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재의 이해.ppt
본 자료는 9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해당 자료는 9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9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 주자재 : 가구를 형성하고 있는 직접적인 자재

1-1 코어자재 :
  PB Particle –Board
  MDF Medium Density - FiberBoard
  원목 Solid Wood
  HDF HIGH Density Fiberboard
  합판 PLY WOOD

 ※PB & MDF의 비교

1-2 표면자재 :
  페이퍼류:CPR,FF,LPM,HPM
   비닐류:PVC,PP  
  무늬목류:천연,인조
   도장류:유색,투명 -PU,POLY,UV도장

〓〓〓〓〓〓〓〓〓〓〓〓〓〓〓〓〓〓〓〓〓〓〓〓〓〓〓〓〓〓〓〓〓〓〓〓〓〓〓

먼저 목차를 보시면서 오늘교육의 내용이 뭔지 알아보도록 하죠.
오늘 다룰 내용은 크게 3가지입니다.
첫번째 가구를 형성하는 몸통의 직접적인 자재인 주자재입니다.
이런 주자재는 PB MDF SOLID WOOD HDF PW와 같은 코어자재와
페이퍼류,비닐류,무늬목류,도장류 등의 표면제로 나눠집니다.
그리고 나머지 코어자재와 표면재에 관련된 추가적인 자료를 더 보시겠습니다.

본문내용

자재의 이해




1. 코어자재의 종류
╋━━━━━━━━━━───────

PB
(Particle –Board) 파티클보드 /칩보드
가구시장,의 대표적 자재. 목재, 대나무 등을 분쇄하여
작은 칩 형태로 만들어 고온, 고압의 프레스로 압축하여
제작하며, 가장 저렴한 자재
                        Ex)붙박이장 몸통, 책장
※두께종류
: 9t, 12t, 15t, 18t, 20t, 23t, 30t

 ≪ 그 림 ≫

MDF
(Medium Density -FiberBoard) ”중밀도 섬유질보드”
일반 목재, 대나무 등을 섬유질 상태로 분해한 후
고온, 고압의 프레스로 압축하여 만든 자재.
※ 두께종류                   Ex)도어, 서랍 앞판
: 3t, 4.5t, 6t, 9t, 12t, 15t, 18t, 20t, 23t, 30t

 ≪ 그 림 ≫

HDF
HIGH Density Fiberboard)
자재 중심층엔 작은 칩(CHIP)과 양쪽표면엔 섬유질로
분해한 재료를 위치시켜 고온, 고압의 프레스로
압축하여 만든 자재.
                        Ex) 제품 3t 뒷판용

 ≪ 그 림 ≫

〓〓〓〓〓〓〓〓〓〓〓〓〓〓〓〓〓〓〓〓〓〓〓〓〓〓〓〓〓〓〓〓〓〓〓〓〓〓〓〓〓〓〓〓〓〓〓〓〓

코어자재!! 코어자재란 무엇일까요? 어떤 것을 코어자재라고 할까요?
코어자재에는 다섯가지의 종류가 있습니다.
먼저 첫번째로 가구의 재료중 가장 흔하게 쓰이는 PB라는 자재입니다.
파티클보드 또는 칩보드라고 불리는 자재로 주변에서 흔하게 구할 수 있는 일반 목재들과 건설현장에서
쓰는 폐자재가 PB를 만드는 재료입니다.
그리고 목재를 분쇄기를 이용해 정말 작은 조각으로 분해를 합니다.
그러는 과정에서 나무가 아닌 것들은 자동으로 걸러지고 나무성분만 모아서 접착제와 섞어
고온의 열과 함께 프레스로 압축을 하면 PB가 만들어집니다. 대량으로 자재공급이 가능하고
가격이 저가이기 때문에 많은 가구제품들의 자재로 사용이 되고 있고 9t에서 30T까지 다양한
두께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한샘가구중 붙박이장의 몸통과 책장의 주자재로 사용되고 있는 자재입니다.

두번째 MDF는 미디엄 댄시티 파이버보드로 불리며 해석하면 중밀도 섬유질 보드입니다.
MDF는 목재와 대나무를 모아 분쇄를 하는데 조각처럼 거친 입자가 아닌 해섬형태로 만들어집니다.
해섬은 가루를 뜻하는 말로 이렇게 가루로 만들어서 역시 접착제와 함께 섞어 고온의 열과 프레스로 압축을 하면 MDF가 됩니다.
해섬으로 만들어서 PB보다 더 다양한 3T부터 30T까지의 두께를 사용할 수 있고 붙박이장등의 도어
나 서랍의 앞판으로 사용되기도 합니다.

세 번째 MDF와 이름이 비슷한 HDF입니다. 하이 댄시티 파이버보드 즉 고밀도 섬유질보드입니다.
PB,MDF와 생산공정은 비슷합니다. HDF의 특징은 PB와 MDF의 구조를 모두 가지고 있다는 것입니다.
구조는 세가지 층으로 나눠볼 수 있는데요 가운데층은 PB조각으로 만들어진 층이구요,
위 아래의 표면층에는 해섬(가루)으로 만들어진 층으로 되어있습니다. 2가지 재료를 합쳐서 만들었기 때문에
PB나 MDF보다 강도가 훨씬 강합니다. 그래서 가격면에서도 당연히 더 비싼 자재로 가구의 뒷판정도로만 사용하고 있습니다.




1. 코어자재의 종류
╋━━━━━━━━━━───────

원목

접착제/타자재 등 별도의 첨가제를 사용하지 않은
자재. 가구 제작에 있어 최고의 자재이며수종에 따라
공급에 제한을 받을 수 있어 가격이 고가인 단점.

Ex) 단품 다릿발

 ≪ 그 림 ≫

PW (합판)

PLY WOOD)
여러 종류의 나무를 얇게 제단하여 결방향을
교차시켜 여러 겹으로 접착한 자재.

Ex) 침대 헤드 고주파, 건축용 자재.

 ≪ 그 림 ≫

〓〓〓〓〓〓〓〓〓〓〓〓〓〓〓〓〓〓〓〓〓〓〓〓〓〓〓〓〓〓〓〓〓〓〓〓〓〓〓〓〓〓〓〓〓〓〓〓〓

네 번째는 여러분도 어렵지 않은 원목자재입니다. 별도의 첨가제를 사용하지 않아도 본연의 모습자체로
장식성과 화려함을 가지고 있는 재료입니다.
가히 가구를 만드는 재료로서는 최고의 재료라고 불릴 수 가 있지만 이런 재료에도 단점이 있습니다.
원목은 산에서 벌목을 해야 하고 다른 용도로 쓰인 후에 재활용하기 힘든 자재입니다.
그래서 매번 새로운 자재를 구입 해야 하기 때문에 산림의 나무를 벌목하는데는 한계가 있어 공급에도 지장이 있고 가격이 비싼 단점이 있는 자재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현재 제품에는 침대나 책상 협탁 등의 다릿 발 같은 부분적인 재료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다섯 번째 자재는 PW 플라잉 우드 합판입니다.
합판은 원목을 얇게 켜서 우측의 그림처럼 일정한 규격에 맞춰 결을 교차시키면서 3장 5장 7장의 층구조로 접착제를 바르면서 쌓아줍니다.

키워드

자재의 이해,   ppt,   가구,   자재,   코어자재,   표면자재,   MDF,   PB
  • 가격3,000
  • 페이지수28페이지
  • 등록일2012.11.23
  • 저작시기2006.7
  • 파일형식파워포인트(ppt)
  • 자료번호#77722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