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너무 부족하다.
② 이 이론은 모든 내담자에게 광범위하고 일반적이며 동시에 동일한 상담목표를 설정하고 있다.
③ 상담의 목표가 내담자 자신에 의해 결정된다고 하지만 실제로 상담목표는 치료자와 내담자가 함께 있는 기간이나 사태에 따라서 결정된다.
④ 인간중심치료에 의해 도움을 받을 수 있는 대상이 제한되어 있다.
⑤ 유교적인 가치체제가 주류를 이루는 한국적인 풍토에서는 비지시적인 방법이 정착되기가 쉽지 않다.
3. 사회복지에 미친 영향
① 사회적 책임, 개인의 자기결정, 절대적 가치에 대한 소신이 사회사업 철학과 조화를 이룸
② 치료적 관계에서 사회복지사의 진실성, 일관성, 클라이언트에 대한 긍정적 관심등을 강조
7. 참고문헌
· 김 동배, 권 중돈, 2006, 인간행동과 사회 환경, 학 지사
· 김 동배, 권 중돈, 2001,인간행동이론과 사회 복지 실천, 학 지사
· 박 혜란, 홍 선미, 공 계순, 2002,사회복지실천 기술론, 나남출판
· 최 순남, 2002, 인간행동과 사회 환경, 법 문사
· Malcolmpayne 지음, 서 진환, 이 선 혜, 정 수경 옮김,2001, 현대사회 복지 실천 론, 나남 출판
· 한국 심리학회, 2003, 현대 심리학의 이해, 학문사
· 한 덕 웅 외 지음, 2004, 인간의 마음과 행동, 박 영사
8. 부록
J. Bugental에 따르면 전통적인 정신분석학의 심리치료의 model들은 다분히 '일방통행'이라고 한다. 이상적인 치료자는 자신의 감정의 개입을 최소화하고, 스스로를 텅 빈 스크린으로 제공하며, 내담자의 성장을 위해서라면 자신의 감정, 반응, 개인적 성장 等을 밀어둘 수 있어야 한다고 보았던 것이다.
그러나 이후 등장한 Humanistic Psychology(인본주의 심리학)에 이르러서는 치료자의 인간적 참여야말로 내담자(client)의 성장적 변화에 영향을 준다. 라고 굳게 믿게 되었다. 치료자에게 요구되는 태도는 '진솔성(genuineness) 혹은 일치성(self-congruence)', '공감적 이해(emphatic understanding)', '무조건적인 긍정적 배려(unconditional positive regard)' 等과 같은 것들이었다. 흔히 Humanistic Psychology의 결과물(outgrowth)로 인식되는 Transpersonal Psychology(초 개아超個我적 심리학)에 이르러서는 치료자와 내담자 사이의 이러한 '개방성'과 '정직성'에 더하여, 이 치료관계(the therapeutic relationship)를 통해 각자의 발달단계에서 상호의 성장을 최대한 촉진시킨다는 '상호 배움의 모델'을 제시하고 있기도 한다.
▣ Maslow가 'Motivation and Personality'(1954)를 통해 밝힌 그러한 자기
실현 적 인간(Self-actualizing people)의 모습들
*Perception of Reality: 현실을 보다 효율적으로 지각하여 현실과 편안한 관계를 맺는다.
*Acceptance: 자기, 타인, 본성에 대해 수용적 태도를 갖는다.
*Spontaneity: 자발성, 단순성, 자연스러움을 갖는다.
*Problem Centering: 자기중심적이라기보다 문제 중심적이다.
*Solitude: 고독과 프라이버시를 긍정적으로 좋아하며, 개인적 불행에 대해 초연하다.
*Autonomy: 문화와 환경으로부터 비교적 독립적이다.
*Fresh Appreciation: 다른 사람들에게는 진부할 수 있는 삶의 기본적인 경험들을 지속적으로 신선하고 천진하게 감지한다.
*Peak Experiences: W. James가 신비적 체험(mystic experience)이라 불렀던 경험을 공통적으로 한다.
*Human Kinship: 공동 사회적 정서 즉, 인간에 대해 동일시, 동정, 애정의 깊은 감정을 가지고 있다.
*Humility and Respect: 겸허, 타인에 대한 존경 等 민주적 성격구조를 가지고 있다.
