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방의 내면적 자기 탐색과 완전히 같은 몰입 수준에 서 상대방이 표현한 감정과 의미를 첨가하여 의사소통하는 수 준. 상대방의 적극적인 성장동기를 이해하여 표현한다.
(2) 무조건적 존중 (수용적 존중)
무조건적 존중(unconditional positive regard)은 상대방의 인간적 가치를 존중하여 한 인간으로 받아들이는 것을 말한다. 즉, 상대방의 감정, 사고 및 행동을 있는 그대로 수용하면서 심리적으로 안전한 분위기에서 자기표현을 촉진하고 깊이 있는 자기탐색을 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Rogers(1961)는 무조건적 존중을 상담자가 내담자에 대하여 따뜻한 배려를 하는 것이며, 이 때 배려는 비소유적(nonpossessive)이고 상담자의 어떤 특정행동을 조건으로 하지 않고 내담자를 한 인간으로서 존중하고 배려하는 것이라고 하였다.
마정건(1988)은 한 걸음 더 나아가 무조건적 존중은 조력자가 피조력자의 인간적인 가치와 잠재적 가능성에 대하여 깊은 배려를 하는 것이라고 정의하고 있다.
Carkhuff에 기초하여 이장호와 금명자(2003)가 제시한 무조건적 존중의 5 수준은 다음과 같다.
① 1 수준 : 의사소통의 언어와 행동표현에서 상대방에 대한 존중이 명백히 결여되어 있거나 부정적 배려만이 있는 수준
② 2 수준 : 상대방의 감정, 경험 및 잠재력에 대해 거의 존중하지 않는 수 준
③ 3 수준 : 상대방의 감정, 경험 및 잠재력에 대해 기본적으로 긍정적인 존 중과 관심을 전달하는 수준
④ 4 수준 : 상대방에 대해 깊은 긍정적 존중과 관심을 표명하는 수준
⑤ 5 수준 : 상대방에게 한 인간으로서의 가치와 자유인으로서의 잠재력에 대해 매우 깊은 긍정적인 존중을 전달하는 수준
(3) 진실성 (성실성, 일치성)
1) 진실성(genuiness)은 자기 감정과 사고를 거짓없이 진솔하게 표현하여 상대방과 진실된 관계를 맺고 이를 기초로 상대방에게 진실된 인간적 관여를 표현하여 인간적 성장을 촉진하는 것을 말한다.
Rogers(1961)는 상담이 이루어지기 위해 상담자는 내담자와의 관계에서 통합되고 일치될 필요가 있다고 한다. 상담자는 내담자와의 인간관계에서 어떤 가면을 쓰거나, 역할놀이를 하거나, 가식을 부리는 허구적인 태도를 벗어나서 진정한 자기가 되어야 하며, 상담자의 경험과 그에 대한 인식과 표현이 일치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조력과정에서 상담자의 내면적 경험, 그에 대한 인식과 표현이 모두 일치되어야 내담자의 긍정적 인성 변화를 촉진할 수 있으며, 부정적 감정은 솔직하게 표현하되 비파괴적, 건설적으로 표현하여 내담자와의 관계를 악화시키지 않는다는 것이다.
Carkhuff에 기초하여 이장호와 금명자(2003)가 제시한 무조건 존중의 5 수준은 다음과 같다.
① 1 수준 : 자신이 느끼는 감정과는 무관한 감정을 표현하거나 부정적인 것에만 진지한 반응을 하기 때문에 상대방에게 전체적으로 파괴적인 영향을 주는 수준
② 2 수준 : 자신이 느끼는 감정과 거의 관계가 없는 표현을 하거나 상대 방에 대한 진지성이 주로 부정적인 반응에 대해 나타나는 수 준이다. 즉, 부정적인 반응을 대인 관계의 탐색의 기초로 하여 건설적으로 사용하는 방법을 모르는 수준
③ 3 수준 : 말하고 느끼는 것 중에서 부정적인 단서를 보이지는 않지만 정말 진지한 반응을 나타내는 긍정적 단서를 제공하지 못하 는 수준
④ 4 수준 : 상대방에게 긍정적이든 부정적이든 진지한 반응을 나타내며 긍정적인 반응 단서를 건설적인 방식으로 제시하는 수준
⑤ 5 수준 : 상대방과의 비타산적인 관계에서 자유롭고 깊게 자기 자신의 모습이 되는 수준
사람세상(woonjeong)
(2) 무조건적 존중 (수용적 존중)
무조건적 존중(unconditional positive regard)은 상대방의 인간적 가치를 존중하여 한 인간으로 받아들이는 것을 말한다. 즉, 상대방의 감정, 사고 및 행동을 있는 그대로 수용하면서 심리적으로 안전한 분위기에서 자기표현을 촉진하고 깊이 있는 자기탐색을 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Rogers(1961)는 무조건적 존중을 상담자가 내담자에 대하여 따뜻한 배려를 하는 것이며, 이 때 배려는 비소유적(nonpossessive)이고 상담자의 어떤 특정행동을 조건으로 하지 않고 내담자를 한 인간으로서 존중하고 배려하는 것이라고 하였다.
