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2. 연구의 목적
3. 연구의 제한점
Ⅱ. 장애인 평생교육의 목표와 지원방법
1. 장애인 평생교육의 목표와 내용
2. 장애인 평생교육의 방법과 전략
Ⅲ. 연구의 방법
1. 면담대상
2. 면담내용
3. 면담절차
4. 결과 처리
Ⅳ. 장애인의 평생교육 요구 분석
1 . 장애인 평생교육 지원체계 확립요구
2. 장애인 평생교육기관 확충요구
3. 장애인 평생교육 내용 확대요구
4. 장애인 평생교육 지원방법 개선요구
Ⅴ. 논의
Ⅵ. 결론 및 제언
1. 결론
2. 제언
1. 연구의 필요성
2. 연구의 목적
3. 연구의 제한점
Ⅱ. 장애인 평생교육의 목표와 지원방법
1. 장애인 평생교육의 목표와 내용
2. 장애인 평생교육의 방법과 전략
Ⅲ. 연구의 방법
1. 면담대상
2. 면담내용
3. 면담절차
4. 결과 처리
Ⅳ. 장애인의 평생교육 요구 분석
1 . 장애인 평생교육 지원체계 확립요구
2. 장애인 평생교육기관 확충요구
3. 장애인 평생교육 내용 확대요구
4. 장애인 평생교육 지원방법 개선요구
Ⅴ. 논의
Ⅵ. 결론 및 제언
1. 결론
2. 제언
본문내용
중증의 장애인일수록 문제의 복잡성과 심각성으로 인해 전문성을 구비한 인력의 역할은 더욱 중요하다. 현재 우리 나라에는 장애인 평생교육을 지원하는 전문인력 즉, 그들을 평생 추적 지원하는 사례관리자가 없다는 점이 하나의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현재 장애인의 지원을 위해 사회복지사를 동사무소에 배치하고 있지만, 이들이 이런 업무를 감당하기에는 어려움이 많다. 장애인의 적응상태를 평가하고 필요한 지원을 조정하는 사례관리자를 별도로 양성 · 배치한다면 장애인에 대한 지원은 현재보다 더 많이 확대될 수 있으며, 장애인 평생교육기관간 협력도 더욱 강화될 수 있다. 따라서 장애의 발견에서부터 지속적으로 교육요구를 평가 · 관리하는 사례관리자의 양성 매치방안애 대한 연구를 구체적으로 수행해야 할 것이다.
--------------------------------------------------------------------------------
참고문헌
강무섭 (2001). 교육인적자원부로의 개편에 따른 특수교육의 역할과 과제. 현장특수교육, 8(1). 8-17.
교육부 (1998). 평생교육백서.
교육인적자원부 (2002). 특수교육실태조사서
김성재 (1999). 교육개혁에 대한 발상의 대전환. 교육개혁 대토론회, 대통령자문 새교육공동체위원회, 7-20.
김중서 외 (1993). 평생교육원론. 서울: 교육과학사.
박경숙 (1997).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장애인 교육. 교육부. 평생교육백서. 240-258.
박은혜 (1997). 중도 장애아를 위한 지역사회중심의 교수전략. 중도 장애아 교육의 기초와 방법론. 이화여자대학교 사범대학 특수교육학과 제4회 이화특수교육 학술대회 자료집, 79-101.
보건복지부 (2001). 2001장애인복지사업안내.
이돈희 (2000). 지식기반사회를 대비한 특수교육. 창조적 지식기반사회를 대비한 특수교육의 방향. 교육부 국립특수교육원. 제1회 특수학교장 워크숍 자료집. 15-26.
이상오 (2001). 장애성인교육의 철학적 기조 교육인간학적 접근. 장애성인교육의 새로운 모형과 과제. 한국성인교육학회 2001년 봄학술대회자료집. 1-28.
장창엽 (1999). 중증 장애인 직업능력개발 활성화 방안. 중증장애인 직업능력개발 활성화 방안 제도 재선 · 프로그램 개발 중심으로. 사회복지법인 삼육재활센터 개원47주년 기념 세미나 자료집, 1-40.
정동영 외 5인 (1998). 장애인 교육 · 복지 실태 국제 비교. 안산: 국립특수교육원.
정봉도 · 이달엽 ·나운환 (2000). 직업재활시설 운영평가기준에 관한 연구. 서울: 한국장애인복지시설협회 장애인복지시설발전위원회.
조흥식 (2001). 장애인 평생교육체제 구축방안. 장애인 평생교육 협력제제 구축방안. 국립특수교육원 2001년 특수교육 정책포럼 자료집, 19-34.
한국장애인고용촉진공단 (2000). 장애인 고용관리 편람.
한준상 (2001). 평생학습 사회와 장애인의 평생교육 장애인 평생교육 협력체제 구축방안. 국립특수교육원 2001년 특수교육 정책포럼 자료집, 1-18.
Ashman, A., & Elkins, J. (1995). A life-span approach to education. In A. Ashman & J. Elkins (Eds.). Educating children with special needs(pp. 545-566). Sydney: Prentice Hall.
Dave, R. H. (1976). Foundations of lifelong eduration: Some methodological aspects. In A H. Dave. (Ed.). Foundation of Lifelong Education (pp.7-28). Oxford: Pergamon Press.
