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넷의 특징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인터넷의 특징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인터넷 제대로 알기
1.1 네트워크 이야기
1.2 인터넷의 정의
1.3 인터넷의 탄생과 발전
1.4 인터넷 서비스의 종류

2.인터넷 구성과 연결
2.1 TCP/IP 프로토콜에 대한 이해
2.2. IP 주소와 도메인 네임
2.3 인터넷 연결하기

- 서비스 개요

1. 웹 서비스의 이해
1.1 웹 서비스 개요

2. 인터넷 익스플로러의 활용
2.1인터넷 익스플로러의 기능 익히기

3. RSS의 이해 및 활용
3.1 Rss개요
3.2 RSS 리더기 활용

- 인터넷 정의

- 인터넷의 특징

본문내용

블(Fiber)과 동축케이블(Coaxial Cable)을 혼합한 HFC(Hybrid Fiber Coaxial)망으로 쌍방향 통신 특성이 뛰어나고 유지 및 설치비용이 저렴하다.
전용선과 마찬가지로 24시간 인터넷에 연결되어 있는 상태로 다운로드 속도에 비하여 업로드 속도는 다소 느린 편으로, 케이블 모뎀은 이론상 최대 10Mbps의 고속 전송이 가능하다. 현재 두루넷(Thrunet),하나로통신 등에서 서비스하고 있다.
7) 전화선을 이용한 인터넷 접속
DSL은 Digital Subscriber Line 즉, 디지털 가입자회선 이라고 불리며, 기존 전화선로를 이용하여 비디오, 영상, 고화질 그래픽, 대용량 데이터 전송 등의 고속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술을 말한다. DSL 기술은 데이터 전송속도에 따라 가장 광범위하게 보급된 ADSL에서부터, 대칭형 전송 방식인 HDSL(High bit rate DSL)과 SDSL(Symmetric DSL)외에도 VDSL(Very highr speed DSL)등으로 나뉘는데, 이러한 DSL기술을 총칭야여 xDSL 이라고 한다.
. www(World wide Web) 서비스 개요.
웹서비스는 인터넷 역사에서 한 획을 긋는 큰 사건이라도 해도 과언은 아니다. 1991년 처음 서비스를 시작한 이후 가장 인기있는 서비스로 자리매김하며 인터넷의 폭발적인 성장을 주도하고 있다. 여기서는 웹 서비스의 개념과, 웹을 사용하기 위한 브라우저의 사용법, 최근 급부상하고 있는 Rss에 대해 알아보도록 한다.
1. 웹 서비스의 이해
1.1 웹 서비스 개요
1) 월드 와이드 웹(Worls Wide Web)
월드 와이드 웹은 인터넷의 많은 서비스들 중에서 가장 최근에 개발된 멀티미디어 서비스로서, 유럽 입자물리학 연구소(CERN; European Laboratory for Partical Physics)에서 연구 결과 및 자료의 효율적인 공유를 목적으로 (Tim Berners의 제안에 의해) 개발되었다.
웹은 주로 문자를 기반으로 전송하던 다른 인터넷 서비스들과는 달리 윈도우의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를 최대한 살려 그림과 그래픽, 음성과 동영상 등을 하이퍼텍스트(Hypertext)라는 기술을 통해 서로 연결함으로써 손쉽게 관련된 정보를 찾아갈 수 있도록 만들어 주는 정보검색시스템을 말한다.
이러한 하이퍼텍스트 자료들은 HTML이라는 언어를 통해 표현되며, HTTP라는 통신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전송된다.
월드와이드 웹을 직역하면 세계적으로 뻗어 있는 거미줄이라는 뜻인데, 이런 표현을 쓴 이유는 인터넷이 마치 거미줄처럼 수많은 네트워크들의 연결로 이루어졌기 때문이다. 월드 와이드 웹은 줄여서 WWW,W3 또는 Web등으로 부르기도 한다
GUI(Graphical User Interface)
