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든 이월상품을 정가의 30~70% 정도 할인해 계획적으로 판매하는 형태를 말한다.
대량 생산하거나 철 지난 브랜드 제품을 저가에 파는 ‘Off Price Store’와 대량 구매를 통해 제품을 싸게 파는 ‘Discount Store(할인매장)’와는 다른 개념이다.
제조업체가 유통 라인을 거치지 않고 직영 체제로 운영하는 팩토리 아울렛(Factoring Outlet)과 개발업체가 브랜드 재고를 처리하기 위해 엔터테인먼트 기능과 결합해 고객 집객력을 높인 리테일 아울렛(Retailer’s Outlet)으로 구분한다.
위치에 따라 도심형, 교외형으로 나눌 수 있으며 성격에 따라 스트리형의 타운이나 군집형의 몰로 나눌 수 있다.
국내에는 90년대 초 문정동에 소규모 상설할인 매장들이 들어서면서 타운을 형성했으며 2001아울렛이 94년 당산동에 1호점을 오픈하면서 아울렛몰 시대를 열었다.
2000년 이후 급격히 증가하기 시작한 아울렛몰은 현재 125개에 달하고 있으며 입퇴점을 전문적으로 관리해주는 컨설팅 업체도 생겨났다.
미국과 일본의 경우 대부분 시 외곽에 대규모 아울렛몰들이 들어서 있으나 국내는 주로 도심형 아울렛몰들이 많다.
출처: 어패럴 뉴스
대량 생산하거나 철 지난 브랜드 제품을 저가에 파는 ‘Off Price Store’와 대량 구매를 통해 제품을 싸게 파는 ‘Discount Store(할인매장)’와는 다른 개념이다.
제조업체가 유통 라인을 거치지 않고 직영 체제로 운영하는 팩토리 아울렛(Factoring Outlet)과 개발업체가 브랜드 재고를 처리하기 위해 엔터테인먼트 기능과 결합해 고객 집객력을 높인 리테일 아울렛(Retailer’s Outlet)으로 구분한다.
위치에 따라 도심형, 교외형으로 나눌 수 있으며 성격에 따라 스트리형의 타운이나 군집형의 몰로 나눌 수 있다.
국내에는 90년대 초 문정동에 소규모 상설할인 매장들이 들어서면서 타운을 형성했으며 2001아울렛이 94년 당산동에 1호점을 오픈하면서 아울렛몰 시대를 열었다.
2000년 이후 급격히 증가하기 시작한 아울렛몰은 현재 125개에 달하고 있으며 입퇴점을 전문적으로 관리해주는 컨설팅 업체도 생겨났다.
미국과 일본의 경우 대부분 시 외곽에 대규모 아울렛몰들이 들어서 있으나 국내는 주로 도심형 아울렛몰들이 많다.
출처: 어패럴 뉴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