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늘사랑아동복지센터 조사분석
1. ‘사회복지법인 기독교 대한성결교회 사회사업유지재단’의 개요
1) 법인소개
2) 주요연혁
2. 늘사랑아동가족복지센터의 사업
1) 요보호아동 양육사업
2) 국내입양사업
3) 지역사회복지증진사업
3. 늘사랑어린이집 소개
1) 원훈
2) 보육사업의 목적
3) 보육대상
4) 보육료
5) 보육내용
6) 학급운영
7) 프로그램
4. 실습
5. 직장보육시설 - 푸른보육경영
1) 직장보육시설이란?
2) 직장보육시설 인정기준
3) 직장보육시설을 의무적으로 설치해야 하는 경우
Ⅱ. 보육시설의 이해 - 영유아보육법
1. 보육시설의 개요
1) 영유아보육법상 용어의 정의(법 제2조)
2)보육시설의 종류
3) 보육시설의 설치
4) 결격사유
5) 보육시설종사자
6) 보육시설의 운영
7) 보육비용
8) 지도 및 감독
9) 벌칙
Ⅲ. 보육시설 현황
1) 보육시설 일반현황
2) 보육시설 지역현황
* 참고자료
1. ‘사회복지법인 기독교 대한성결교회 사회사업유지재단’의 개요
1) 법인소개
2) 주요연혁
2. 늘사랑아동가족복지센터의 사업
1) 요보호아동 양육사업
2) 국내입양사업
3) 지역사회복지증진사업
3. 늘사랑어린이집 소개
1) 원훈
2) 보육사업의 목적
3) 보육대상
4) 보육료
5) 보육내용
6) 학급운영
7) 프로그램
4. 실습
5. 직장보육시설 - 푸른보육경영
1) 직장보육시설이란?
2) 직장보육시설 인정기준
3) 직장보육시설을 의무적으로 설치해야 하는 경우
Ⅱ. 보육시설의 이해 - 영유아보육법
1. 보육시설의 개요
1) 영유아보육법상 용어의 정의(법 제2조)
2)보육시설의 종류
3) 보육시설의 설치
4) 결격사유
5) 보육시설종사자
6) 보육시설의 운영
7) 보육비용
8) 지도 및 감독
9) 벌칙
Ⅲ. 보육시설 현황
1) 보육시설 일반현황
2) 보육시설 지역현황
* 참고자료
본문내용
에 의한 기간 이내에 이의를 제기하지 아니하고 과태료를 납부하지 아니한 때에는 국세체납처분 행정상의 강제징수방법의 하나이다. 국세체납처분이라는 말은 3가지 의미로 사용되고 있다. 첫째, 가장 좁은 의미로는 국세체납자에 대하여 세무행정관청이 행하는 법률행위적 행정행위인 행정처분, 예컨대 체납자의 재산에 대한 압류명령ㆍ공매처분 등을 의미한다. 둘째, 좁은 의미로는 국세징수법상 사용되는 개념으로 행정처분과 아울러 그에 부수되는 여러 가지 집행절차를 포함하여 사용되고 있는데, 이에는 재산압류ㆍ매각 및 청산의 3단계 절차가 포함되고 있다. 셋째, 넓은 의미로는 협의의 체납처분을 하기 위한 전제조건인 독촉절차와 협의의 체납처분과 관련ㆍ부수되는 교부청구나 결손처분까지도 모두 포함하여 사용되는 개념이다.
또는 지방세체납처분의 예에 의하여 이를 징수한다(법 제56조 제6항).