*Interpersonal Relationships: 깊고 심오한 대인관계를 가지고 있다.
*Ethics: 확고한 도덕 규준을 가지고 있다.
*Means and Ends: 수단과 목적, 선과 악을 구별할 줄 안다.
*Humor: 악의 없는 철학적, 사색적 농담을 자주 한다.
*Creativity: 창조성과 독창성을 보여준다.
*Resistance to Enculturation: 심오하고 뜻 깊은 의미에서 사회화에 저항하고, 사람들이 빠져들게 되 는 문화로부터 어느 정도 내적인 거리를 유지한다.
*Values: 확고한 가치체계에 더하여 유연성을 지니고 있다.
*Resolution of Dichotomies: 이분법을 극복하고, 사람들이 본질적으로 정반대라고 보던 극단의 의견들을 통합하여 연합체를 형성한다. 자기실현자들에게는 욕망은 이성과 훌륭한 조화를 이루고 있다. "Be healthy and then you may trust your impulses“(건강 하라. 그러면 당신은 자신의 충동을 믿어도 좋다.)
▣'The Farther Reaches of Human Nature'(1971)에서는
자기실현(self-actualization)으로 이끄는 행동들을 다음과 같이 나열하고 있다.
1. 자기실현이란 깊은 집중(full concentration)과 전념(total absorption)을 통해 완전하고, 생생하 며, 사심 없이 경험하는 것을 의미한다.
2. 人生을 일련의 선택들의 과정이라고 보았을 때, 각 기점에서 성장을 위한 선택(the growth choice) 을 하는 것이다.
3. 자기 내면의 목소리에 귀 기울이는 것이다.
4. 정직하고 책임을 지는 것이다.
5. 자신의 판단과 직관을 믿는 것이다.
6. 자기실현은 목표이기도 하나, 매순간 잠재력을 실현하는 부단한 과정이기도 하다.
7. 절정체험(peak experience)은 자기실현의 일시적 순간이다.
8. 방어기제를 파악하게 되므로 이를 버릴 용기를 얻게 된다.
출처: 1학기때 인본주의 발표자료입니다. joylove817
② 이 이론은 모든 내담자에게 광범위하고 일반적이며 동시에 동일한 상담목표를 설정하고 있다.
③ 상담의 목표가 내담자 자신에 의해 결정된다고 하지만 실제로 상담목표는 치료자와 내담자가 함께 있는 기간이나 사태에 따라서 결정된다.
④ 인간중심치료에 의해 도움을 받을 수 있는 대상이 제한되어 있다.
⑤ 유교적인 가치체제가 주류를 이루는 한국적인 풍토에서는 비지시적인 방법이 정착되기가 쉽지 않다.
3. 사회복지에 미친 영향
① 사회적 책임, 개인의 자기결정, 절대적 가치에 대한 소신이 사회사업 철학과 조화를 이룸
② 치료적 관계에서 사회복지사의 진실성, 일관성, 클라이언트에 대한 긍정적 관심등을 강조
7. 참고문헌
· 김 동배, 권 중돈, 2006, 인간행동과 사회 환경, 학 지사
· 김 동배, 권 중돈, 2001,인간행동이론과 사회 복지 실천, 학 지사
· 박 혜란, 홍 선미, 공 계순, 2002,사회복지실천 기술론, 나남출판
· 최 순남, 2002, 인간행동과 사회 환경, 법 문사
· Malcolmpayne 지음, 서 진환, 이 선 혜, 정 수경 옮김,2001, 현대사회 복지 실천 론, 나남 출판
· 한국 심리학회, 2003, 현대 심리학의 이해, 학문사
· 한 덕 웅 외 지음, 2004, 인간의 마음과 행동, 박 영사
8. 부록
J. Bugental에 따르면 전통적인 정신분석학의 심리치료의 model들은 다분히 '일방통행'이라고 한다. 이상적인 치료자는 자신의 감정의 개입을 최소화하고, 스스로를 텅 빈 스크린으로 제공하며, 내담자의 성장을 위해서라면 자신의 감정, 반응, 개인적 성장 等을 밀어둘 수 있어야 한다고 보았던 것이다.
