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아제이론 & 비고츠키이론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본문내용

합하거나 단순히 자기 자신의 감각에 의해 우연적으로 조합하는 것을 말한다. 하위 단계는 다음과 같다.
①시행 착오 단계(trial and error stage)
②지각적 단계(perceptual stage)
③재구성 단계(composite stage)
제 2단계 : 복합적 사고(Phase of complex)
아동은 눈앞에 놓여 있는 사물을 모으면서 복잡하게 조합을 만든다. 이 단계에서 아동은 자신의 마음속에 떠오르는 주관적 인상뿐만 아니라 객관적 관계를 인식하고 사물을 분별할 수 있다. 또한 자기 중심적 언어와 사고에서 벗어나 객관적으로 사고를 하게 된다.
참된 개념적 사고는 아동이 타인으로부터 배워서 알고 있는 분류 기준을 그대로 적용하는 것이 아니라, 아동이 지각한 구체적인 특징에 의해서 어떤 사물을 자발적으로 분별하는 행동이 형성되는 것을 말한다. 복합적 사고는 성인의 언어 속에 등장하는 단어가 갖는 의미에 따라서 발달해 간다. 실생활에서 복합적 사고는 말에 의해 좌우되는데 이 때 말이 뜻하는 의미는 아동이 자발적으로 깨우친 것이 아니고 성인으로부터 배운 것이다. 하위 단계는 다음과 같다.
①연합단계(associate stage)
②집합적 단계(collection stage)
③연쇄단계(chaining stage)
④확산단계(diffuse stage)
⑤유사개념단계(pseudo-conceptual stage)
제 3단계 : 개념적 사고(Phase of concepts)
사춘기에 도달하면서부터 좀 더 복합적으로 생각하게 되고 개념적 사고의 시초에 이르게 된다. 이 시기가 사고의 발달에서 가장 높은 수준의 단계이다. 하지만 벌써 제 2단계에서 조짐이 보이기 시작한다.
첫째는 일련의 복합적 사고 유형에서 찾아 볼 수 있는 모으는 기능과 나누는 기능, 둘째는 추상적 요소를 지각하고 현상을 분석, 통합하는 기능이다. 이 두 가지 기능은 서로 교차하고 분리되면서 아동 발달의 과정 속에서 새로운 차원으로 나타난다.
개념 형성의 고등 정신 과정은 언어에 의해 이루어진다. 주의 집중이나 어떤 사물의 특징을 추상화하는 것, 그리고 이러한 것들을 통합하고 기초에 의해 상징화시키는 것들은 모두가 말을 매개체로 하여 이루어진다. 아동이 사용하는 사고의 도구, 즉 말은 적당히 변화시킨다면 아동의 사고도 따라서 변화되어 완전히 다른 정신 구조를 갖게 될 것이다. 아동의 발달은 아동이 성장하고 있는 사회의 문화 역사를 배경으로 하여 그 사회 속에서의 경험을 통해 이루어진다.
진보된 형태의 개념적 사고는 그 사회가 사용하고 있는 언어를 도구로 하여 형성되는 것이므로, 어린이로 하여금 생각하는 법을 배워서 어린이 자신이 장래를 계획할 줄 아는 사람이 되도록 하는데는 언어만큼 중요한 것이 없다. 하위 단계는 다음과 같다.
①최대 유사성의 단계(stage of maximal similarities)
②잠재적 개념의 단계(stage of potential concepts)
③순수 개념의 단계(stage of genuine concepts)
  • 가격2,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2.03.13
  • 저작시기2008.0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7985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