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부적인 것들에 의해 전적으로 의존하고 있는 상태인 상호의존증을 보여준다. 최근에는 중독의 정의를 사회 전체를 포함하는 데 까지 그 범위를 확장시키고 있다.
즉, 우리 사회 전체는 거대한 가족체계를 이루고 있으며 그 역기능적 결과로 나타나는 상호의존성이야말로 우리 시대의 위기라는 인식이 그것이다. 모든 중독증은 상호의존성에 그 뿌리를 두고 있다. 그리고 우리가 살고 있는 사회는 매우 심각하게 중독되어 있으며 우리 모두는 심각한 상호 의존자들 이다. 우리가 상호 의존자가 되는 이유는 우리 자신의 내면을 상실하였기 때문이다. 자신의 내적 세계가 약하면 약할수록 외부적인 것들에 강박적으로 의존하게 된다.
상호의존성은 역기능 가족체계 안에 속한 가족 구성원들이 스스로의 내면의 실체를 포기함으로써 비롯된 수치심에 근거를 두고 있다. 상호의존적인 사람들에게는 내면화된 수치심과 강한 자기비하감이 숨겨져 있다. 수치심이란 자신이 결함이 있고 무가치하다고 느끼는 감정이다. 어떤 이들은 수치심으로 인해 비밀 속에 자신을 감추고 숨기며 살아가며 자신이 드러나지않도록 경계하며 산다. 수치심에 기초한 어떤 사람들은 자신이 맺고 있는 모든 관계를 통제하려 든다. 수치심을 갖는 것은 영혼의 구멍이 난 컵과도 같다고 할 수 있다.
수치심에 기초한 상호의존자들은 다른 사람들에게 주위를 끄고 자신을 꼭 필요한 존재로 만
들려고 애쓴다. 그래서 때론 다른 사람들의 관심과 사랑을 받기 위해서라면 물불을 가리지 않고 달려든다. 흔히 상호의존자들은 남을 보살피거나 경제적인 성취감을 얻는 직업을 택한다.그리고 일중독이거나 녹초가 될 정도로 자신의 일에 몰두한다. 상호의존은 중독중의 중독, 즉병든 형태의 삶으로써 자신의 정체성이 외부 물질 활동과 다른 사람들에게 있다고 믿으며 그러한 삶의 행동양식을 갖고 사는 것이다. 상호의존은 결국 자신의 실체가 없는 정신적인 파산상태를 의미한다.
상호의존성을 치유하려면 자신의 정체성을 내면 깊은 곳에 뿌리 내림으로써만 가능하다. 겉
이 화려하고 멋진 예배당을 짓는 것도 좋은 일이겠지만, 내면 마음 깊은 곳에 예배당을 짓는 일이 더욱 중요한 것이다. 겉은 그럴듯해 보이지만 속은 텅 빈 충만을 구하기보다는 겉은 비록 허술해 보일지라도 속이 꽉 찬 내면의 평화를 추구하는 것이 우리 자신의 삶과 가족과 교회 그리고 우주 공동체의 궁극적인 치유를 가져오게 하며 하나님의 나라를 이루게 할 것이다.
가족치유연구소 오제은 칼럼
즉, 우리 사회 전체는 거대한 가족체계를 이루고 있으며 그 역기능적 결과로 나타나는 상호의존성이야말로 우리 시대의 위기라는 인식이 그것이다. 모든 중독증은 상호의존성에 그 뿌리를 두고 있다. 그리고 우리가 살고 있는 사회는 매우 심각하게 중독되어 있으며 우리 모두는 심각한 상호 의존자들 이다. 우리가 상호 의존자가 되는 이유는 우리 자신의 내면을 상실하였기 때문이다. 자신의 내적 세계가 약하면 약할수록 외부적인 것들에 강박적으로 의존하게 된다.
상호의존성은 역기능 가족체계 안에 속한 가족 구성원들이 스스로의 내면의 실체를 포기함으로써 비롯된 수치심에 근거를 두고 있다. 상호의존적인 사람들에게는 내면화된 수치심과 강한 자기비하감이 숨겨져 있다. 수치심이란 자신이 결함이 있고 무가치하다고 느끼는 감정이다. 어떤 이들은 수치심으로 인해 비밀 속에 자신을 감추고 숨기며 살아가며 자신이 드러나지않도록 경계하며 산다. 수치심에 기초한 어떤 사람들은 자신이 맺고 있는 모든 관계를 통제하려 든다. 수치심을 갖는 것은 영혼의 구멍이 난 컵과도 같다고 할 수 있다.
수치심에 기초한 상호의존자들은 다른 사람들에게 주위를 끄고 자신을 꼭 필요한 존재로 만
들려고 애쓴다. 그래서 때론 다른 사람들의 관심과 사랑을 받기 위해서라면 물불을 가리지 않고 달려든다. 흔히 상호의존자들은 남을 보살피거나 경제적인 성취감을 얻는 직업을 택한다.그리고 일중독이거나 녹초가 될 정도로 자신의 일에 몰두한다. 상호의존은 중독중의 중독, 즉병든 형태의 삶으로써 자신의 정체성이 외부 물질 활동과 다른 사람들에게 있다고 믿으며 그러한 삶의 행동양식을 갖고 사는 것이다. 상호의존은 결국 자신의 실체가 없는 정신적인 파산상태를 의미한다.
상호의존성을 치유하려면 자신의 정체성을 내면 깊은 곳에 뿌리 내림으로써만 가능하다. 겉
이 화려하고 멋진 예배당을 짓는 것도 좋은 일이겠지만, 내면 마음 깊은 곳에 예배당을 짓는 일이 더욱 중요한 것이다. 겉은 그럴듯해 보이지만 속은 텅 빈 충만을 구하기보다는 겉은 비록 허술해 보일지라도 속이 꽉 찬 내면의 평화를 추구하는 것이 우리 자신의 삶과 가족과 교회 그리고 우주 공동체의 궁극적인 치유를 가져오게 하며 하나님의 나라를 이루게 할 것이다.
가족치유연구소 오제은 칼럼
추천자료
부모의 이혼이 자녀의 적응에 미치는 영향과 그 요인에 관한 연구
부모의 이혼이 자녀들에게 어떠한 영향을 미치며 그로 인해 개인적으로나 사회적으로 발생되...
가족 정의와기능, 가족가치관의 변화양상 및 가족해체의 문제점과 대응책(결혼과 자녀, 이혼,...
부모교육(이혼 및 재혼가정의 자녀 교육 방안)
한부모,다문화, 재혼,무자녀,분거(기러기),맞벌이,이혼가족 개념과 유형 그리구 문제점 해결...
이혼의 개념과 이혼이 자녀에게 미치는 영향 및 이혼으로 인해 발생하는 문제[편부모아동문제]
가족구조의 변화 - 이혼가정의 자녀, 편부모가정의 자녀, 재혼가정의 자녀, 맞벌이 가족의 자...
헤겔 Hegel 『법철학』가족 (인륜, 가족, 법 담당자로서의 가족의 성원, 결혼, 남성의 세계vs...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