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조사방법론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사회조사방법론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사회조사의 필요성
2. 사회조사의 방법
가. 자료수집의 시공간적 범위
나. 자료수집의 내용
다. 자료수집의 기술

※참고문헌

본문내용

언어확인의 원칙, 축어의 원칙, 구체의 원칙이 지켜져야 한다. 관찰된 자료는 현장에서 바로 기술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시간이 경과하면 할수록 자료의 내용은 조사자의 무의식적인 선별에 의하여 사라지기도 하며 왜곡되어 지기도 한다. 현장기술이 불가능할 경우에는 가급적 가장 빠른 시간내에 기술을 해야 한다. 조사자는 관찰된 내용들을 기술할 때 현지주민들이 사용하는 용어를 그대로 기술하여야 한다. 조사자의 부주의에 의하여 잘못하면 조사자의 용어나 조사자의 학술용어가 기술되는 경우가 생기게 되는데 그것은 자료가 조사자에 의해 왜곡될 수 있는 소지를 남기게 된다. 이것을 언어 확인의 원칙(The language Identification Principle)이라고 한다. 조사자가 자료를 기술할 때 주의해야 할 점은 현지주민이 응답한 내용을 자기식으로 번역하여 기술하는 것이다. 말을 그대로 옮겨 적는다는 뻔한 원리가 종종 잘지켜지지 않는 경우가 많다. 조사자들은 끊임없이 현지자료를 자기식으로 번역해 기술하려는 경향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현지주민들의 말을 존중하여 그대로 옮겨 적는 것을 축어의 원칙(The Verbatim Principle)이라 한다. 조사자가 자료를 기술할 때 지켜야 하는 또 하나의 원칙은 구체의 원칙(The Concrete Principle)이다. 이 원칙은 관찰된 내용을 기술할 때 구체적인 언어를 쓰라는 것이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압축하고, 요약하고, 생략하고, 일반화하는 훈련을 장기간 해 왔기 때문에, 구체적인 말로 쓰는 것이 어렵다. 현지조사 노트를 쓰려면 가능한한 '특별하고' '자세하게' 묘사해야 한다. 예를 들면 '밥상위에 놓인 밥'으로 기술하는 것이 아니라 '개다리 소반위에, 큰 놋그릇에 가득 담긴 김이 무럭 무럭 나는 찰밥'이라고 기술되어야 한다.
이러한 절차와 방법을 거쳐 자료를 수집하게 되면 조사자는 이를 바탕으로 일관성있고 일정한맥락을 유지하는 보고서를 작성할 수 있다. 이 보고서는 이것만으로도 훌륭한 민족지로서 구실을 할 수 있게 되며, 잘 쓰여진 민족지는 인류학자들의 비교문화연구에서 매우 훌륭한 가치를 가지게 된다. 뿐만 아니라 잘 쓰여진 민족지는 현지주민들에게는 자신들의 역사와 문화에 대한 귀중한 기록이 될 것이며, 자신들의 삶터와 역사를 버리고 이주를 해야 할 입장에 있는 그들에게 심리적, 정신적 보상이 될 것이다. 개발을 주도하는 입장에 있는 편에게도 이 보고서는 이주대책의 설립이나 개발의 중요한 지침서의 역할을 하게 될 것이다.
참고문헌
권이구편역,1981,현대문화인류학,탐구당
김택규외,1991,촌락실태조사소편람,한국향토사연구 전국협의회
김학휘외,1991,촌락실태조사 소편람,한국향토사연구 전국협의회
문옥표,1995,인류학,현대문화분석,한국학,문화이론의 쟁점과 한국사회,한국정신문화연구원
서현정,1994,햄버거를 통해본 한국의 음식,제 26차 한국문화인류학회 전국대회,소비문화
발표논문집, 한국문화인류학회
이정덕,1995,세계화와 한국인의 소비문화,문화이론의 쟁점과 한국사회,한국정신문화연구원
  • 가격2,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2.03.13
  • 저작시기2008.0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7806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