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양관리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토양관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시킨다.
5) 토양의 단립(? %)형성으로 물리적 구조개
6) 토양온도 상승(갈색?암색)
7) 유용한 미생물의 활동촉진
8) 유효 인산의 고정을 억제한다.
↑ 포장용 수량

양 유효수분





유기물(부식)함량 →
(3) 분뇨의 유기물 함량(%)
자료 : 가축분뇨(일본 농경과 원예 책자서 발췌)
. 톱밥퇴비(임업시험장 분석자료)
(4) 신선유기물과 부식과의 조성비교
(5) 년간 토양부식 소모량의 비교
(6) 퇴비종류에 따른 부식함량 1% 증가시의 비교
(10a당)(토심 12m 흙의 중량 15 4kg
토굴지기(zooklime)
http://cafe.naver.com/togool/2397
토양관리 방법별 수량 및 품질비교
(4) 양질의 퇴비제조
① 퇴비란?
o 퇴비는 야초, 짚, 낙엽, 조류, 기타 동식물의 폐기물을 퇴적?발효시킨 것이다.
o 토양이나 대기 중에는 세균, 방선균 및 사상균등 다양한 종류의 미생물이 존재한다. 미생물은 통기성, 수분, 영양원등 서식하기에 적합한 환경이 주어지면 유기물을 분해한다. 이와 같은 미생물의 특성을 이용하는 것이 퇴비화이며 주로 호기성 미생물이 관여하고 있다.
<퇴비의 이점>
o 질소, 인산, 칼리, 규산 등 각종 미량성분이 들어 있다.
o 거름과 물을 많이 간직하여 땅이 비옥해지고, 가뭄, 병해, 냉해 등 재해에 견디는 힘을 강하게 한다.
o 흙이 떼알조직으로 되어 양분흡수가 잘되고 뿌리 뻗음이 좋아진다.
o 산성으로 변하지 않도록 하는 힘이 커진다.
o 미생물 번식이 잘되어 땅속의 양분을 뿌리가 잘 흡수할 수 있도록 한다.
o 땅온도가 높아져 작물이 빨리 자란다.
o 각종 해로운 성분의 해독작용을 한다.
② 퇴비제조의 목적
o 유기물 중의 C/N율(탄소/질소비율)을 30전후로 조절함으로써 토 양 중에서 급격한 분해로 인한 작물의 질소기아를 방지한다.
o 유기물에 함유된 유해 성분을 미리 분해하여 작물의 생육 장해를 방지한다.
o 유기물 중의 유해해충과 잡초의 종자를 고열에 의하여 사멸시킨다.
③ 퇴비화 과정
o 퇴비화라고 하는 것은 볏짚류 가축분과 같은 신선유기물을 미생물에 의하여 작물생육에 좋게 하도록 미리 분해시키는 것을 말한다.
o 완전히 분해되면 이산화탄소, 물, 무기화합물로 된다. 이들은 작물생육에 이로운 것만이 아니므로 분해과정에서 해로운 물질이 없어지는 어느 단계에 이르면 퇴비화가 완료되었다고 한다.
④ 퇴비재료별 부식 비율
⑤ 톱밥퇴비의 제조원리
.1) 독소를 제거해야 한다.
. 65℃에서 2주간 60℃에서 3주간 열처리 필요
(탄닌산?리그닌산?탤빈산?페놀?수지 등)
2) 탄질율(C/N비율)이 높아 조정해야 한다.
탄질율(C/N비율)이란? 유기질이 함유하고 있는 탄소와 질소의 비탄질율(C/N율)을 30이하로 조정해야만 작물의 질소기아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C/N율이 30이상일 때 C/N율이 30이하일 때
질소기아현상 .정상적인 재배가능
(6) 발효온도에 따른 균사멸 관계
⑦ 발효기간에 따른 선충조사
o선층조사
① : 토양미생물이 전혀 없음.
② : 토양응애, 애지렁이알, 부식선충 등 다양한 생물상이 있음.
③ : 부엽토는 야산에서 채취한 그대로이며, 식물뿌리에 피해를 입히는 기생선충들이 다량 발견.
위의 결과로 보아 3개월 이상 발효된 퇴비에서만 다양한 미생물은 물론 유해선충을 포식할 수 있는 부식선충(퇴비선충)이 발생될 수 있다.
⑧ B사퇴비와 일반퇴비의 총방선균 밀도 비교
(자료 : 경상대학교 미생물생태학 교실)
  중온성 : 30℃, 고온성 : 45℃에서 3?4일간 배양
  0.1 TSA + 0.2% Chitin배지
⑨ 외류의 만할병에 대한 톱밥우분 퇴비의 사용효과
o 만할병의 발병추이
1) 톱밥 우분퇴비, 2) 1 + 크로피크린 소독
. 3) 크로로피크린 소독 + 1, 4) 크로로피크린 소독
. 5) 무처리
그림
o 위 도표에서 보면 처리 1개월 후에는 소독한 4)에서 만할병의 발생이 제일 많고 톱밥우분퇴비를 준 1)에서 가장 발생이 적었다.
⑩ 좋은 퇴비(유기질)란?
1) 유기물함량이 높아야 한다.
2) 뿌리(세근)가 감을 수 있어야 한다.
3) 가볍고 부피가 커야한다.
4) 토양속에서 분해가 오랜 기간동안 미생물에 의해 지속되어 보수력, 보 비력, 통기성 등의 기능을 발휘할 수 있는 것이라야 한다.
5) 악취 등이 없고 취급과 사용이 용이해야 한다.
⑪ 퇴비화(미생물증식)의 6대 구비조건
1)먹이 2)수분 3)온도) 4)산소 5)산도 6)시간
토굴지기(zooklime)
  • 가격2,0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12.03.13
  • 저작시기2008.0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7856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