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ity
; http://www.lions.psu.edu/ODS/
Disability Service, University of Sydney; http://www.usyd.edu.au/
su/disability/welcome.html
Disability Resource Centre, University of Cambridge; http://www.came.au.uk/
cambuniv/disability
츠쿠바대학 홈페이지 http://tsukuba.ca.jp
츠쿠바단기기술대학 홈페이지 http://tsukuba-tech.ac.jp/college.htm
Education and skills: http://www.dfes.gov.uk/consu..
The Special Education Needs and Disability Act;
http://www.techdis.ac.uk/resources/skill01.html
The Revised Code of Practice. November 2002: http://www.bda-dyslexi.org.uk
Overview of standards in special schools:
http://www.archive.official-documents.co.uk/document/ofsted/spe
Special Education in England; http://edreform.com/pubs/beales2.htm
Programme specifications Introducation; http://www.qaa.ac.uk/crntwork/progspec
Disability and web site provision; http://bunnyfoot.com/freestuff/articles/accessibility/
legal.html
Some Special Projects of WWD: http://wwd.amps.org/projects.html
SEN Code of Practice on the Identification and Assessment of Pupils with Special
Educational Needs & SEN Thresholds-good Practice Guidance on Identification and Provision for Pupils with special educational needs;
http://www.dfes.gov.uk/publications/guidanceonthelaw.dfeepub/ju100
Accessibility of Higher Education Websites; http://www.bunnyfoot.com
Education law; http://www.nutter.com/practice_education.cfm
Advancing the Inclusion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http://www.hrdc-drhc.gc.ca
In Union: A Canadian Approach to Disability issues; http://socialunion.gc.ca/pwd
Social education in canada; http://www.ccsd.ca/perception/252/specialed.htm
University Policies, Procedures & Regulations Database; http://www.yorku.ca/
secretariat/legislation/senate/spcneeds.htm
장애인고등교육 현황과 함의
글쓴 이 : 장애인학생지원네트워크 상임 활동가 김형수(2004년 6월 2일)
고등교육과 대학, ‘장애인학생’ 그리고 국가.
1. 장애인에게 고등 교육의 의미.(한국의 현재에서)
- 재활과 복자차원의 고용에서 자력갱생을 통한 전문 인력으로서의 사회 통합 및 참여(자아실현포함).
- 학력과 학벌로 사회적인 차별을 희석시키고 자신의 ‘장애’에 대한 은폐물로 사용(장애극복이데올로기)
2. 국가(사회)가 고등교육을 하는 목적.
- 노동 시장의 전문 인력 공급(전문가 양성) - 학력을 통한 계급 계층이동으로 사회 갈등 최소화
3. 장애인의 고등교육(대학학부과정)이 확대된 다른 관점.
- OECD 가입과 김영삼 정부, 1995년 장애인특별전형 실시 함의.
- 대학구조조정과 대학정원의 블럭화, 학부제등과 장애인 학생 등장의 함의.
- 장애인고등교육의 시장주의적 접근: 사립대학 중심의 권장 (국가차원의 사회적 약자 보상 조치 없음)
4. 일어나는 문제점과 현상
: 교육공공성과 반대로 장애인고등교육의 사적 시장의 기형적 확대.
국공립대학, 교육대학 대부분이 아직 장애인에게 제한적으로 허용하거나 접근을 거부하고 있음.
대부분의 국가 시험에서 장애인 학생에 대한 적극적인 정책 부재 : 각종 고시, 임용 시험 등
국가 차원의 전문가 양성의 의도적 포기이며 장애인고등교육정책의 혼란상을 드러낸 것임.
통합의 반작용 : 강제화된 통합 환경, 준비없이 무한한 자유를 가지는 장애인 학생.
초중고의 교육 환경, 패러다임등이 없어, 과정(process)이 아닌 결과(result)로써의 고등 교육 존재. 따라서 장애인이 학생으로서 총체적인 교육과정을 완성 못하고 단절됨. 95~98학년도 이후 대학시장안보를 위해 준비없이 대학 사회로 덤핑(dumping)된 장애인 학생은 스스로의 엄청난 혼란과 비장인 학생과의 갈등을 겪는다.
갈등의 이유 : 대학이 장애인 교육 능력을 갖추지 못함.( 교육 환경, 전문 인력, 교과 과정 부재)
이에 전문인력으로 사회에 진입하지 못하고 계속 장애인 사회에 의존할 수 밖에 없도록 함.
예) 특수교육 호빵맨, 특수교육 안마사
5. 결 론
1) 장애인 고등교육과 대학 관련 법 들의 강제화 ( 국공립 대학 국가 목적 대학의 전면 개방)
2) 장애인 고등 교육의 정상화를 통한 초중고, 평생 교육의 정상화 완전 통합의 질적 완성.
3) 고등 교육 전 과정, 노동시장 진입으로의 재구조화 차별 금지. 전문가 양성
4) 은폐물로써의 ‘장애’가 아니라 인격으로서의 ‘장애’로 사회 참여하는 장애인 학생 양성체제 구축
; http://www.lions.psu.edu/ODS/
Disability Service, University of Sydney; http://www.usyd.edu.au/
su/disability/welcome.html
Disability Resource Centre, University of Cambridge; http://www.came.au.uk/
cambuniv/disability
츠쿠바대학 홈페이지 http://tsukuba.ca.jp
츠쿠바단기기술대학 홈페이지 http://tsukuba-tech.ac.jp/college.htm
Education and skills: http://www.dfes.gov.uk/consu..
