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
55
-
56
-
57
-
58
-
59
-
60
-
61
-
62
-
63
-
64
-
65
-
66
-
67
-
68
-
69
-
70
-
71
-
72
-
73
-
74
-
75
-
76
-
77
-
78
-
79
-
80
-
81
-
82
-
83
-
84
-
85


본문내용
보편화된 것이라고 보여진다.
아동에 대한 시험줄이기가 이 시기에 시작되었고, 책을 읽히자는 사회적 운동은 많은 전집류의 출간을 가져오게 하였다. 그러나 이미 이때부터 학교교육의 불균형화는 초등학교 아동의 많은 수가 한글을 알지 못한다는 사실을 알리게 되었다.
경제적 안정은 많은 아동이 교통사고의 희생자가 되고 있음을 알리고 있으며, 고아들의 국내입양이 활성화되는 좋은 소식도 눈에 보인다. 그러나 현재 유흥업소가 들어찬 경기도 장흥(송추)는 원래 제2어린이 대공원을 계획했었다는 보도가 있다. 결국 아동을 미끼로 계획을 마련한 후 어른들의 환락시설화된 것이다.
4) 1980년대 - 이 시기는 아동의 도구화가 본격적으로 이루어진 시기라고 보아야 한다. 즉 아동을 대상으로 한 사업이 성인을 위한 사업보다 더욱 많은 이윤을 가져오는 부문으로 변한 것이다. 그리고 오랜 아버지의 부재로 인하여 남자아이들의 여성화가 자주 눈에 보이는 기사다. 이러한 점을 해결하기 위한 모험이나 유격훈련을 본딴 오락/게임/켐프가 등장하고 있다. 이때부터 유치원의 아동이 여름을 이용하여 켐프에 참가하는 유행을 시작한다.
결국 청소년의 문화가 성인의 문화를 앞지르게 되었고 성인들이 이에 동조하게 된다. 청소년들이나 아동의 유흥가 출입은 이때부터 사회문제로서 근절되어야 한다는 기사가 일주일이 멀다하고 등장하지만 거의 20년이 지난 현재도 변하지 않는 사회문제인 것이다.
반면에 아동을 보다 전문적으로 보호하려는 사회적 움직임이 나타나고 있다. 특히 1989년은 많은 아동관계법-영유아보육법, 가족법의 개정, 보호관찰법 등등이 통과되었으며, 직장보육이나 병원에서의 아동 전문분야가 독립되는 시기이기도 하다.
Ⅳ. 맺으면서
과거에 대한 추적은 아직 다 마치지 않았으나 오늘에 일어나는 사건과 유사하므로 더 많은 과거의 추적은 최종 보고서에서 다루고자 한다. 현재와 과거를 다루는 것은 새로운 세기의 아동복지에 대한 계획 혹은 보다 바람직한 아동의 삶의 질을 마련해주고자 하는 바람이기도 한 것이다. 많은 아동들의 문제가 점차 복잡해지고 성인의 문제를 능가하는 험악한 양상을 보이는 것은 점차 흉악해지는 사회상을 보고 성장한 아동들이 현재의 성인이며, 이러한 문제의 심각성을 인지하고도 아동을 건강하게 성장시키려는 사회적 움직임이 활발하지 않은데서 문제의 대물림이 있었다고 보는 것이다. 아동에 대한 개입은 빠를수록 좋다고 본다. 현재 문제가 있는 아동이나 청소년을 치료하는 것과 병행하여서 유치원의 아동부터 시작하여 가치관과 윤리교육을 시작하여야 한다. 그래야만이 앞으로 20년후에 이 나라의 바른 아동운동이 자리를 잡게된다고 본다. 아마도 앞으로 10년이상은 현재와 같은 어쩌면 현재보다 더욱 심한 사회적 문제의 와중에서 아동의 문제와 청소년의 혼란이 지속될 수도 있다. 그러나 항상 희망은 있는 것이다. 그것이 왜 우리가 역사를 공부하는 이유다. 즉 역사를 통하여 미래를 가늠할 수 있기 때문이다. 과거의 역사적 사건들과 혼란들은 현재의 아동들이 보여주는 삶의 질과 비교할 때 비록 충분하지는 않았으나 순수하였다고 본다. 그리고 오늘의 아동들도 힘들지만 자신의 처지를 아직까지는 매우 긍정적 측면에서 바라보고 있다. 이러한 순수함 혹은 긍정적 측면이 오염되기 전에 새로운 교육의 체계가 필요하며 개입이 시작되어야 한다고 본다.