그러나 이후 등장한 Humanistic Psychology(인본주의 심리학)에 이르러서는 치료자의 인간적 참여야말로 내담자(client)의 성장적 변화에 영향을 준다. 라고 굳게 믿게 되었다. 치료자에게 요구되는 태도는 '진솔성(genuineness) 혹은 일치성(self-congruence)', '공감적 이해(emphatic understanding)', '무조건적인 긍정적 배려(unconditional positive regard)' 等과 같은 것들이었다. 흔히 Humanistic Psychology의 결과물(outgrowth)로 인식되는 Transpersonal Psychology(초 개아超個我적 심리학)에 이르러서는 치료자와 내담자 사이의 이러한 '개방성'과 '정직성'에 더하여, 이 치료관계(the therapeutic relationship)를 통해 각자의 발달단계에서 상호의 성장을 최대한 촉진시킨다는 '상호 배움의 모델'을 제시하고 있기도 한다.
▣ Maslow가 'Motivation and Personality'(1954)를 통해 밝힌 그러한 자기
실현 적 인간(Self-actualizing people)의 모습들
*Perception of Reality: 현실을 보다 효율적으로 지각하여 현실과 편안한 관계를 맺는다.
*Acceptance: 자기, 타인, 본성에 대해 수용적 태도를 갖는다.
*Spontaneity: 자발성, 단순성, 자연스러움을 갖는다.
*Problem Centering: 자기중심적이라기보다 문제 중심적이다.
*Solitude: 고독과 프라이버시를 긍정적으로 좋아하며, 개인적 불행에 대해 초연하다.
*Autonomy: 문화와 환경으로부터 비교적 독립적이다.
*Fresh Appreciation: 다른 사람들에게는 진부할 수 있는 삶의 기본적인 경험들을 지속적으로 신선하고 천진하게 감지한다.
*Peak Experiences: W. James가 신비적 체험(mystic experience)이라 불렀던 경험을 공통적으로 한다.
*Human Kinship: 공동 사회적 정서 즉, 인간에 대해 동일시, 동정, 애정의 깊은 감정을 가지고 있다.
*Humility and Respect: 겸허, 타인에 대한 존경 等 민주적 성격구조를 가지고 있다.
*Interpersonal Relationships: 깊고 심오한 대인관계를 가지고 있다.
*Ethics: 확고한 도덕 규준을 가지고 있다.
*Means and Ends: 수단과 목적, 선과 악을 구별할 줄 안다.
*Humor: 악의 없는 철학적, 사색적 농담을 자주 한다.
*Creativity: 창조성과 독창성을 보여준다.
*Resistance to Enculturation: 심오하고 뜻 깊은 의미에서 사회화에 저항하고, 사람들이 빠져들게 되 는 문화로부터 어느 정도 내적인 거리를 유지한다.
*Values: 확고한 가치체계에 더하여 유연성을 지니고 있다.
*Resolution of Dichotomies: 이분법을 극복하고, 사람들이 본질적으로 정반대라고 보던 극단의 의견들을 통합하여 연합체를 형성한다. 자기실현자들에게는 욕망은 이성과 훌륭한 조화를 이루고 있다. "Be healthy and then you may trust your impulses“(건강 하라. 그러면 당신은 자신의 충동을 믿어도 좋다.)
▣'The Farther Reaches of Human Nature'(1971)에서는
자기실현(self-actualization)으로 이끄는 행동들을 다음과 같이 나열하고 있다.
1. 자기실현이란 깊은 집중(full concentration)과 전념(total absorption)을 통해 완전하고, 생생하 며, 사심 없이 경험하는 것을 의미한다.
2. 人生을 일련의 선택들의 과정이라고 보았을 때, 각 기점에서 성장을 위한 선택(the growth choice) 을 하는 것이다.
3. 자기 내면의 목소리에 귀 기울이는 것이다.
4. 정직하고 책임을 지는 것이다.
5. 자신의 판단과 직관을 믿는 것이다.
6. 자기실현은 목표이기도 하나, 매순간 잠재력을 실현하는 부단한 과정이기도 하다.
7. 절정체험(peak experience)은 자기실현의 일시적 순간이다.
8. 방어기제를 파악하게 되므로 이를 버릴 용기를 얻게 된다.
출처: 1학기때 인본주의 발표자료입니다. joylove817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