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못한다. 그리고 나는 이 용어를 추천하고 싶지 않다”고 하였다. 그러므로 프로이드에 있어서 엘렉트라 콤플렉스는 딸아이에 있어서 외디푸스 콤플렉스로 다루어지고 있다. 그 뿐 아니라 그에게 있어서 소녀의 콤플렉스는 소년의 콤플렉스 보다 훨씬 더 명백하다. 그러나 우리가 외디푸스 콤플렉스에 대해 논한 것은 또한 이 엘렉트라 콤플렉스에도 적용된다.
이 엘렉트라 콤플렉스 또한 외디푸스 콤플렉스에 있어서와 같이 과격한 형태에 있어서는 예외적이며 병적이다. 그러나 일반적인 형태에 있어서는 다시 말해서 아버지에 대한 소녀의 확실한 사리(私利)가 빈번하게 충분히 관찰되는 의미에서는 이 콤플렉스는 정상적이다. 이와 반대로 만일 소녀가 자기의 여성적 기질의 자연적인 발전이 방해될 만큼 아버지에 대한 주의와 경모(敬慕)를 갖는다면 이는 큰 폐가 된다. 따라서 이런 소녀는 아버지 같은 전형(典刑)에 편광되고 무의식적으로 동화되어 자기 여성적인 면을 잃어버리기 쉽다. 그리고 이런 여자는 그에게 자기 아버지 같은 이상적인 남성보다 못한 자와는 결혼하기 힘들며, 결혼 한다 하더라도 때때로 <아내-어머니>(Eheweib-Mutter)의 형이 되기 쉽다.
이러한 콤플렉스는 외디푸스 콤플렉스가 어머니가 아들에게만 자기 전 총애를 주고 딸을 경시할 때 일어나듯, 아버지가 딸에게만 자기 애정을 주고 아들을 경시할 때 흔히 일어난다.
엘렉트라 콤플렉스는 외디푸스 콤플렉스와 같이 침체된 어린이의 정서에서부터 뿐만 아니라 또한 이와 같은 기질을 형성할 수 있는 가정에서 그 반응을 일으키기 쉬우므로 영적 지도자나 전문가는 어린이들로 하여금 그들의 정서적 발달에 참된 빛을 보도록 지도해 주고 그들 부모들에게는 자녀들에게 편파적인 사랑을 주지 않도록 지도해 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비판 이유는 유아기에서부터 성적인 동기와 파괴적인 본능에 의하여 행동이 동기화된다고 해석한 것, 외디프스 콤플렉스나 일렉트라 콤플렉스 이론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모든 인간에게 근친 상간이나 쾌락적 충동이 있다고 주장한 것, 현재 인간행동 이해의 근거로서 유아기의 경험과 억압된 무의식의 내용만을 중요시함으로써 인간의 자율성과 책임성, 합리성을 무시하고 결정론적이고 비합리적인 관점에서 인간을 이해한 점 등이다.
Ⅳ. 나오는 말
우리는 정신분석이론이 인간 이해의 폭과 깊이를 넓혀주었다는 사실을 부인할 수 없을 것이다. 위의 발달단계 역시 프로이드 자신의 치료경험과 자아분석 그리고 광범한 임상관찰을 토대로 한 최초의 포괄적인 성격이론이며, 심리치료이론이라 할 수 있다.
인간의 행동을 좌우하는 중요한 역동적인 힘의 근원은 무의식에 있으며, 무의식적인 갈등이 부적응과 신경증 내지 정신질환의 근원이 된다는 이론이다.
한편 프로이드가 공헌한 점을 요약하면
담대하고 통찰력 있는 탐구를 통해 최초의 체계적인 성격이론을 개발했다.
