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건축과 전통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현대건축과 전통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모바일 아트'는 자하 하디드가 만든 이동식 박물관을 세계 7개 도시에 순회 전시하는 신개념 프로젝트로 세계 언론의 주목을 받고 있다. 자하 하디드는 렘 쿨하스의 영국 AA스쿨 제자. 사제 간의 묘한 자존심 대결이 걸린 만큼 '렘 쿨하스―프라다전(展)'은 '자하 하디드―샤넬'의 모바일 아트를 뛰어넘는 획기적인 전시를 보여준다는 계획이다.
[김미리 기자 miri@chosun.com ]
한국전인 문제가 1970년대 한참 논의 되기 시작하였고,당시로서는 한국건축에 대한
문헌도 거의 없는 실정이였읍니다
나로서도 고유섭 선생의 책들을 봐야 한다고 이야기 들었지만
건축 만의 글들도 아니였고 재미도 별반 없었던걸로 기억됩니다
고려대의 주남철선생의 책을 보아도 단순히 단청이나 창호 ,주심포,다포 등을 사진첩으로
발간한 정도고 서울대 윤정섭 선생이 쓴 책도 고고학인지 역사책인지,한국건축사를 쓴것인지 애매한 상태였죠.
송명구 선생이나 신영훈 선생의 책들이 조금 다른 차원에서 한국건축물을
재해석했으니.일제시대 한국고적도감 이후 별 반 대단한 서적이 없었다고 보여집니다
따라서 전통의 문제도 의장상 한국건축의 디테일이나 비례를 채택해본다든지에
관한 문제로 수시로 건축계에서 논란이 많이 있엇읍니다.
이광노 선생이 남산 어린이 회관을 설계할때 불국사 벽의 디테일을 적용해보았다는것도
어떻게든 전통의 문제를 다루어 보려고 한것은 분명합니다
김수근선생의 자유센타도 한국의 버선의 선을 나타낸다든지
잠실체육관을 한국의 도자기 를 이미지를 옮겼다든지 하였지요
김중업 선생도 블란서 대사관이나,올림픽 상징 조형물은 그럴싸하다는 느낌을
받습니다.
최근 상암동 경기장에 류춘수 선생이 방패연의 이미지를 차용하였다하는데
비난 받는쪽의 공격을 받으면 부인한적도 있읍니다.
한국적인 미를 계승하는 다양한 시도들이 어떨게든 지속되어야하는대는
이의가 없다고 보여집니다.
요즘 몃몃 작가들에 나타나는 한국건축의 공간에 특성을 반영해보고 있는것이나
면의 중첩관계로 분석한다든지 하는 다양한 시도도 의미가 있는 작업이라 보여
집니다.
작금 서양의 건축술로 건물을 세우는데 전통은 우리가 계승 발전 시켜야하는
일로 보여집니다.
독립기념관이나 경복궁의 민속 박물관 처럼 그대로 이미지를 차용하는 방법을
고수하자는 것이 아니라
많은 연구를 통해 보다 적합한 전통이 발견되리라 여겨집니다.
그리고 전통에 관한 문제를 실패한것으로 끝날지라도 생활화 하여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
  • 가격2,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2.03.13
  • 저작시기2008.0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7849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