The Special Education Needs and Disability Act;
http://www.techdis.ac.uk/resources/skill01.html
The Revised Code of Practice. November 2002: http://www.bda-dyslexi.org.uk
Overview of standards in special schools:
http://www.archive.official-documents.co.uk/document/ofsted/spe
Special Education in England; http://edreform.com/pubs/beales2.htm
Programme specifications Introducation; http://www.qaa.ac.uk/crntwork/progspec
Disability and web site provision; http://bunnyfoot.com/freestuff/articles/accessibility/
legal.html
Some Special Projects of WWD: http://wwd.amps.org/projects.html
SEN Code of Practice on the Identification and Assessment of Pupils with Special
Educational Needs & SEN Thresholds-good Practice Guidance on Identification and Provision for Pupils with special educational needs;
http://www.dfes.gov.uk/publications/guidanceonthelaw.dfeepub/ju100
Accessibility of Higher Education Websites; http://www.bunnyfoot.com
Education law; http://www.nutter.com/practice_education.cfm
Advancing the Inclusion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http://www.hrdc-drhc.gc.ca
In Union: A Canadian Approach to Disability issues; http://socialunion.gc.ca/pwd
Social education in canada; http://www.ccsd.ca/perception/252/specialed.htm
University Policies, Procedures & Regulations Database; http://www.yorku.ca/
secretariat/legislation/senate/spcneeds.htm
장애인고등교육 현황과 함의
글쓴 이 : 장애인학생지원네트워크 상임 활동가 김형수(2004년 6월 2일)
고등교육과 대학, ‘장애인학생’ 그리고 국가.
1. 장애인에게 고등 교육의 의미.(한국의 현재에서)
- 재활과 복자차원의 고용에서 자력갱생을 통한 전문 인력으로서의 사회 통합 및 참여(자아실현포함).
- 학력과 학벌로 사회적인 차별을 희석시키고 자신의 ‘장애’에 대한 은폐물로 사용(장애극복이데올로기)
2. 국가(사회)가 고등교육을 하는 목적.
- 노동 시장의 전문 인력 공급(전문가 양성) - 학력을 통한 계급 계층이동으로 사회 갈등 최소화
3. 장애인의 고등교육(대학학부과정)이 확대된 다른 관점.
- OECD 가입과 김영삼 정부, 1995년 장애인특별전형 실시 함의.
- 대학구조조정과 대학정원의 블럭화, 학부제등과 장애인 학생 등장의 함의.
- 장애인고등교육의 시장주의적 접근: 사립대학 중심의 권장 (국가차원의 사회적 약자 보상 조치 없음)
4. 일어나는 문제점과 현상
: 교육공공성과 반대로 장애인고등교육의 사적 시장의 기형적 확대.
국공립대학, 교육대학 대부분이 아직 장애인에게 제한적으로 허용하거나 접근을 거부하고 있음.
대부분의 국가 시험에서 장애인 학생에 대한 적극적인 정책 부재 : 각종 고시, 임용 시험 등
국가 차원의 전문가 양성의 의도적 포기이며 장애인고등교육정책의 혼란상을 드러낸 것임.
통합의 반작용 : 강제화된 통합 환경, 준비없이 무한한 자유를 가지는 장애인 학생.
초중고의 교육 환경, 패러다임등이 없어, 과정(process)이 아닌 결과(result)로써의 고등 교육 존재. 따라서 장애인이 학생으로서 총체적인 교육과정을 완성 못하고 단절됨. 95~98학년도 이후 대학시장안보를 위해 준비없이 대학 사회로 덤핑(dumping)된 장애인 학생은 스스로의 엄청난 혼란과 비장인 학생과의 갈등을 겪는다.
갈등의 이유 : 대학이 장애인 교육 능력을 갖추지 못함.( 교육 환경, 전문 인력, 교과 과정 부재)
이에 전문인력으로 사회에 진입하지 못하고 계속 장애인 사회에 의존할 수 밖에 없도록 함.
예) 특수교육 호빵맨, 특수교육 안마사
5. 결 론
1) 장애인 고등교육과 대학 관련 법 들의 강제화 ( 국공립 대학 국가 목적 대학의 전면 개방)
2) 장애인 고등 교육의 정상화를 통한 초중고, 평생 교육의 정상화 완전 통합의 질적 완성.
3) 고등 교육 전 과정, 노동시장 진입으로의 재구조화 차별 금지. 전문가 양성
4) 은폐물로써의 ‘장애’가 아니라 인격으로서의 ‘장애’로 사회 참여하는 장애인 학생 양성체제 구축
추천자료
(특수교육) 장애인의 교육권에 관한 총체적 보고서
장애인의 교육권에 관한 총체적 보고서(특수교육)
장애인 특수교육 현황 및 문제점진단과 개선방안
[특수교육][장애인교육]교육권의 개념, 장애인의 교육권, 장애인의 교육기회와 장애인의 고등...
[통합교육]장애인통합교육의 정의, 장애인통합교육의 목적 및 장애인통합교육과 장애인권리, ...
대한민국 장애인 복지의 현황(2010)
[특수교육][통합교육]장애와 장애인의 개념, 장애인의 교육권, 장애인의 교육법 및 장애인통...
[특수교육]장애인의 정의, 장애인의 교육권보장, 장애인교육(특수교육)의 필요성, 장애인교육...
장애인의 교실에서의 권리 - 장애학생의 교육권에 대해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