마정건(1988)은 한 걸음 더 나아가 무조건적 존중은 조력자가 피조력자의 인간적인 가치와 잠재적 가능성에 대하여 깊은 배려를 하는 것이라고 정의하고 있다.
Carkhuff에 기초하여 이장호와 금명자(2003)가 제시한 무조건적 존중의 5 수준은 다음과 같다.
① 1 수준 : 의사소통의 언어와 행동표현에서 상대방에 대한 존중이 명백히 결여되어 있거나 부정적 배려만이 있는 수준
② 2 수준 : 상대방의 감정, 경험 및 잠재력에 대해 거의 존중하지 않는 수 준
③ 3 수준 : 상대방의 감정, 경험 및 잠재력에 대해 기본적으로 긍정적인 존 중과 관심을 전달하는 수준
④ 4 수준 : 상대방에 대해 깊은 긍정적 존중과 관심을 표명하는 수준
⑤ 5 수준 : 상대방에게 한 인간으로서의 가치와 자유인으로서의 잠재력에 대해 매우 깊은 긍정적인 존중을 전달하는 수준
(3) 진실성 (성실성, 일치성)
1) 진실성(genuiness)은 자기 감정과 사고를 거짓없이 진솔하게 표현하여 상대방과 진실된 관계를 맺고 이를 기초로 상대방에게 진실된 인간적 관여를 표현하여 인간적 성장을 촉진하는 것을 말한다.
Rogers(1961)는 상담이 이루어지기 위해 상담자는 내담자와의 관계에서 통합되고 일치될 필요가 있다고 한다. 상담자는 내담자와의 인간관계에서 어떤 가면을 쓰거나, 역할놀이를 하거나, 가식을 부리는 허구적인 태도를 벗어나서 진정한 자기가 되어야 하며, 상담자의 경험과 그에 대한 인식과 표현이 일치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조력과정에서 상담자의 내면적 경험, 그에 대한 인식과 표현이 모두 일치되어야 내담자의 긍정적 인성 변화를 촉진할 수 있으며, 부정적 감정은 솔직하게 표현하되 비파괴적, 건설적으로 표현하여 내담자와의 관계를 악화시키지 않는다는 것이다.
Carkhuff에 기초하여 이장호와 금명자(2003)가 제시한 무조건 존중의 5 수준은 다음과 같다.
① 1 수준 : 자신이 느끼는 감정과는 무관한 감정을 표현하거나 부정적인 것에만 진지한 반응을 하기 때문에 상대방에게 전체적으로 파괴적인 영향을 주는 수준
② 2 수준 : 자신이 느끼는 감정과 거의 관계가 없는 표현을 하거나 상대 방에 대한 진지성이 주로 부정적인 반응에 대해 나타나는 수 준이다. 즉, 부정적인 반응을 대인 관계의 탐색의 기초로 하여 건설적으로 사용하는 방법을 모르는 수준
③ 3 수준 : 말하고 느끼는 것 중에서 부정적인 단서를 보이지는 않지만 정말 진지한 반응을 나타내는 긍정적 단서를 제공하지 못하 는 수준
④ 4 수준 : 상대방에게 긍정적이든 부정적이든 진지한 반응을 나타내며 긍정적인 반응 단서를 건설적인 방식으로 제시하는 수준
⑤ 5 수준 : 상대방과의 비타산적인 관계에서 자유롭고 깊게 자기 자신의 모습이 되는 수준
사람세상(woonjeong)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