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사회 가정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현대사회 가정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다. 설동훈 전북대 사회학과 교수는 "한국 혼혈인의 대다수가 미군기지촌에서 출생했다는 점 때문에 ‘혼혈인’은 우리 사회에서 부정적인 단어로 통용되어 온 것이 사실"이라며 "다문화가족이 다양한 형태의 가족을 포괄한다고 할 때 혼혈인을 결혼이민자의 자녀로 정의할 경우 혼혈인지원법과 다문화가족지원법의 통합도 고려해볼 수 있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설 교수는 "앞으로도 국제결혼이 급증함에 따라 다문화가족도 계속 증가하게 될 것으로 보인다"며 "법안을 만들 때부터 다양한 인종과 문화를 거부감 없이 받아들일 수 있도록 하는 ‘다문화교육’ 환경을 조성하는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전까지 국제결혼, 이중 문화가정 등으로 불리던 국제 결혼가족을 ‘다문화가족’이라 부르고자 한다. ‘다문화가족’이라는 용어는 국제결혼이라는 용어가 내포한 내국인 간의 결혼과 외국인과의 결혼으로 구분하는 국적에 따른 차별성 대신 한 가족 내에 다양한 문화가 공존하고 있다는 의미로 해석할 수 있을 것이다. 다문화가족은 한국인 남성과 결혼한 이주여성 가족, 한국인 여성과 결혼한 이주남성 가족, 이주민가족(노동자, 유학생, 탈북자)을 포함한다. 더불어 소위 ‘혼혈아’로 불리던 한국인과 결혼한 이주자 가족의 자녀들에 대해서도 다문화가족의 자녀로 부르는 것이 바람직하다.
○. 다문화 가정의 유형 및 증가배경
1) 다문화 가정의 유형
(1) 주한미군 관련
한국전쟁 전후의 혼혈인 세대(1세대), 60~70년대 세대(2세대), 80년대 이후 세대(3세대), 혼혈인의 2세 세대로 구분 할 수 있다. 1~2세대의 경우, 82년 8월 미국의 이민특례법으로 대부분 이민을 갔다고 볼 수 있다. 이들 혼혈인은 전통적인 혼혈인 유형으로 세대를 거쳐 지속적인 배척과 냉대 속에서 지내왔다.
(2) 기지촌 외국여성의 2세
기지촌 클럽에서 성매매에 종사하는 외국 여성의 혼혈 자녀를 말한다. 이들 여성의 대부분은 필리핀 여성이다.
(3) 여성결혼이민자 2세
1990년대부터 국내여성들의 농촌 거주 기피로 인해 결혼에서 소외된 농촌 총각들이 국제결혼을 하는 사례가 증가했다. 2000년 이후 급증하였으며 2005년에는 농림어업 종사자(남성) 가운데 국제결혼 비율은 35.9%에 달한다고 한다.
(4) 이주노동자와 국내인의 2세
이주노동자가 국내인과 결혼한 경우 ‘부모양계혈통주의’에 의해 자녀는 출생과 동시에 국적을 취득하나, 혼혈인 차별 문제는 여전하다. 펄벅재단 참조
(5) 기타
위의 네 가지 유형을 제외한 경우이다.
대략적으로 1,2번과 같은 미국계 혼혈아동과 3,4번과 같은 이주노동자 자녀(대부분 코시안임) 그리고 기타로 유형을 나눌 수 있다.
Ⅵ. 가설의 설정
① 연구가설 : 다문화 가정 아동에 대한 편견이 많을수록 우리 자녀 들의 인성에도 악 영향을 미친다.
② 귀무가설 : 다문화 가정 아동에 대한 어른들의 편견은 우리 자녀들의 인 성에는 아무런 영향도 미치지 않는다
③ 대립가설 : 다문화 가정 아동에 대한 편견은 우리 자녀들의 인성에도 악 영향을 미친다.
kisungtak
  • 가격2,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2.03.13
  • 저작시기2008.0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7868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