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아 교육 사상
본 자료는 6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해당 자료는 6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6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놀이의 의미

1) 사전적 의미
2) 유아교육적 의미
2. 놀이의 유형

1) 인지적 놀이 행동
① 기능놀이
2) 사회적 놀이 행동
3. 놀이이론
1) 고전적 놀이 이론
2) 현대적 놀이 이론
4. 놀이의 기능
1. 부모교육의 개념
1) 부모교육을 지칭하는 용어의 다양성
2) 부모교육 의미
2. 부모교육의 필요성
3. 부모교육의 유형
4. 부모교육의 영향
1. 지능의 개념
2. 지능의 이론

본문내용

급격히 감소되는 선천적 기능으로서 뇌손상이나 정상적 노령화에 따라 감소되는 지적 능력이라고 보았다.
②결정적 지능 : '어떤 학습된 지적 능력이 기억 속으로 결정되어 진다.'라는 의미를 내포하고 있으며, 환경적·경험적·문화적 영향에 의하여 발달되는 지능이다. 이 능력은 유동성 지능과 문화와 교육과 같은 환경적 요인과의 상호작용에 의해 발달하며 약 40세까지 발달하며 그 후에는 서서히 쇠퇴한다.
6) 가드너의 다중지능이론
Howard Gardner
하워드 가드너는 현재 하버드대학교 대학원 교수이자, 하버드대학교 심리학과 겸임교수. 보스톤대학교 약학대학 신경학과 겸임교수, 하버드 Project Zero의 추진위원장, Good Work Project 책임자로 재직중에 있다. 우리에겐 다중지능이론을 개발한 학자로 널리 알려져 있으며 1972년부터 David Perkins와 함께 Harvard Project Zero의 공동 소장으로 연구해 오면서, 기존의 지능관에 대한 회의를 펼치고 새로운 접근을 시도하여 1983년 “Frames of Mind: The Theory of Multiple Intelligences"라는 저서를 통해 다중 지능을 주장하였다.
가) 다중지능이론의 특성과 이론적 배경을 고려해 볼 때, 다중지능의 핵심은 다음과 같이 정리될 수 있다(Armstrong, 1994).
① 모든 개개인은 여덟 가지 지능(그림에 자연 탐구적 지능 추가)을 모두 가지고 있다.
하나의 인지적 기능에 관한 이론으로서 모든 개개인이 정도의 차이가 나겠지만 이 여덟 가지 지능을 모두 갖고 있다고 보며, 여덟 가지 지능이 합해져서 독특한 방식을 가진 한 사람을 형성한다는 것이다. 그래서 독일의 시인이자, 과학자이며 철학가인 괴테(Johann Wolfgang von Goethe)처럼 어떤 사람은 여덟 가지 지능이 모두 빼어 날만큼 우수할 수 있고, 야구선수 박찬호처럼 한 가지 지능이 다른 지능에 비해 특히 우수할 수도 있다. 그렇다고 박찬호 선수가 신체-운동적 지능만 우수하다는 것은 아니다. 그는 타자의 심리를 잘 읽어 낼 수 있는 대인관계 지능이나, 자신이 위기에 처했을 때 자신을 이해하고 통제할 수 있는 자기이해 지능, 더 나아가 자신이 던진 공의 속도와 더불어 타자가 방망이 휘두르는 속도, 바람의 속도 등을 계산해 내는 논리-수학적 지능이 남들보다 뛰어날 수도 있다.
② 모든 사람은 각각의 지능을 적절한 어떤 수준까지 개발시킬 수 있다.
가드너는 사실상 모든 사람들이, 만약 적절한 여건(용기, 좋은 내용, 좋은 교육)만 주어진다면, 비교적 높은 수준의 성취를 할 수 있다고 주장하였다. 가드너가 예로 든 것은 Suzuki Talent Education Program이다. 이 프로그램의 창시자이자 바이올린이스트, 교육자, 철학자, 인간주의자인 Shinichi Suzuki는 지난 반세기 동안 자국(自國)에서뿐만 아니라 세계적으로 음악 교육에 영향을 끼쳐왔다. 특히, 그는 "음악적 재능은 타고난 것이 아니라 계발될 수 있다"는 믿음을 가졌고, 누구든지 적절하게 교육을 받으면 음악적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고 주장하였고, 이를 실천함으로써 증명하였다. 아마, 특기적성 교육의 성공을 보여준 가장 시범적인 예라고 할 수 있다. 과학 교육 역시 마찬가지라고 볼 수 있다. 과학적 재능은 좋은 내용의 교육(아인슈타인 과학 영재교육 프로그램)을 통해서 충분히 계발될 수 있다.
③ 여덟 가지 지능들은 여러 가지 복잡한 방식으로 함께 작용한다.
지능들은 항상 서로 교류하면서 작용한다. 예를 들어, 요리를 한다고 할 때에, 먼저 요리법을 읽어야 하고(언어적 지능), 이 때 요리를 몇 단계로 나눌 때도 있고(논리-수학적 지능), 가족의 모든 사람의 취향을 고려해야 하고(대인관계 지능), 뿐만 아니라 자신만이 잘 창출해내는 맛을 자아내게 해야한다(자기이해 지능).
나) Gardner의 8가지 지능에 따른 학습자 양식 분류
① 언어적 지능(linguistic intelligence learner)
말하기, 듣기, 쓰기에 자신감이 있는 학생 -> 토론, 논쟁을 주로 사용하면 효과적
② 논리-수학적 지능(logical-mathematical intelligence learner)
추리, 문제해결력, 수학에 특기 가진 학생-> 분류, 관계분석, 실험(정리) 방법이 효과적
③ 공간적 지능(spatial intelligence learner)
읽기, 지도 및 도표 보기, 수수께끼, 영상화, 공상 등에 특기 있는 학생-> 그림, 색, 영상, 시각적 학습활동이 효과적
④ 음악적 지능(musical intelligence learner)
소리 잘 알아 맞추고, 기억할 수 있는 학생 -> 리듬, 흐름 활용이 효과적
⑤ 신체-운동적 지능(bodily-kinesthetic intelligence learner)
움직임, 연장과 물건 만들기에 특기 있는 학생 -> 체육, 몸 많이 움직이게 하는 것이 효과적
⑥ 대인관계 지능(interpersonal intelligence learner)
이해심, 상담자 역할, 앞장서기 좋아하는 특성 가진 학생-> 협동학습이 효과적
⑦ 자기 이해 지능(intrapersonal intelligence learner)
자신의 장단점 파악, 알맞은 목표설정을 하는 학생
-> 개별학습, 자기진도학습, 반성적 사고가 효과적
⑧ 자연 탐구적 지능(nationalist intelligence learner)
조사, 분석, 관찰에 특기 가진 학생 -> 관찰, 현장학습이 효과적
3. 지능의 측정
가) 집단 지능검사 : 검사자 한명이 두명 이상(다수)의 학생을 검사
나) 개인 지능검사
① Binet 검사 : (비율)IQ=MA(정신연령)/CA(생활연령)×100
② Wechsler 검사 : (편차)IQ ; 해당연령에서 평균으로부터 떨어진 IQ를 알아내는 것.
미국
한국
성인용
WAIS(1939)
KWIS(1963)
K-WAIS(1992)
아동용
WISC(1949)
K-WISC(1974)
WISC-R(1974)
KEDI-WISC(1987)
WISCⅢ
취학전 아동용
WPPSI(1967)
K-WPPSI(1989)
  • 가격3,000
  • 페이지수18페이지
  • 등록일2012.03.13
  • 저작시기2007.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7782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