참 고 문 헌
윤병식 외(1996), 한국인의 [삶의 질]: 현황과 정책과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장상희, 부산대학교 사회학과(1998), 부산시민의 삶과 의식
한림의대 가정의학교실(편, 1999), 삶의 질 측정의 이론과 실제, 고려의학
Adams, Robert(1998), Quality Social Work, McMillan Press Ltd.: UK
Franklin Bob. & Thomas Hammarberg(1995), The Handbook of Children's Rights: Comparative Policy and Practice, Routledge: UK
Haring, N.G. & Linda McCormick(eds., 1990), Exceptional Children and Youth(5th ed.), Merrill Publishing Co.: OH
Hill, M. & Jane Aldgate(eds., 1996), Child Welfare Services: Developments in Law, Policy, Practice and Research, JKP: UK
Kaganas, F., Michael King, & Christine Piper(eds., 1995), Legislating for Harmony- Partnership under the Children Act 1989, JKP: London
Milner, Pat & Birgit Carolin(eds., 1999), Time to Listen to Children, Routledge: UK
Pringle, Keith(1998), Children and Social Welfare in Europe, Open Univ. Press: UK
Schalock, Robert L. & Gary N. Siperstein(eds., 1996), Quality of Life, Vos. Ⅰ&Ⅱ, AAMR: Washinton, DC
Stevenson, Olive1998), Neglected Children: Issues and dilemmas, Blackwell Science Ltd: UK
Usher, Wildfire & Gibbs(1999), "Measuring Performance in Child Welfare: Secondary Effects of Success", Child Welfare: Vol. LXXVII(#1), 31-51
Zarb, Gerry(1996), The Dual Experience of Ageing with a Disability in Swain et al(eds.), Disabling Barriers-Enabling Environments, Open Univ. Press: Sage/UK
성산지기(holyhillch)
아동에 대한 시험줄이기가 이 시기에 시작되었고, 책을 읽히자는 사회적 운동은 많은 전집류의 출간을 가져오게 하였다. 그러나 이미 이때부터 학교교육의 불균형화는 초등학교 아동의 많은 수가 한글을 알지 못한다는 사실을 알리게 되었다.
경제적 안정은 많은 아동이 교통사고의 희생자가 되고 있음을 알리고 있으며, 고아들의 국내입양이 활성화되는 좋은 소식도 눈에 보인다. 그러나 현재 유흥업소가 들어찬 경기도 장흥(송추)는 원래 제2어린이 대공원을 계획했었다는 보도가 있다. 결국 아동을 미끼로 계획을 마련한 후 어른들의 환락시설화된 것이다.
4) 1980년대 - 이 시기는 아동의 도구화가 본격적으로 이루어진 시기라고 보아야 한다. 즉 아동을 대상으로 한 사업이 성인을 위한 사업보다 더욱 많은 이윤을 가져오는 부문으로 변한 것이다. 그리고 오랜 아버지의 부재로 인하여 남자아이들의 여성화가 자주 눈에 보이는 기사다. 이러한 점을 해결하기 위한 모험이나 유격훈련을 본딴 오락/게임/켐프가 등장하고 있다. 이때부터 유치원의 아동이 여름을 이용하여 켐프에 참가하는 유행을 시작한다.
결국 청소년의 문화가 성인의 문화를 앞지르게 되었고 성인들이 이에 동조하게 된다. 청소년들이나 아동의 유흥가 출입은 이때부터 사회문제로서 근절되어야 한다는 기사가 일주일이 멀다하고 등장하지만 거의 20년이 지난 현재도 변하지 않는 사회문제인 것이다.
