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족치료와 개인치료
본 자료는 6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해당 자료는 6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6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가족치료와 개인치료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⑤ 폭력을 유도하는 자극을 통제하고 갈등을 적절한 방법으로 해소하는 방법을 습득하도록 한다. 부부 사이에 어떤 면이 상대방을 쉽게 화나게 하며 상대방으로부터 쉽게 상처를 받는 부분인가에 대한 이해를 하도록 한다. 그럼으로서
(ㄱ) 폭력을 자극하는 어떤 말이나 상황 장면을 회피하도록 하며,
(ㄴ) 논쟁은 짧게 하도록 하고
(ㄷ) 논쟁 중에는 멀리 떨어져서 하거나 논쟁을 일으킬 수 있는 내용은 전화로 하도록 한다.
ㄹ) 논쟁이 벌어지면 자리 떠나도록 하고(단 사전에 그에 대한 양해가 부부 사이 에 있어 야 한다.)
(ㅁ) 논쟁이 어떤 시간대나 장소에서 많이 일어나는 것을 발견하면 그 시간대나 장소를 피하도록 한다.
(3) 긍정적인 상호 작용을 증가시키는 것이다.
가정 폭력이 일어나는 가정은 일반적으로 결혼에 대한 만족도가 낮다. 그러므로 결혼에 대한 만족도를 높이고 긍정적인 상호 작용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부부 사이에 칭찬이나, 영화 구경가기, 결혼기념일 날 외식하기 등 부부가 함께 하기를 즐기는 것을 발견하여 더 자주 하도록 한다. 그리고 그들을 결혼까지 하게 했던 좋은 점들을 상기하게 하여 부부 사이의 좋은 점을 다시 찾아 내도록 한다
(4) 변화를 유지하는 방법에 대한 계획을 함께 세우는 것이다. 폭력부부의 치료는 다음과 같은 현상을 동반하는 경우가 많다. 즉 치료 후 또는 치료 중 화해기로서 부부 사이가 아주 원만한 관계가 몇 달 또는 몇 주간 계속된다. 그러나 그 뒤에 부부 사이에 폭력이 다시 발생하곤 한다. 그러므로 상담자는 이와 같은 현상을 설명하여 부부로 하여금 그와 같은 패턴을 인지하고 미리 조심하도록 한다. Galler 와 Wesserstrom(1984)은 이와 같은 퇴행을 부부의 변화에 대한 저항이며 관계의 항상성을 유지하기 위한 전략으로 생각한다. 따라서 상담자는 변화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변화를 유지하는 방법에 대한 계획을 부부 와 함께 세워야 한다. 그러나 치료 중 부부 가 함께 사는 것 보다 이혼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결정되면 치료는 이혼을 원만하게 하는 방법으로 초점을 맞추어야 한다.
기술
4 구체적인 기법들
1) 목표를 형성하기
-오늘 상담의 결과로서 무엇이 달라지면 여기 온 것이 보람 있었다고 말 할 수 있겠습니까?
● 목표 형성의 원칙
(1) 내담자에게 중요한 것을 목표로 한다.
(2) 상호작용적인 관계 속에서 목표를 설정하도록 한다.
(3) 상황적 특성에 초점을 둔다.
(4) 문제의 부재보다는 바람직한 행동의 실재에 관심을 둔다.
(5) 마지막 결과보다는 시작단계에 목표를 둔다
(6) 구체적이고 행동적이며 측정 가능한 것을 목표로 한다.
(7) 내담자의 생활에서 현실적이고 성취 가능한 것이어야 한다.
내담자가 생활환경에서 어떤 것이 현실적이고 어떤 것이 성취가 가능한지 혹은 비현실적이고 성취가 불가능 한 것인지를 결정하는 것이다. 예) 당신이 그런 일을 할 수 있다는 것을 어떻게 아시나요? 당신의 남편이 술을 끊을 것이라는 것을 어떻게 아시나요?
(8) 내담자에 대한 도전으로 목표 수행은 힘든 일이라고 인식하도록 하여야한다.
2) 문제의 기술
(1) 어떻게 도와 드릴까요?
(2) 이것이 어떻게 당신에게 문제가 되나요?
(3) 문제 해결을 위하여 무엇을 시도 해 보셨나요?
3) 해결중심으로 이끄는 질문
(1) 면담 전 변화에 관한 질문
(2) 예외 질문
(3) 기적질문
기적이 일어났다면 당신은 제일 먼저 어떤 작은 행동을 하게 될 까요?
기적의 일부분이 일어나기 위해 어떤 일이 일어나야 하나요?
(4) 척도 질문
내담자에게 자신의 문제, 문제와 우선 순위, 성공에 대한 태도, 정서적 친밀도, 자아 존중감, 상담에 대한 확신, 변화를 위해 투자 할 수 있는 노력 진행에 관한 평가 등의 수준을 수치로 표현하도록 돕는 방법이다. 척도질문을 통해 내담자의 문제해결 의지나 노력을 정확하게 알 수 있고 변화 과정에 대한 것도 정확하게 파악 할 수 있다.
예) -문제 해결 전망에 관련 된 척도
-동기에 관련된 척도
-같은 10점 척도에서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어느 정도 노력 할 수 잇는 가?
-1점 높이기 위해 무엇을 해야한다고 남편은 이야기합니까?
-진전상태를 평가하는 질문
-상담을 받으러 왔을 이고 10이 문제가 해결된 상태라고 한다면 오늘은 몇점에 해당 하는가?
-1점이 올라간다면 누가 가장 변화를 알 수 있는
참고 문헌:
허 남순, 노혜련역(1998), 해결을 위한 면접아내, 학문사
Harway, M. & Hansen.M(1994), Spouse Abuse: Assessing & Treating Battered Women, Batterers, & Their Children, FL.:Professional Resource Press
Harway, M. & Hansen.M(1994), An Overview of Domestic Violence. In M. Hansen & M Harway(Eds.), Batteering and Family therapy: A Feminist Perspective, CA; Sage
Rhee, S.(1997) Domestic Violence in the Korean Immigrant Family, Journal of Sociaology and Social Welfare, march, 1997. volume 24, No.1.
Dobash. R & Dobash, R.(1979). Violence against wives: A case against the Patriarchy. New York: Free Press.
Walker,L.(1992) The Battered women, New York: Harper & Row
Cook, D. & Frantz-Cook, A. (1984). A systemic Treatment Approach to Wife Battering, A Journal of Marital and Family therapy, Vol.10, No 1.
출처 : 사회복지사를 꿈꾸는 모임(사꿈모)
social860515
  • 가격3,000
  • 페이지수19페이지
  • 등록일2012.03.13
  • 저작시기2008.0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7849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