변화하는 스포츠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변화하는 스포츠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스포츠가 지금보다 발전된 모습으로 자리잡기 위해서는 긍정적인 부분을 확대하고 부정적인 부분을 축소하는 것이어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하여 스포츠계 내·외의 총체적 노력이 필요하다. 미래의 발전적인 스포츠를 실현하기 위하여 요구되는 정책 과제를 대략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모두를 위한' 스포츠에서 '나를 위한' 스포츠로 전환되어야 한다. 미래 사회에는 체험과 감성 지향적 생활 태도가 확대될 것이라는 점에서 개인의 삶과 직접적으로 관련되는 스포츠가 요구된다. 즉 국민들을 위한 구체적이고 직접적인 스포츠 서비스가 제공되어야 한다. 아무리 훌륭한 시설과 프로그램을 갖추었다 하더라도 일반 대중의 생활 양상과 거리가 있다면 실효를 거둘 수 없을 것이다.
따라서 여전히 부족한 스포츠 활동의 기반 조성과 동시에 그것이 목표로 하는 대상을 구체화하고, 그 대상의 생활과 밀착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둘째, 생활 체육은 '참여 확대'에서 '참여 지속과 조화'로 중심이 전환되어야 한다.
지금까지의 스포츠는 전체를 하나의 틀 속에서 다루어져 왔으며 참여의 양적 확대를 최고의 목표로 하고 있었다. 그러나 미래의 대중 스포츠 참여는 무한정 확대될 것인가, 참여 유도에 중점을 둘 것인가, 아니면 참여 지속과 조화에 중점을 둘 것인가 등에 관한 심도 있는 논의가 요구된다.
지금까지의 스포츠가 참여 확대를 중심으로 이루어졌다면, 앞으로는 참여 지속과 조화를 중심에 두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국민 생활체육의 참여 실태조사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30∼40%에 이르는 국민의 생활체육 참여율은 결코 낮은 것이 아니다. 그리고 현재의 참여율은 앞으로 지금보다는 더욱 완만한 증가를 보일 것이다. 따라서 이제는 신규 참여의 확대보다는 기존의 참여를 지속시켜 말 그대로 생활화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셋째, 스포츠의 참여에서 '기회의 분배'가 이루어져야 한다. 미래 스포츠로 일컬어지는 자연 스포츠(eco-sport), 첨단 스포츠(techno-sport)는 골프, 스키, 번지점프, 산악 자전거 등에서 발견할 수 있듯이 스포츠 참여 비용의 상승을 발생시킬 수 있다. 그럴 경우 저소득층의 직접 참여는 위축되고 간접 참여로 선회할 수 있다. 그로 인하여 스포츠 참여 기회의 빈부 격차를 심화시킬 수 있는 것이다. 저소득층은 체육참여 욕구를 충족시키지 못하고 상대적 박탈 속에서 방치될 가능성이 있는 것이다. 따라서 이에 대응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넷째, 엘리트 체육, 생활 체육, 학교 체육이 '공존'하면서 성장할 수 있어야 한다. 우리의 스포츠 현실은 이상과는 달리 엘리트체육, 생활체육, 학교체육 간의 연계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이는 세 영역이 유기적인 관계 속에 있을 때, 세 영역 모두 발전할 수 있다는 점을 절감하면서도 실천에 옮기지 못한 결과이다. 이 세 영역의 공존 없이는 미래의 스포츠가 지금보다 발전된 모습으로 갖추어지기 어렵다. 따라서 생활 체육을 기반으로 엘리트 체육과 학교 체육이 본래의 의미를 찾을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다섯째, 스포츠 산업에 대한 합리적인 육성이 이루어져야 한다. 스포츠 산업은 말 그대고 스포츠와 자본의 만남이다. 따라서 스포츠 산업은 당연히 이윤을 추구하고 자본의 재생산을 목적으로 한다. 자본의 포식성은 스포츠를 재생산 도구로 전략시킬 수 있다. 자본은 재생산을 위하여 엘리트 스포츠에 대한 지배력을 강화할 것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과도한 엘리트 스포츠의 팽창은 대중의 스포츠 참여를 위축시킬 수도 있다. 이러한 점에서 과연 무엇이 스포츠의 발전인가를 심각하게 따져보아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김도종(1997). 환경과 철학. 원강대학교 출판국.
김동규(1995). 체육·체육학의 정체성 논의. 대구·경북체육학회지 제5집.
김동규(1998). 스포츠 사회철학의 목표와 실천 과제. 스포츠 사회철학 연구회보 3.
여인성·함정혜(1995). 스포츠와 가치. 서울: 보경문화사.
이범제(1998). 21세기를 향한 체육의 발전 방향. 서울대학교 체육연구소. 21세기를 향한 체육의 발전 방향. 정책토론회.
이종영(1993). 후기 산업사회와 스포츠사회학. 한국 스포츠사회학회.
임번장(1996). 스포츠 사회학의 발전과 과제. 서울대학교 체육교육과 창설 50주년 기념 학술논집.
임병수(1994). 인간과 자연의 조화. 임병수교수 정년퇴임 논문집. 서울: 일신사.
조형훈(1998). 골프로 인한 환경 폐해 현상과 그 대책. 영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황경식(1995). 개방 사회의 사회윤리. 서울: 철학과 현실사.
Holmes Rolston, Ⅲ, Environmental Ethice.(1988). Duties to and in The Natural Word. Philadelphia.: Temple University Press.
Lenk, H(1979). Social philosophy athletics. Illinois : St. Publishing Company.
Lenk, H.(1979). The basic structure as subject in values and morals(eds.). A. I. Goldman & J. Kim Holland : R eidel.
Lim, Jae Goo.(1998). Etude comparative des Pratiques Sportives des Citadins Francuis et Solutions Techniques au milieu urbain. Universite Paris ? sud-orsay.
Lowson, H. A. & Morford, W. R.(1979). The cross disciplinary structure of kinesiology and sport studies : distinctions, implication and adventages. Quest. 31(2).
Totowa Rawls, J.(1978). The basic structure as subject in Values and Moral(ed s.). A. I. Goldman & J, Kim.
  • 가격3,000
  • 페이지수15페이지
  • 등록일2012.03.13
  • 저작시기2008.0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7844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