반면에 아동을 보다 전문적으로 보호하려는 사회적 움직임이 나타나고 있다. 특히 1989년은 많은 아동관계법-영유아보육법, 가족법의 개정, 보호관찰법 등등이 통과되었으며, 직장보육이나 병원에서의 아동 전문분야가 독립되는 시기이기도 하다.
Ⅳ. 맺으면서
과거에 대한 추적은 아직 다 마치지 않았으나 오늘에 일어나는 사건과 유사하므로 더 많은 과거의 추적은 최종 보고서에서 다루고자 한다. 현재와 과거를 다루는 것은 새로운 세기의 아동복지에 대한 계획 혹은 보다 바람직한 아동의 삶의 질을 마련해주고자 하는 바람이기도 한 것이다. 많은 아동들의 문제가 점차 복잡해지고 성인의 문제를 능가하는 험악한 양상을 보이는 것은 점차 흉악해지는 사회상을 보고 성장한 아동들이 현재의 성인이며, 이러한 문제의 심각성을 인지하고도 아동을 건강하게 성장시키려는 사회적 움직임이 활발하지 않은데서 문제의 대물림이 있었다고 보는 것이다. 아동에 대한 개입은 빠를수록 좋다고 본다. 현재 문제가 있는 아동이나 청소년을 치료하는 것과 병행하여서 유치원의 아동부터 시작하여 가치관과 윤리교육을 시작하여야 한다. 그래야만이 앞으로 20년후에 이 나라의 바른 아동운동이 자리를 잡게된다고 본다. 아마도 앞으로 10년이상은 현재와 같은 어쩌면 현재보다 더욱 심한 사회적 문제의 와중에서 아동의 문제와 청소년의 혼란이 지속될 수도 있다. 그러나 항상 희망은 있는 것이다. 그것이 왜 우리가 역사를 공부하는 이유다. 즉 역사를 통하여 미래를 가늠할 수 있기 때문이다. 과거의 역사적 사건들과 혼란들은 현재의 아동들이 보여주는 삶의 질과 비교할 때 비록 충분하지는 않았으나 순수하였다고 본다. 그리고 오늘의 아동들도 힘들지만 자신의 처지를 아직까지는 매우 긍정적 측면에서 바라보고 있다. 이러한 순수함 혹은 긍정적 측면이 오염되기 전에 새로운 교육의 체계가 필요하며 개입이 시작되어야 한다고 본다.
참 고 문 헌
윤병식 외(1996), 한국인의 [삶의 질]: 현황과 정책과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장상희, 부산대학교 사회학과(1998), 부산시민의 삶과 의식
한림의대 가정의학교실(편, 1999), 삶의 질 측정의 이론과 실제, 고려의학
Adams, Robert(1998), Quality Social Work, McMillan Press Ltd.: UK
Franklin Bob. & Thomas Hammarberg(1995), The Handbook of Children's Rights: Comparative Policy and Practice, Routledge: UK
Haring, N.G. & Linda McCormick(eds., 1990), Exceptional Children and Youth(5th ed.), Merrill Publishing Co.: OH
Hill, M. & Jane Aldgate(eds., 1996), Child Welfare Services: Developments in Law, Policy, Practice and Research, JKP: UK
Kaganas, F., Michael King, & Christine Piper(eds., 1995), Legislating for Harmony- Partnership under the Children Act 1989, JKP: London
Milner, Pat & Birgit Carolin(eds., 1999), Time to Listen to Children, Routledge: UK
Pringle, Keith(1998), Children and Social Welfare in Europe, Open Univ. Press: UK
Schalock, Robert L. & Gary N. Siperstein(eds., 1996), Quality of Life, Vos. Ⅰ&Ⅱ, AAMR: Washinton, DC
Stevenson, Olive1998), Neglected Children: Issues and dilemmas, Blackwell Science Ltd: UK
Usher, Wildfire & Gibbs(1999), "Measuring Performance in Child Welfare: Secondary Effects of Success", Child Welfare: Vol. LXXVII(#1), 31-51
Zarb, Gerry(1996), The Dual Experience of Ageing with a Disability in Swain et al(eds.), Disabling Barriers-Enabling Environments, Open Univ. Press: Sage/UK
성산지기(holyhillch)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