인간 성격의 발달에 있어서 유아기의 중요성을 부각시켜 자녀교육과 부모교육에 대한 각성과 연구를 자극하였다. 사실 이전까지 전혀 관심을 갖지 않았던 유아기의 교육환경에 대해 주목케 함으로써 유아기에 대한 새로운 인식을 가능케 하였다. 특히 인생초기의 인간관계가 그 이후의 대인 관계에 영향을 줄 뿐 아니라 더 나아가 하나님과의 관계에도 영향을 줄 가능성을 시사해주었다.
지금까지도 이 발달단계이론이 논란의 대상이 되어왔고 실제로 여러 가지 제한점을 가지고 있지만 이제 많은 학자들이 프로이드 이론을 바탕으로 하여 보다 더 나은 이론들로 수정, 보완, 확대시켜 나감으로써 그의 학문적 약점들을 극복한 새로운 이론들을 정립하고 있다. 이 같은 사실은 그의 이론을 근거로 하여 인간이해의 새로운 시각이 열렸으며 또한 그의 이론이 심리학사에서 새로운 이론적 지평을 이록해 놓았다는 것을 부인할 수 없다. 왜냐하면 프로이드 이후의 이론들은 프로이드 이론이 있으므로 해서 가능하기 때문이다.
프로이드는 인간의 성격은 명확하게 구분할 수 있는 5단계를 거쳐서 발달한다고 보았다. 각 단계마다 정신(원초아, 자아, 초자아)이 각기 다른 자각 수준(의식, 전의식, 무의식)에서 그 기능을 담당한다고 보았다.
①구강기(0-1세): 이시기 아동의 리비도는 입, 혀, 입술 등 구강에 집중되어 있으므로 먹는 행동을 통해 만족과 쾌감을 얻는다. 이 시기에 만족을 못하면 항문기로 넘어가지 못하고 고착되어 빠는 것에 집착하게 된다. 예)손가락 빨기, 과음, 과식, 과도한 흡연, 수다, 손톱 깨물기 등의 현상이 나타날 수 있다.
②항문기(1-3세): 이시기 동안 아동의 성적 관심은 항문 부위에 모아지며 대소변을 통해 쾌락을 느낀다. 이때 아동은 배설물에 관심과 흥미를 갖게 되는 시기이다. 이시기 배변훈련을 받게 되는데 조급하거나 억압적으로 시키면 성인이 되어서도 항문기 고착현상이 나타난다. 지나치게 깨끗한 것을 추구하는 결벽증과 무엇이나 아끼고 보유하려는 인색함이 나타난다.
③남근기(3-6세): 이시기는 정신 에너지를 성기에 집중시켜 성기를 가지고 놀며 쾌락을 느낀다. 이때 심리적 변화가 크게 일어난다. 남아는 오이디푸스 콤플렉스(oedipus complex)를 경험하게 되고 여아는 엘렉트라 콤플렉스(electra complex)를 격게 된다. 남아는 거세불안(castration anxiety)을 유발시킬 수 있고, 여아는 남근을 선망(penis envy)하게 된다. 그러나 아동들은 자기 부모와 동일시함으로 적절한 역할을 습득하여 양심이나 자아 이상을 발달시켜 나간다.
④잠복기(6-12세): 다른 단계에 비해 평온한 시기로 성적욕구가 억압되어 성적 충동 등이 잠재되어 있는 시기이다. 반면 지적 탐색이 활발하게 이루어진다. 지적활동에 에너지를 집중시킨다.
⑤생식기(12세 이후): 앞 단계에 잠복되어 있던 성 에너지가 무의식에서 의식의 세계로 나오게 된다. 신체적, 생리적 능력 역시 갖추고 있는 시기이다. 이 시기를 순조롭게 넘긴 청소년은 이타적인 사람으로 성숙하게 된다.
프로이드의 이론은 오늘날까지도 임상심리학이나 심리치료 분야에서 널리 활용되고 있다. 이는 또한 아이들의 ·초기 경험의 중요성을 설파함으로써 유아교육에 불을 붙인 자극제이기도 했다.
