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
3. 홍콩·마카오 정세
ㅇ 홍콩 2007~2008년 세수 60년 만의 신기록 (홍콩경제일보)
- 홍콩정부에 따르면, 2007~2008년 간 세수가 전년 대비 455억 홍콩달러(+29%)늘어난 2007억 홍콩달러로 60년 만에 최대 규모를 기록함.
- 금번 세수중 인지세가 전년대비 100% 이상 늘어나 515억 홍콩달러를 기록하였음.
- Alice 세무국장은 세수 증가요인으로 취업인의 수입 증가 및 증시, 부동산 거래 증가 등으로 보고 있음.
ㅇ 선전ㆍ홍콩 태양에너지 개발 협력 (명보)
- 선전(深?)시 정부와 홍콩정부의 '선전ㆍ홍콩 Innovation Circle'은 美 Dupont사와 태양에너지 개발기술 협력 의향서를 체결함
- Dupont사는 홍콩 과학기술원(科技園)과 심천 광밍(光明)신 단지에 태양에너지 개발연구센터 및 생산기지를 설치할 예정임.
- 홍콩, 선전시 정부는 RFID기술, 집적회로 등 4가지 관련항목에 3,500만 홍콩달러를 투자할 계획임.
ㅇ E-land 한국 직원들, 홍콩서 시위 (신보)
- 5.16 홍콩상장 예정인 이랜드사의 한국직원 11명이 5.5 홍콩거래소 앞에서 부당한 이랜드의 처사(1천명 직원해고)에 항의하며 이랜드의 상장을 반대하는 시위를 가짐.
- 동 시위에 홍콩 직원연맹 등이 참여하였음.
- 이랜드사 대변인은 직원해고문제는 금번 상장사와 무관한 것으로 상장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고 말함.
4. 홍콩 주요 언론 머리기사, 사설, 논평, 기고문
가. 머리기사
ㅇ ?巴士爆燃15死傷內情待? (대공보)
- 상하이 도심에서 버스 폭발사고로 15명의 사상자 발생.
ㅇ 3 die as bus bursts into flames in Shanghai (SCMP)
나. 사설
ㅇ 地方抱怨緊縮政策 中央易輕視 (홍콩경제일보)
- 올 들어 계속된 중앙의 긴축정책으로 경제성장률이 감소한 광둥(廣東), 산둥(山東), 장쑤(江蘇), 저장(浙江) 등의 불만이 커지고 있는 바, 이들 지역은 세계경제의 둔화, 위안화 상승, 원자재 상승 등은 어쩔 수 없는 외부 요인 외에도 <노동계약법>으로 인한 임금상승, 엄격한 신용대출 통제 등 정부의 인위적 요인에 불만을 품고 있음.
- 때문에 긴축정책이 오랫동안 지속될 경우, 각 지방에서는 경제성장률과 정치적 실적을 위해 위법행위가 나타날 가능성도 있는 바, 중앙에서는 이를 가벼이 봐서는 안 됨. /끝/
유랑이(ai_mi)
3. 홍콩·마카오 정세
ㅇ 홍콩 2007~2008년 세수 60년 만의 신기록 (홍콩경제일보)
- 홍콩정부에 따르면, 2007~2008년 간 세수가 전년 대비 455억 홍콩달러(+29%)늘어난 2007억 홍콩달러로 60년 만에 최대 규모를 기록함.
- 금번 세수중 인지세가 전년대비 100% 이상 늘어나 515억 홍콩달러를 기록하였음.
- Alice 세무국장은 세수 증가요인으로 취업인의 수입 증가 및 증시, 부동산 거래 증가 등으로 보고 있음.
ㅇ 선전ㆍ홍콩 태양에너지 개발 협력 (명보)
- 선전(深?)시 정부와 홍콩정부의 '선전ㆍ홍콩 Innovation Circle'은 美 Dupont사와 태양에너지 개발기술 협력 의향서를 체결함
- Dupont사는 홍콩 과학기술원(科技園)과 심천 광밍(光明)신 단지에 태양에너지 개발연구센터 및 생산기지를 설치할 예정임.
- 홍콩, 선전시 정부는 RFID기술, 집적회로 등 4가지 관련항목에 3,500만 홍콩달러를 투자할 계획임.
ㅇ E-land 한국 직원들, 홍콩서 시위 (신보)
- 5.16 홍콩상장 예정인 이랜드사의 한국직원 11명이 5.5 홍콩거래소 앞에서 부당한 이랜드의 처사(1천명 직원해고)에 항의하며 이랜드의 상장을 반대하는 시위를 가짐.
- 동 시위에 홍콩 직원연맹 등이 참여하였음.
- 이랜드사 대변인은 직원해고문제는 금번 상장사와 무관한 것으로 상장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고 말함.
4. 홍콩 주요 언론 머리기사, 사설, 논평, 기고문
가. 머리기사
ㅇ ?巴士爆燃15死傷內情待? (대공보)
- 상하이 도심에서 버스 폭발사고로 15명의 사상자 발생.
ㅇ 3 die as bus bursts into flames in Shanghai (SCMP)
나. 사설
ㅇ 地方抱怨緊縮政策 中央易輕視 (홍콩경제일보)
- 올 들어 계속된 중앙의 긴축정책으로 경제성장률이 감소한 광둥(廣東), 산둥(山東), 장쑤(江蘇), 저장(浙江) 등의 불만이 커지고 있는 바, 이들 지역은 세계경제의 둔화, 위안화 상승, 원자재 상승 등은 어쩔 수 없는 외부 요인 외에도 <노동계약법>으로 인한 임금상승, 엄격한 신용대출 통제 등 정부의 인위적 요인에 불만을 품고 있음.
- 때문에 긴축정책이 오랫동안 지속될 경우, 각 지방에서는 경제성장률과 정치적 실적을 위해 위법행위가 나타날 가능성도 있는 바, 중앙에서는 이를 가벼이 봐서는 안 됨. /끝/
유랑이(ai_mi)
추천자료
중국의 동북아 정책과 우리의 대응
주요국과의 무역관계 - 미국, 일본, EU, 중국, 북한
[경제협력]경제협력의 개념, 북중경제협력(북한과 중국의 경제협력), 미중경제협력(미국과 중...
[북한과 일본 정치적 관계][한국과 일본 경제적 관계][한국과 일본 관계][한일관계][북일관계...
[미국경제의 역사][미국경제의 전개][미국경제의 현안][미국경제를 보는 시각][미국경제][경...
[경제협력, 한러협력, 러일협력, 북러협력, 중러협력]러시아와 한국의 경제협력(한러협력), ...
[독후감] 2020 세계 경제의 라이벌 _ 빌 에모트 저
한일 관광 협력 현안과 추진방향
[APEC] APEC(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의 주요 쟁점과 주요국(미국,일본,중국,ASEAN,한국)의 입장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