Ⅲ. 보육시설 현황
1) 보육시설 일반현황(2006. 6.30 현재)
(단위: 개소, 명)
구분
계
국·공립
보육시설
법인
보육시설
민간보육시설
부모협동
보육시설
가정
보육시설
직장
보육시설
소계
법인외
민간개인
시설수
개소
28,040
1,352
1,559
13,669
968
12,701
31
11,178
251
(비율)
100%
4.8%
5.6%
48.7%
3.5%
45.3%
0.1%
39.9%
0.9%
아동수
정원
1,194,720
113,322
153,358
722,225
63,382
658,843
936
189,142
15,737
(비율)
100%
9.5%
12.8%
60.5%
5.3%
55.1%
0.1%
15.8%
1.3%
현원
972,391
106,443
130,909
595,092
54,504
540,588
690
126,740
12,517
(비율)
100%
10.9%
13.5%
61.2%
5.6%
55.6%
0.1%
13.0%
1.3%
이용율
81.4%
93.9%
85.4%
82.4%
86.0%
82.1%
73.7%
67.0%
79.5%
직원수
인원
130,972
12,833
15,842
75,010
7,490
67,520
117
25,389
1,781
(비율)
100%
9.8%
12.1%
57.3%
5.7%
51.6%
0.1%
19.4%
1.3%
시설 1개당
아동수
35
79
84
44
56
43
22
11
50
직원 1인당
아동수
8
7
8
8
7
8
6
5
7
자료: 여성가족부 보육재정과
2) 보육시설 지역현황(2065. 6.30 현재)
구분
전반기말
현재
설치
폐쇄
현반기말 현재
신규설치
전입
(정원 증원 포함)
폐지·휴지
전출
(정원 감원 포함)
합 계
시 설 수
26,903
2,244
-
1,107
-
28,040
보육정원
1,133,589
70,625
23,536
27,143
5,887
1,194,720
서울(계)
시 설 수
5,035
468
-
180
-
5,323
보육정원
197,398
12,415
3,568
3,772
290
209,319
부산(계)
시 설 수
1,529
105
-
43
-
1,591
보육정원
71,596
2,953
827
882
392
74,102
대구(계)
시 설 수
1,182
93
-
44
-
1,231
보육정원
55,081
4,323
665
1,296
68
58,705
인천(계)
시 설 수
1,235
131
-
55
-
1,311
보육정원
48,499
4,053
1,440
1,743
443
51,806
광주(계)
시 설 수
1,000
59
-
33
-
1,026
보육정원
52,567
3,038
1,042
803
124
55,720
대전(계)
시 설 수
897
89
-
38
-
948
보육정원
27,525
2,254
1,233
767
1,045
29,200
울산(계)
시 설 수
594
35
-
30
-
599
보육정원
26,430
1,092
763
377
579
27,329
경기(계)
시 설 수
7,133
631
-
319
-
7,445
보육정원
248,073
16,753
5,521
7,409
581
262,357
강원(계)
시 설 수
755
50
-
27
-
778
보육정원
39,011
2,069
237
724
59
40,534
충북(계)
시 설 수
850
56
-
42
-
864
보육정원
48,048
1,398
-
2,436
-
47,010
충남(계)
시 설 수
1,074
62
-
38
-
1,098
보육정원
48,838
2,861
849
915
105
51,528
전북(계)
시 설 수
1,146
88
-
70
-
1,164
보육정원
59,453
3,307
927
1,341
316
62,030
전남(계)
시 설 수
865
78
-
33
-
910
보육정원
51,257
2,563
1,465
779
53
54,453
경북(계)
시 설 수
1,301
91
-
46
-
1,346
보육정원
63,366
3,893
3,003
1,696
1,713
66,853
경남(계)
시 설 수
1,903
184
-
96
-
1,991
보육정원
75,091
6,826
1,064
1,959
64
80,958
제주(계)
시 설 수
404
24
-
13
-
415
보육정원
21,356
827
932
244
55
22,816
(단위: 개소, 명)
자료: 여성가족부 보육재정과
* 참고자료 *
이중엽, 사회복지법제론, 유풍출판사, 2005.
늘사랑아동가족복지센터 http://bbomany.zoa.to.
법제처 http://www.moleg.go.kr.
여성가족부 http://www.mogef.go.kr.
서울통계연보 http://webseoul.metro.seoul.kr.
푸른경영연구 http://www.purunichildcare.com.
또는 지방세체납처분의 예에 의하여 이를 징수한다(법 제56조 제6항).
