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이끌어내기 위해서는 소외계층에 대한 구체적인 활동이 없이는 불가능하다. 개인적, 집단적으로 소외된 사람들에 대해 물질적, 정신적 도움을 줌으로써 사회통합과 함께 인도주의적 방법으로 사회변화를 추구할 수 있다.
그러나 민간부문에서 사회복지사업이 효과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지역주민의 접근성이 용이하도록 조직화하고, 민간자원의 동원이 용이하고 지역주민의 욕구에 맞는 전문적인 서비스 전달체계를 구축하여야 한다. 또한 민간 사회복지서비스 제공주체들이 공공체계에 합리적으로 연결되면서 민간부문 상호간에 서로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활성화되어야 한다. 따라서 종교사회복지도 이제 단순한 동정심에서 나오는 즉흥적인 도움의 차원을 넘어 체계적이고 조직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사회문제에 대한 과학적이고 전문적인 분석에 입각한 사업계획들이 마련되어야 한다. 그리하여 우리 사회의 다양한 복지욕구에 전문적이고 자율적이며 탄력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체계를 갖추어야 한다. 특히 종교별, 교파별로 독립적인 기존 활동체계를 최대한 존중하면서 종교계가 복지활동에 더 많은 관심과 참여를 보일 수 있도록 하는 정부와 민간단체, 종교계의 상호 노력이 절실히 요구된다.
참고문헌
권오구(1997). [사회복지 발달사]. 서울: 홍익재.
김동국 편(1986). [사회복지사]. 서울: 집현전.
김인숙(1998). "종교계 사회복지 참여 현황 및 활성화 방안," [사회복지] '98 겨울호. pp.54-65.
김홍권(1997). "종교의 사회복지 기여도 평가." 사회복지신문 제306호, 7면.
박석돈(1995). "가톨릭 복지사업," [한국가톨릭대사전] 개정판 제1권. 서울: 한국교회사연 구소.
송종서(1998). "사회복지에 임하는 불교의 이념과 방향성," [제1회 종교와 사회복지 심포 지엄 자 료집]. 한국종교계사회복지대표자협의회. pp.47-51.
신광섭(1994). "한국 기독교의 복지사적 고찰," 대한예수교장로회 총회편 <교회사회봉사 편람>. 서울: 한국장로교출판사.
심대섭(1998). "원불교와 사회복지사업," [제1회 종교와 사회복지 심포지엄 자료집]. 한국 종교계사회복지대표자협의회. pp.55-62.
심흥보(1998). "한국 천주교 사회복지사 연구." 가톨릭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석사학위논 문.
이만열(1981). [한국기독교와 역사의식]. 서울: 지식산업사.
이선우(1999). "민간부문의 사회복지와 종교기관: 가톨릭을 중심으로," [월간 복지동향] 제5호. pp.18-22.
이원규(1995). "한국교회의 사회적 역할과 과제," 한국기독교사회복지회 편. [기독교와 사 회복지]. 서울: 예안.
임송산(1998). [불교사회복지: 사상과 사례]. 서울: 홍익재.
정무성(1997). "산업복지의 사회복지적 성격," [사회과학연구] 제13집. pp.51-65.
_____(1998). "한국 개신교회의 사회복지사업행태와 개선과제." [기독교사회복지] 제6집. pp.69-90.
_____ (1999). "민간 사회안전망의 필요성과 효율적 구축방안," 민간 사회안전망 구축을 위한 세미나 자료집.
조흥식(1998). "종교 사회복지활동의 방향과 과제," [제1회 종교와 사회복지 심포지엄 자 료집]. 한국종교계사회복지대표자협의회. pp.9-21.
최원규, 이영환, 신은주, 김환준. <한국교회 사회봉사 사업 조사연구>. 서울: 한국자원봉 사 능력개발 연구원, 1990.
Frienlander, W.A.(1976). Concepts and Methods of Social Work. Englewood Cliffs, NJ: Prentice-Hall.
Hall, M.P. and I.V. Howes. The Church in Social Work: A Study of Moral Welfare Work Undertaken by the Church of England. London: Routledge & Kegan Paul. 1965.
Hodgkinson,V.A., M.S. Weitzman, and A.D. Kirsch. From Belief to Commitment: The Activities and Finances of Religious Congregations in the United States. Washington, D.C.: INDEPENDENT SECTOR. 1988.
Krammer, R.(1981). Voluntary Agencies in the Welfare State. Englewood Cliffs, NJ: Prentice-Hall
Loewenberg, F.M. Religion and Social Work Practice in Contemporary American Society. New York: Columbia University Press. 1988.
Mayo, M.(1994). Communities and Caring. Hampshire: Macmillan.
Moberg, D.O. The Church as a Social Institution (2nd ed.). Grand Rapids, MI: Baker Book House. 1984.
Pepper, A.R.(1956). "Protestant Soial Work Today," In F. E. Johnson (ed.). Religion and Social Work. New York: Harper & Brothers.
Rothman, J.(1995). "Approaches to Community Intervention." In Rothman, J., J.L. Erlich, J.E. Tropman (eds.). Strategies of Community Intervention (5th. ed.). Itasca, IL: F.E. Peacock.
