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문학작품의 소재나 주제로 지나온 역사인 전쟁보다 젊은 세대들의 삶의 문제가 더 빈번히 등장하게 되는 것은 아주 자연스러운 일이다. 이미 전후 세대가 더 많은 사회 구성원으로 자리한 한국의 현실 속에서 전쟁의 기억이란 좀처럼 듣기조차 어려워지고 이미 지난날의 서글픈 과거사보다는 현실의 삶이 더 치열하여 불투명한 미래에 대해 불안해할 겨를도 없는 사람들 속에 전쟁과 분단과 통일을 운운하는 것 자체가 어리석게 생각되는 요즘이다.
하지만 한국문학의 특수성을 세계에 알리는 데는 한국문학만이 갖는 독특함을 보여 주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이라 생각된다. 그것은 비단 한국전쟁이나 통일에 대한 것뿐이 아니라 한국 사회가 겪어 온 현대사의 장면들에 대한 것일 수 있다. 그런 점에서 내가 재미있게 읽은 책은 이문열의 『우리들의 일그러진 영웅』이다. 영어로도 번역이 되어 있는 이 작품은 학교에서 벌어지는 학생들 사이의 문제들을 그려 내는 동시에 그것을 한국 근대사가 안고 있는 정치권력의 문제와 연결 짓고 있다. 힘 있는 자들에 의해서 억압될 수밖에 없는 사람들의 모습을 어린 학생들의 교우관계를 통해서 보여 주는 이 작품은 그 자체의 완성도도 뛰어날 뿐만 아니라 이러한 작품이 어떠한 사회적 배경에서 만들어졌는가 하는 것에 대한 호기심을 불러일으키기에 충분하다. 나는 이 소설을 읽으면서 한국의 현대사가 어떠한 굴곡을 겪었는가 하는 점을 알게 되었을 뿐만 아니라 그러한 현실이 한국뿐만 아니라 나의 조국에서도 여전히 벌어지고 있다는 사실을 다시금 느낄 수 있었다. 사람들이 문학을 통해 타인의 경험을 자신의 것으로 재경험하게 된다는 측면에서 볼 때 이 작품은 단순히 한국 사회의 한 단면만을 보여 주는 것이 아니라 모든 사람들이 함께 겪고 있는 문제를 보여 준다는 점에서 외국인들이 읽었을 때에도 깊이 공감할 수 있는 작품이라 생각한다.
이러한 작품들이 꾸준히 번역되고 그러한 과정에서 한국문학의 특수성이 보여진 다음에 다양한 주제들을 다룬 작품들이 소개된다면 좋을 것이라 나는 생각한다. 한 사회의 문화에 대한 관심과 애정은 그 문화가 어떠한 점에서 다른가 하는 점에서부터 출발하기 때문이다. 내가 한국전쟁에 대한 어른들의 추억담에서부터 한국문학에 대한 관심을 가졌던 것처럼 또 다른 외국인들은 그들만의 한국에 대한 이미지에서 그들의 관심을 찾아 나갈 것이다. 그 이미지가 어떠한 것이든 그것은 한국의 역사와 문화에 대한 것임에 분명하다.
하지만 한국문학의 특수성을 세계에 알리는 데는 한국문학만이 갖는 독특함을 보여 주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이라 생각된다. 그것은 비단 한국전쟁이나 통일에 대한 것뿐이 아니라 한국 사회가 겪어 온 현대사의 장면들에 대한 것일 수 있다. 그런 점에서 내가 재미있게 읽은 책은 이문열의 『우리들의 일그러진 영웅』이다. 영어로도 번역이 되어 있는 이 작품은 학교에서 벌어지는 학생들 사이의 문제들을 그려 내는 동시에 그것을 한국 근대사가 안고 있는 정치권력의 문제와 연결 짓고 있다. 힘 있는 자들에 의해서 억압될 수밖에 없는 사람들의 모습을 어린 학생들의 교우관계를 통해서 보여 주는 이 작품은 그 자체의 완성도도 뛰어날 뿐만 아니라 이러한 작품이 어떠한 사회적 배경에서 만들어졌는가 하는 것에 대한 호기심을 불러일으키기에 충분하다. 나는 이 소설을 읽으면서 한국의 현대사가 어떠한 굴곡을 겪었는가 하는 점을 알게 되었을 뿐만 아니라 그러한 현실이 한국뿐만 아니라 나의 조국에서도 여전히 벌어지고 있다는 사실을 다시금 느낄 수 있었다. 사람들이 문학을 통해 타인의 경험을 자신의 것으로 재경험하게 된다는 측면에서 볼 때 이 작품은 단순히 한국 사회의 한 단면만을 보여 주는 것이 아니라 모든 사람들이 함께 겪고 있는 문제를 보여 준다는 점에서 외국인들이 읽었을 때에도 깊이 공감할 수 있는 작품이라 생각한다.
이러한 작품들이 꾸준히 번역되고 그러한 과정에서 한국문학의 특수성이 보여진 다음에 다양한 주제들을 다룬 작품들이 소개된다면 좋을 것이라 나는 생각한다. 한 사회의 문화에 대한 관심과 애정은 그 문화가 어떠한 점에서 다른가 하는 점에서부터 출발하기 때문이다. 내가 한국전쟁에 대한 어른들의 추억담에서부터 한국문학에 대한 관심을 가졌던 것처럼 또 다른 외국인들은 그들만의 한국에 대한 이미지에서 그들의 관심을 찾아 나갈 것이다. 그 이미지가 어떠한 것이든 그것은 한국의 역사와 문화에 대한 것임에 분명하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