Ⅲ. 보육시설 현황
1) 보육시설 일반현황(2006. 6.30 현재)
(단위: 개소, 명)
구분
계
국·공립
보육시설
법인
보육시설
민간보육시설
부모협동
보육시설
가정
보육시설
직장
보육시설
소계
법인외
민간개인
시설수
개소
28,040
1,352
1,559
13,669
968
12,701
31
11,178
251
(비율)
100%
4.8%
5.6%
48.7%
3.5%
45.3%
0.1%
39.9%
0.9%
아동수
정원
1,194,720
113,322
153,358
722,225
63,382
658,843
936
189,142
15,737
(비율)
100%
9.5%
12.8%
60.5%
5.3%
55.1%
0.1%
15.8%
1.3%
현원
972,391
106,443
130,909
595,092
54,504
540,588
690
126,740
12,517
(비율)
100%
10.9%
13.5%
61.2%
5.6%
55.6%
0.1%
13.0%
1.3%
이용율
81.4%
93.9%
85.4%
82.4%
86.0%
82.1%
73.7%
67.0%
79.5%
직원수
인원
130,972
12,833
15,842
75,010
7,490
67,520
117
25,389
1,781
(비율)
100%
9.8%
12.1%
57.3%
5.7%
51.6%
0.1%
19.4%
1.3%
시설 1개당
아동수
35
79
84
44
56
43
22
11
50
직원 1인당
아동수
8
7
8
8
7
8
6
5
7
자료: 여성가족부 보육재정과
2) 보육시설 지역현황(2065. 6.30 현재)
구분
전반기말
현재
설치
폐쇄
현반기말 현재
신규설치
전입
(정원 증원 포함)
폐지·휴지
전출
(정원 감원 포함)
합 계
시 설 수
26,903
2,244
-
1,107
-
28,040
보육정원
1,133,589
70,625
23,536
27,143
5,887
1,194,720
서울(계)
시 설 수
5,035
468
-
180
-
5,323
보육정원
197,398
12,415
3,568
3,772
290
209,319
부산(계)
시 설 수
1,529
105
-
43
-
1,591
보육정원
71,596
2,953
827
882
392
74,102
대구(계)
시 설 수
1,182
93
-
44
-
1,231
보육정원
55,081
4,323
665
1,296
68
58,705
인천(계)
시 설 수
1,235
131
-
55
-
1,311
보육정원
48,499
4,053
1,440
1,743
443
51,806
광주(계)
시 설 수
1,000
59
-
33
-
1,026
보육정원
52,567
3,038
1,042
803
124
55,720
대전(계)
시 설 수
897
89
-
38
-
948
보육정원
27,525
2,254
1,233
767
1,045
29,200
울산(계)
시 설 수
594
35
-
30
-
599
보육정원
26,430
1,092
763
377
579
27,329
경기(계)
시 설 수
7,133
631
-
319
-
7,445
보육정원
248,073
16,753
5,521
7,409
581
262,357
강원(계)
시 설 수
755
50
-
27
-
778
보육정원
39,011
2,069
237
724
59
40,534
충북(계)
시 설 수
850
56
-
42
-
864
보육정원
48,048
1,398
-
2,436
-
47,010
충남(계)
시 설 수
1,074
62
-
38
-
1,098
보육정원
48,838
2,861
849
915
105
51,528
전북(계)
시 설 수
1,146
88
-
70
-
1,164
보육정원
59,453
3,307
927
1,341
316
62,030
전남(계)
시 설 수
865
78
-
33
-
910
보육정원
51,257
2,563
1,465
779
53
54,453
경북(계)
시 설 수
1,301
91
-
46
-
1,346
보육정원
63,366
3,893
3,003
1,696
1,713
66,853
경남(계)
시 설 수
1,903
184
-
96
-
1,991
보육정원
75,091
6,826
1,064
1,959
64
80,958
제주(계)
시 설 수
404
24
-
13
-
415
보육정원
21,356
827
932
244
55
22,816
(단위: 개소, 명)
자료: 여성가족부 보육재정과
* 참고자료 *
이중엽, 사회복지법제론, 유풍출판사, 2005.
늘사랑아동가족복지센터 http://bbomany.zoa.to.
법제처 http://www.moleg.go.kr.
여성가족부 http://www.mogef.go.kr.
서울통계연보 http://webseoul.metro.seoul.kr.
푸른경영연구 http://www.purunichildcare.com.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