |
가정학원론 유영주(교수) 저 | 신광출판사 |
건강가정론 이기숙(교수), 도미향 외 3명 저 | 신정 |
건강가정론 김익균(교수) 저 | 파워북 |
건강가정론 김윤재, 김은희 외 1명 저 | 동문사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