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Title 간단한 유리세공
2.Introduction
3.Principle & Theory
4.Apparatus & Reagents
5. Procedure
1. 유리관 자르기
2. 유리관 다듬기
3. 유리관 굽히기
4. 유리관 뽑기
5.유의사항
6.Result
실험1. 유리관 자르기
실험2. 유리관 뾰족한 끝 만들기
실험3. 유리관 구부리기
7.Discussion & Feeling
2.Introduction
3.Principle & Theory
4.Apparatus & Reagents
5. Procedure
1. 유리관 자르기
2. 유리관 다듬기
3. 유리관 굽히기
4. 유리관 뽑기
5.유의사항
6.Result
실험1. 유리관 자르기
실험2. 유리관 뾰족한 끝 만들기
실험3. 유리관 구부리기
7.Discussion & Feeling
본문내용
쪽으로 늘려보았다. 하지만 내가 원하는 모양이 나오지 않았다.
원인을 알아보니 완전히 붉어질 때까지 가열을 해서 양쪽으로 늘릴 때도 같은 힘으로 양쪽으로 늘려야했다.
다시 원인을 점검하고 완전히 물렁물렁해질 때까지 기다렸다가 불꽃에서 빼서 양쪽으로 잡아당기니 가늘고 길게 되었다.
두 번째 시험에는 유리관 구부리기를 하였다. 이번 실험은 앞에서 했던 것보다 훨씬 어렵고 잘되지 않았다.
앞에서 했던 것과 마찬가지로 가운데 부분을 가열하였고 이후 불을 제거한 후 몇초동안 열이 균일해지도록 잡고 있었다. 하지만 물렁물렁 해져서 균일하게 잡는 것이 어려웠지만 그래도 최대한 균일해지도록 잡고 천천히 구부렸다가 단단해질 때까지 잡고 있었다.
하지만 모양이 제대로 나오지 않아 원인을 알아보니 가운데부분을 가열할 때 첫 번째실험과는 달리 앞뒤로 균일하게 열을 가해주어야 되었다.
가열을 제대로 해주지 못한 것은 너무 물렁물렁해져서 넓적하거나 불균일한 모양으로 구부러졌다.
가열을 균일하게 해준 것은 구부러진 부분이 약간 둥글게 나왔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내가 만든 것에 사진을 보니 둥글게 나온 것이 많이 없는데 다음에 유리세공을 할 기회가 있다면 앞에서 실패했던 것의 원인을 제대로 알고 성공할 수 있도록 해야겠다.
이번 실험 유리세공을 배워서 새로운 좋은 경험이 되었던 거 같고 유리에 대해서도 많이 알수 있어 좋은 계기가 되었던 거 같다.
특히 처음 하는 화학실험이라 어려울 거라 생각했는데 생각보다 어렵지 않았고 실험을 하면서예비레포트를 쓰고 공부한 것들이 많은 부분에 도움이 되어서 어렵지 않게 할 수 있었던 거 같다.
원인을 알아보니 완전히 붉어질 때까지 가열을 해서 양쪽으로 늘릴 때도 같은 힘으로 양쪽으로 늘려야했다.
다시 원인을 점검하고 완전히 물렁물렁해질 때까지 기다렸다가 불꽃에서 빼서 양쪽으로 잡아당기니 가늘고 길게 되었다.
두 번째 시험에는 유리관 구부리기를 하였다. 이번 실험은 앞에서 했던 것보다 훨씬 어렵고 잘되지 않았다.
앞에서 했던 것과 마찬가지로 가운데 부분을 가열하였고 이후 불을 제거한 후 몇초동안 열이 균일해지도록 잡고 있었다. 하지만 물렁물렁 해져서 균일하게 잡는 것이 어려웠지만 그래도 최대한 균일해지도록 잡고 천천히 구부렸다가 단단해질 때까지 잡고 있었다.
하지만 모양이 제대로 나오지 않아 원인을 알아보니 가운데부분을 가열할 때 첫 번째실험과는 달리 앞뒤로 균일하게 열을 가해주어야 되었다.
가열을 제대로 해주지 못한 것은 너무 물렁물렁해져서 넓적하거나 불균일한 모양으로 구부러졌다.
가열을 균일하게 해준 것은 구부러진 부분이 약간 둥글게 나왔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내가 만든 것에 사진을 보니 둥글게 나온 것이 많이 없는데 다음에 유리세공을 할 기회가 있다면 앞에서 실패했던 것의 원인을 제대로 알고 성공할 수 있도록 해야겠다.
이번 실험 유리세공을 배워서 새로운 좋은 경험이 되었던 거 같고 유리에 대해서도 많이 알수 있어 좋은 계기가 되었던 거 같다.
특히 처음 하는 화학실험이라 어려울 거라 생각했는데 생각보다 어렵지 않았고 실험을 하면서예비레포트를 쓰고 공부한 것들이 많은 부분에 도움이 되어서 어렵지 않게 할 수 있었던 거 같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