WWW에서 사용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GUI(Graphical User Interface)이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란 사용자가 컴퓨터와 상호 작용하는 방법으로 과거에는 주로 특정명령을 화면상에서 입력하여 프로그램을 작동시키는 CUI(Characteristic User Interface)환경이 지배적이었다. WWW이전의 서비스들인 Gopher, FTP, Telnet 등이 CUI환경에서 작동되었으나 www은 사용자가 마우스를 이용하여 하이퍼미디어 문서의 그림이나 아이콘 등을 클릭함으로써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GUI환경을 제공하고 있다.
2)WWW의 구성
HTML(Hypertext Markup Language)
인터넷의 정보 검색 시스템인 월드 와이드 웹(WWW)의 웹 페이지를 작성하는 데 사용되는 언어이다. 문자뿐만 아니라 화상이나 음성, 영상을 포함하는 페이지를 표현할 수 있다.
Hypertext
하이퍼텍스트는 문서 중간 중간에 특정 키워드를 두고 문자나 그래픽, 동영상 등을 유기적으로 결합해 만든 문서이다.문서의 중요한 키워드마다 다른 문서로 연결되는 통로를 만들어 여러개의 문서가 하나의 문서인 것처럼 보여주는 방식을 가지고 있다.
Hypermedia
하이퍼미디어는 하이퍼텍스트의 확장된 개념으로 정보의 저장과 관리를 위해 그래픽, 음성, 영상 등이 결합되어 있는 정보를 말한다. 하이퍼미디어에서는 문자 정보에서 음성이나 화상을 불러내거나, 화상에서 문자 정보를 불러내는 것이 가능하다.
Hyperlink
하이퍼텍스트 문서 내에서 하나의 단어나 구(phrase),기호, 동영상과 같은 요소와 그 문서 내의 다른 요소 또는 다른 하이퍼텍스트 문서 내의 다른 정보 사이를 연결한 것을 말한다.
Client/Server 구조
웹은 클라이언트(Client)/서버(Server)구조를 기반으로 만들어진 응용시스템이다. 클라이언트/서버 구조는 두 개의 컴퓨터 사이에 이루어지는 역할 관계를 나타내는 것으로 사용자의 컴퓨터에 존재하는 브라우저를 통하여 데이터를 요청하고 서버에서 그에 대한 응답(Response)을 하는 형태의 구조를 말한다.
HTTP(Hyper Text Transfer Protocal)
클라이언트/서버 구조 하에서 전 세계에 존재하는 서버와 사용자의 컴퓨터를 연결시키는데에는 웹에 접속된 컴퓨터들이 준수해야 할 표준이 존재한다. 이 표준이 바로 HTTP라는 통신규약이다. 웹에서 다양한 종류의 컴퓨터가 별 문제없이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도록 하는 공통의 언어 역할을 HTTP가 감당하는 것이다. 즉, 클라이언트 컴퓨터와 서버 컴퓨터는 HTTP라는 약속을 이용하여 문서를 전송하고 수신하게 되는 것이다.
URL(Uniform Resource Locator)
\'WWW상에 존재하는 모든 문서나 파일, 네트어크 서비스 등의 자원에 대한 고유의 주소 표기 방식‘ 이다. 이러한 주소표기법으로 인해 WWW에 존재하는 문서는 오직 하나의 주소를 가지게 됨으로써 다른 문서와 명확하게 구분된다.
URL은 사용할 프로토콜, 도메인 네임, 파일이 있는 디렉토리 위치, 파일 이름으로 구성된다.
프로토콜://도메인네임[:포트][/디렉토리명][/파일명]
3)WWW의 동작과정
웹 브라우저에서 사용자가 하이퍼링크 되어있는 단어나 이미지를 클릭하거나 주소 표시줄에 특정 도메인네임을 입력하면, WWW에서는 다음과
  • 가격3,0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12.03.13
  • 저작시기2008.0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7890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