이 엘렉트라 콤플렉스 또한 외디푸스 콤플렉스에 있어서와 같이 과격한 형태에 있어서는 예외적이며 병적이다. 그러나 일반적인 형태에 있어서는 다시 말해서 아버지에 대한 소녀의 확실한 사리(私利)가 빈번하게 충분히 관찰되는 의미에서는 이 콤플렉스는 정상적이다. 이와 반대로 만일 소녀가 자기의 여성적 기질의 자연적인 발전이 방해될 만큼 아버지에 대한 주의와 경모(敬慕)를 갖는다면 이는 큰 폐가 된다. 따라서 이런 소녀는 아버지 같은 전형(典刑)에 편광되고 무의식적으로 동화되어 자기 여성적인 면을 잃어버리기 쉽다. 그리고 이런 여자는 그에게 자기 아버지 같은 이상적인 남성보다 못한 자와는 결혼하기 힘들며, 결혼 한다 하더라도 때때로 <아내-어머니>(Eheweib-Mutter)의 형이 되기 쉽다.
이러한 콤플렉스는 외디푸스 콤플렉스가 어머니가 아들에게만 자기 전 총애를 주고 딸을 경시할 때 일어나듯, 아버지가 딸에게만 자기 애정을 주고 아들을 경시할 때 흔히 일어난다.
엘렉트라 콤플렉스는 외디푸스 콤플렉스와 같이 침체된 어린이의 정서에서부터 뿐만 아니라 또한 이와 같은 기질을 형성할 수 있는 가정에서 그 반응을 일으키기 쉬우므로 영적 지도자나 전문가는 어린이들로 하여금 그들의 정서적 발달에 참된 빛을 보도록 지도해 주고 그들 부모들에게는 자녀들에게 편파적인 사랑을 주지 않도록 지도해 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비판 이유는 유아기에서부터 성적인 동기와 파괴적인 본능에 의하여 행동이 동기화된다고 해석한 것, 외디프스 콤플렉스나 일렉트라 콤플렉스 이론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모든 인간에게 근친 상간이나 쾌락적 충동이 있다고 주장한 것, 현재 인간행동 이해의 근거로서 유아기의 경험과 억압된 무의식의 내용만을 중요시함으로써 인간의 자율성과 책임성, 합리성을 무시하고 결정론적이고 비합리적인 관점에서 인간을 이해한 점 등이다.
Ⅳ. 나오는 말
우리는 정신분석이론이 인간 이해의 폭과 깊이를 넓혀주었다는 사실을 부인할 수 없을 것이다. 위의 발달단계 역시 프로이드 자신의 치료경험과 자아분석 그리고 광범한 임상관찰을 토대로 한 최초의 포괄적인 성격이론이며, 심리치료이론이라 할 수 있다.
인간의 행동을 좌우하는 중요한 역동적인 힘의 근원은 무의식에 있으며, 무의식적인 갈등이 부적응과 신경증 내지 정신질환의 근원이 된다는 이론이다.
한편 프로이드가 공헌한 점을 요약하면
담대하고 통찰력 있는 탐구를 통해 최초의 체계적인 성격이론을 개발했다.
인간 성격의 발달에 있어서 유아기의 중요성을 부각시켜 자녀교육과 부모교육에 대한 각성과 연구를 자극하였다. 사실 이전까지 전혀 관심을 갖지 않았던 유아기의 교육환경에 대해 주목케 함으로써 유아기에 대한 새로운 인식을 가능케 하였다. 특히 인생초기의 인간관계가 그 이후의 대인 관계에 영향을 줄 뿐 아니라 더 나아가 하나님과의 관계에도 영향을 줄 가능성을 시사해주었다.
지금까지도 이 발달단계이론이 논란의 대상이 되어왔고 실제로 여러 가지 제한점을 가지고 있지만 이제 많은 학자들이 프로이드 이론을 바탕으로 하여 보다 더 나은 이론들로 수정, 보완, 확대시켜 나감으로써 그의 학문적 약점들을 극복한 새로운 이론들을 정립하고 있다. 이 같은 사실은 그의 이론을 근거로 하여 인간이해의 새로운 시각이 열렸으며 또한 그의 이론이 심리학사에서 새로운 이론적 지평을 이록해 놓았다는 것을 부인할 수 없다. 왜냐하면 프로이드 이후의 이론들은 프로이드 이론이 있으므로 해서 가능하기 때문이다.
