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를 떠올릴 수 있는 능력을 말하는것으로 고객의 머리속에 쉽게 떠오를수록 제품구매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된다.)
(3) 소비자가 인식하는 재품의 품질- (제품을 구입하고 소비자가 느끼게 되는 품질로 값이 아무리 비싸도 소비자가 느끼는 가치가 그 이상이면 그 가격이 비싼 것이 아니게 됨을 말한다.)
(4) 브랜드에 대한 연상 이미지- (브랜드와 관련하여 떠오르는 모든 것을 말하는 것이다.)
(5) 기타독점적인 브랜드자산 (특허나 등록상표)
4. 저 관여 태도 모델중 Krugman의 모델과 Zajonc의 모델을 비교하여 차이점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라
Krugman
- 저관여 소비자의 경우에는 상표속성에 대한 명확한 인지적활동 없이도 상표명과 같은 단순한인지를 통해서 구매행동을 유발할 수 있으며, 행동을 수행 후에 비로서 태도가 형성
-krugman의 수동적 학습이론
TV는 시청자에게 휴식과 여과를 제공하는 매체이므로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제품구매가 크게 관여하지 않는다는 이론, 결국 저관여 상황에서는 어떠한 메시지로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치 못하고 소비자는 TV를 통해 수동적인 학습만을 하게되며 TV광고의 효과는 소비자를 수동적으로 학습시키는 데 있다는 이론
Zajonc
- 개인이 어떤대상을 반복해서 노출되면 인지적 반응 없이도 그대상에 대해 호의적인 태도를 가지게 됨 즉 개인이 어떤 자극에 반복적으로 노출 되었을 때, 그 자극이 개인의 인지적 구조에 전혀 영향을 주지 않는 경우에도 편안함이나 친근감 같은 감정적 반응에 영향을 주어 그 대상에 대해 호의적인 태도를 갖게 한다는 단순 노출이론을 제안 하였다.
Krugman의 이론에서는 특정 대상에 반복적으로 노출이 되면 상표명 또는 정보가 수동적이긴 해도 인지 구조를 통과하면서 약간은 인지적 반응을 일으키고, 이에 의해 행동이 유발되고, 행동을 수행한 후에 태도가 형성되는 것을 보았다. 그러나 zajonc의 단순노출이론에서는 반복적인 노출이 직접 감정적 반응에 영향을 줌으로써 이로 인해 인지에 근거하지 않고도 태도가 형성되는 것으로 보기 때문에 두 이론 간에는 태도형성 과정상에 차이점이 있다.
또한 krugman이 소비자가 광고 정보를 받아들이는 과정이 소비자의 관여도에 따라 전혀 다르다고 주장한 반면 zajonc는 사람이 생각하는 과정과 느끼는 과정은 서로 독립된 메커니즘에 의하여 나타나기 때문에 인지반응과 감성반응은 서로 다르게 나타난다고 보았다.
(3) 소비자가 인식하는 재품의 품질- (제품을 구입하고 소비자가 느끼게 되는 품질로 값이 아무리 비싸도 소비자가 느끼는 가치가 그 이상이면 그 가격이 비싼 것이 아니게 됨을 말한다.)
(4) 브랜드에 대한 연상 이미지- (브랜드와 관련하여 떠오르는 모든 것을 말하는 것이다.)
(5) 기타독점적인 브랜드자산 (특허나 등록상표)
4. 저 관여 태도 모델중 Krugman의 모델과 Zajonc의 모델을 비교하여 차이점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라
Krugman
- 저관여 소비자의 경우에는 상표속성에 대한 명확한 인지적활동 없이도 상표명과 같은 단순한인지를 통해서 구매행동을 유발할 수 있으며, 행동을 수행 후에 비로서 태도가 형성
-krugman의 수동적 학습이론
TV는 시청자에게 휴식과 여과를 제공하는 매체이므로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제품구매가 크게 관여하지 않는다는 이론, 결국 저관여 상황에서는 어떠한 메시지로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치 못하고 소비자는 TV를 통해 수동적인 학습만을 하게되며 TV광고의 효과는 소비자를 수동적으로 학습시키는 데 있다는 이론
Zajonc
- 개인이 어떤대상을 반복해서 노출되면 인지적 반응 없이도 그대상에 대해 호의적인 태도를 가지게 됨 즉 개인이 어떤 자극에 반복적으로 노출 되었을 때, 그 자극이 개인의 인지적 구조에 전혀 영향을 주지 않는 경우에도 편안함이나 친근감 같은 감정적 반응에 영향을 주어 그 대상에 대해 호의적인 태도를 갖게 한다는 단순 노출이론을 제안 하였다.
Krugman의 이론에서는 특정 대상에 반복적으로 노출이 되면 상표명 또는 정보가 수동적이긴 해도 인지 구조를 통과하면서 약간은 인지적 반응을 일으키고, 이에 의해 행동이 유발되고, 행동을 수행한 후에 태도가 형성되는 것을 보았다. 그러나 zajonc의 단순노출이론에서는 반복적인 노출이 직접 감정적 반응에 영향을 줌으로써 이로 인해 인지에 근거하지 않고도 태도가 형성되는 것으로 보기 때문에 두 이론 간에는 태도형성 과정상에 차이점이 있다.
또한 krugman이 소비자가 광고 정보를 받아들이는 과정이 소비자의 관여도에 따라 전혀 다르다고 주장한 반면 zajonc는 사람이 생각하는 과정과 느끼는 과정은 서로 독립된 메커니즘에 의하여 나타나기 때문에 인지반응과 감성반응은 서로 다르게 나타난다고 보았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