Leblanc, J. M., Schroede, S. R, & Liliana-Mayo (1997). A life-span approach in the education and treatment of persons with autism. In D. J. Cohen & F. 딘Volkmar (Ed.), Handbook of autism and pervasive developmental disorders(934-944). New York: Wiley & Sons, Inc.
Polloway, E. A., Smith, J. D. Patton, J. R, & Smith. T. E. C. (1996). Historic change in mental retardation and developmental disabilities. Education and Training in Mental Retardation and Developmental Disabilities, 31(1), 3-12.
Speight, S., Myers, L., Cox, C., & Highlen, P. (1991). A redefinition of multicultural counseling. Journal of Counseling and Development, 70, 29-36.
Warren, R. L., & Lyon, L. (1983). New perspectives on the American community bomewood, IL: Dorsey Press
Wehmeyer, M. L (1992). Self-determination and the education of students with mental retardation. Education and Training in Mental Retardation, 27, 302-314.
Wehmeyer, M. L., Kelchmer, E, & Richards, S. (1996).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self-determined behavior of adults with mental retardation and developmental disabilities. American Journal on Mental Retardation, 100, 632-642.
--------------------------------------------------------------------------------
참고문헌
강무섭 (2001). 교육인적자원부로의 개편에 따른 특수교육의 역할과 과제. 현장특수교육, 8(1). 8-17.
교육부 (1998). 평생교육백서.
교육인적자원부 (2002). 특수교육실태조사서
김성재 (1999). 교육개혁에 대한 발상의 대전환. 교육개혁 대토론회, 대통령자문 새교육공동체위원회, 7-20.
김중서 외 (1993). 평생교육원론. 서울: 교육과학사.
박경숙 (1997).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장애인 교육. 교육부. 평생교육백서. 240-258.
박은혜 (1997). 중도 장애아를 위한 지역사회중심의 교수전략. 중도 장애아 교육의 기초와 방법론. 이화여자대학교 사범대학 특수교육학과 제4회 이화특수교육 학술대회 자료집, 79-101.
보건복지부 (2001). 2001장애인복지사업안내.
이돈희 (2000). 지식기반사회를 대비한 특수교육. 창조적 지식기반사회를 대비한 특수교육의 방향. 교육부 국립특수교육원. 제1회 특수학교장 워크숍 자료집. 15-26.
이상오 (2001). 장애성인교육의 철학적 기조 교육인간학적 접근. 장애성인교육의 새로운 모형과 과제. 한국성인교육학회 2001년 봄학술대회자료집. 1-28.
장창엽 (1999). 중증 장애인 직업능력개발 활성화 방안. 중증장애인 직업능력개발 활성화 방안 제도 재선 · 프로그램 개발 중심으로. 사회복지법인 삼육재활센터 개원47주년 기념 세미나 자료집, 1-40.
정동영 외 5인 (1998). 장애인 교육 · 복지 실태 국제 비교. 안산: 국립특수교육원.
정봉도 · 이달엽 ·나운환 (2000). 직업재활시설 운영평가기준에 관한 연구. 서울: 한국장애인복지시설협회 장애인복지시설발전위원회.
조흥식 (2001). 장애인 평생교육체제 구축방안. 장애인 평생교육 협력제제 구축방안. 국립특수교육원 2001년 특수교육 정책포럼 자료집, 19-34.
한국장애인고용촉진공단 (2000). 장애인 고용관리 편람.
한준상 (2001). 평생학습 사회와 장애인의 평생교육 장애인 평생교육 협력체제 구축방안. 국립특수교육원 2001년 특수교육 정책포럼 자료집, 1-18.
Ashman, A., & Elkins, J. (1995). A life-span approach to education. In A. Ashman & J. Elkins (Eds.). Educating children with special needs(pp. 545-566). Sydney: Prentice Hall.
Dave, R. H. (1976). Foundations of lifelong eduration: Some methodological aspects. In A H. Dave. (Ed.). Foundation of Lifelong Education (pp.7-28). Oxford: Pergamon Press.
Leblanc, J. M., Schroede, S. R, & Liliana-Mayo (1997). A life-span approach in the education and treatment of persons with autism. In D. J. Cohen & F. 딘Volkmar (Ed.), Handbook of autism and pervasive developmental disorders(934-944). New York: Wiley & Sons, Inc.
Polloway, E. A., Smith, J. D. Patton, J. R, & Smith. T. E. C. (1996). Historic change in mental retardation and developmental disabilities. Education and Training in Mental Retardation and Developmental Disabilities, 31(1), 3-12.
Speight, S., Myers, L., Cox, C., & Highlen, P. (1991). A redefinition of multicultural counseling. Journal of Counseling and Development, 70, 29-36.
Warren, R. L., & Lyon, L. (1983). New perspectives on the American community bomewood, IL: Dorsey Press
Wehmeyer, M. L (1992). Self-determination and the education of students with mental retardation. Education and Training in Mental Retardation, 27, 302-314.
Wehmeyer, M. L., Kelchmer, E, & Richards, S. (1996).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self-determined behavior of adults with mental retardation and developmental disabilities. American Journal on Mental Retardation, 100, 632-642.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