프로이드는 인간의 성격은 명확하게 구분할 수 있는 5단계를 거쳐서 발달한다고 보았다. 각 단계마다 정신(원초아, 자아, 초자아)이 각기 다른 자각 수준(의식, 전의식, 무의식)에서 그 기능을 담당한다고 보았다.
①구강기(0-1세): 이시기 아동의 리비도는 입, 혀, 입술 등 구강에 집중되어 있으므로 먹는 행동을 통해 만족과 쾌감을 얻는다. 이 시기에 만족을 못하면 항문기로 넘어가지 못하고 고착되어 빠는 것에 집착하게 된다. 예)손가락 빨기, 과음, 과식, 과도한 흡연, 수다, 손톱 깨물기 등의 현상이 나타날 수 있다.
②항문기(1-3세): 이시기 동안 아동의 성적 관심은 항문 부위에 모아지며 대소변을 통해 쾌락을 느낀다. 이때 아동은 배설물에 관심과 흥미를 갖게 되는 시기이다. 이시기 배변훈련을 받게 되는데 조급하거나 억압적으로 시키면 성인이 되어서도 항문기 고착현상이 나타난다. 지나치게 깨끗한 것을 추구하는 결벽증과 무엇이나 아끼고 보유하려는 인색함이 나타난다.
③남근기(3-6세): 이시기는 정신 에너지를 성기에 집중시켜 성기를 가지고 놀며 쾌락을 느낀다. 이때 심리적 변화가 크게 일어난다. 남아는 오이디푸스 콤플렉스(oedipus complex)를 경험하게 되고 여아는 엘렉트라 콤플렉스(electra complex)를 격게 된다. 남아는 거세불안(castration anxiety)을 유발시킬 수 있고, 여아는 남근을 선망(penis envy)하게 된다. 그러나 아동들은 자기 부모와 동일시함으로 적절한 역할을 습득하여 양심이나 자아 이상을 발달시켜 나간다.
④잠복기(6-12세): 다른 단계에 비해 평온한 시기로 성적욕구가 억압되어 성적 충동 등이 잠재되어 있는 시기이다. 반면 지적 탐색이 활발하게 이루어진다. 지적활동에 에너지를 집중시킨다.
⑤생식기(12세 이후): 앞 단계에 잠복되어 있던 성 에너지가 무의식에서 의식의 세계로 나오게 된다. 신체적, 생리적 능력 역시 갖추고 있는 시기이다. 이 시기를 순조롭게 넘긴 청소년은 이타적인 사람으로 성숙하게 된다.
프로이드의 이론은 오늘날까지도 임상심리학이나 심리치료 분야에서 널리 활용되고 있다. 이는 또한 아이들의 ·초기 경험의 중요성을 설파함으로써 유아교육에 불을 붙인 자극제이기도 했다.
추천자료
각 발달단계에 따른 특징과 사회복지적 접근방법(임신기~노년기)
[여성주의와 사회복지] 여성주의 발달사와 생애접근법의 특성 및 관점에 대해 설명.
사회복지조사의 전 과정을 각 단계별로 설명하시오
프로이드의 심리성적발달5단계와에릭슨심리사회적발달8단계비교설명
프로이드의발달5단계와 사회복지측면
영국을 중심으로 발달된 서구사회의 사회복지과정을 5단계(공동체생활단계-구빈법단계-자선조...
정신분석이론 (인간관, 기본가정, 개념, 심리성적 발달단계, 사회복지실천에 대한 적용, Freu...
인간의 발달단계별 특징과 사회복지적 접근방법 (발달 정의, 발달단계의 구분-임신기, 영아기...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