Yankelovich, Skelly, & White, Inc. The Charitable Behavior of Americans. Findings analyzed by V.A. Hodgkinson and M.S. Weitzman. Washington, D.C.: INDEPENDENT SECTOR. 1986.
그러나 민간부문에서 사회복지사업이 효과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지역주민의 접근성이 용이하도록 조직화하고, 민간자원의 동원이 용이하고 지역주민의 욕구에 맞는 전문적인 서비스 전달체계를 구축하여야 한다. 또한 민간 사회복지서비스 제공주체들이 공공체계에 합리적으로 연결되면서 민간부문 상호간에 서로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활성화되어야 한다. 따라서 종교사회복지도 이제 단순한 동정심에서 나오는 즉흥적인 도움의 차원을 넘어 체계적이고 조직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사회문제에 대한 과학적이고 전문적인 분석에 입각한 사업계획들이 마련되어야 한다. 그리하여 우리 사회의 다양한 복지욕구에 전문적이고 자율적이며 탄력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체계를 갖추어야 한다. 특히 종교별, 교파별로 독립적인 기존 활동체계를 최대한 존중하면서 종교계가 복지활동에 더 많은 관심과 참여를 보일 수 있도록 하는 정부와 민간단체, 종교계의 상호 노력이 절실히 요구된다.
참고문헌
권오구(1997). [사회복지 발달사]. 서울: 홍익재.
김동국 편(1986). [사회복지사]. 서울: 집현전.
김인숙(1998). "종교계 사회복지 참여 현황 및 활성화 방안," [사회복지] '98 겨울호. pp.54-65.
김홍권(1997). "종교의 사회복지 기여도 평가." 사회복지신문 제306호, 7면.
박석돈(1995). "가톨릭 복지사업," [한국가톨릭대사전] 개정판 제1권. 서울: 한국교회사연 구소.
송종서(1998). "사회복지에 임하는 불교의 이념과 방향성," [제1회 종교와 사회복지 심포 지엄 자 료집]. 한국종교계사회복지대표자협의회. pp.47-51.
신광섭(1994). "한국 기독교의 복지사적 고찰," 대한예수교장로회 총회편 <교회사회봉사 편람>. 서울: 한국장로교출판사.
심대섭(1998). "원불교와 사회복지사업," [제1회 종교와 사회복지 심포지엄 자료집]. 한국 종교계사회복지대표자협의회. pp.55-62.
심흥보(1998). "한국 천주교 사회복지사 연구." 가톨릭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석사학위논 문.
이만열(1981). [한국기독교와 역사의식]. 서울: 지식산업사.
이선우(1999). "민간부문의 사회복지와 종교기관: 가톨릭을 중심으로," [월간 복지동향] 제5호. pp.18-22.
이원규(1995). "한국교회의 사회적 역할과 과제," 한국기독교사회복지회 편. [기독교와 사 회복지]. 서울: 예안.
임송산(1998). [불교사회복지: 사상과 사례]. 서울: 홍익재.
정무성(1997). "산업복지의 사회복지적 성격," [사회과학연구] 제13집. pp.51-65.
_____(1998). "한국 개신교회의 사회복지사업행태와 개선과제." [기독교사회복지] 제6집. pp.69-90.
_____ (1999). "민간 사회안전망의 필요성과 효율적 구축방안," 민간 사회안전망 구축을 위한 세미나 자료집.
조흥식(1998). "종교 사회복지활동의 방향과 과제," [제1회 종교와 사회복지 심포지엄 자 료집]. 한국종교계사회복지대표자협의회. pp.9-21.
최원규, 이영환, 신은주, 김환준. <한국교회 사회봉사 사업 조사연구>. 서울: 한국자원봉 사 능력개발 연구원, 1990.
Frienlander, W.A.(1976). Concepts and Methods of Social Work. Englewood Cliffs, NJ: Prentice-Hall.
Hall, M.P. and I.V. Howes. The Church in Social Work: A Study of Moral Welfare Work Undertaken by the Church of England. London: Routledge & Kegan Paul. 1965.
Hodgkinson,V.A., M.S. Weitzman, and A.D. Kirsch. From Belief to Commitment: The Activities and Finances of Religious Congregations in the United States. Washington, D.C.: INDEPENDENT SECTOR. 1988.
Krammer, R.(1981). Voluntary Agencies in the Welfare State. Englewood Cliffs, NJ: Prentice-Hall
Loewenberg, F.M. Religion and Social Work Practice in Contemporary American Society. New York: Columbia University Press. 1988.
Mayo, M.(1994). Communities and Caring. Hampshire: Macmillan.
Moberg, D.O. The Church as a Social Institution (2nd ed.). Grand Rapids, MI: Baker Book House. 1984.
Pepper, A.R.(1956). "Protestant Soial Work Today," In F. E. Johnson (ed.). Religion and Social Work. New York: Harper & Brothers.
Rothman, J.(1995). "Approaches to Community Intervention." In Rothman, J., J.L. Erlich, J.E. Tropman (eds.). Strategies of Community Intervention (5th. ed.). Itasca, IL: F.E. Peacock.
Yankelovich, Skelly, & White, Inc. The Charitable Behavior of Americans. Findings analyzed by V.A. Hodgkinson and M.S. Weitzman. Washington, D.C.: INDEPENDENT SECTOR. 1986.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